• 제목/요약/키워드: Suaeda maritima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32초

태안반도에 자생하는 염생식물의 뿌리로부터 분리한 내생 진균의 다양성 (Endophytic Fungal Diversity Isolated from the Root of Halophytes in Taean Peninsula)

  • 유영현;이명철;김종국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69-275
    • /
    • 2014
  • 7종의 자생 염생식물은 천일사초, 갯질경, 퉁퉁마디, 나문재, 칠면초, 해홍나물, 그리고 지채로서 태안반도에서 채집되었다. 염생식물의 뿌리로부터 분리된 37균주의 내생진균은 ITS영역 염기서열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내생진균들은 다양성 지수들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분리된 내생진균은 Eurotiales (78%), Capnodiales (5%), Hypocreales (5%), Agaricales (3%), Corticiales (3%), Glomerellales (3%), Pleosporales (3%)으로 7개 목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분리된 내생진균의 속을 분석한 결과 자낭균문과 담자균문에 포함되는 Alternaria, Aspergillus, Cladosporium, Paecilomyces, Penicillium, Phanerochaete, Schizophyllum, Talaromyces, Verticillium등 9개 속으로 분류되었다. 내생진균을 분석하였을 때, Penicillium이 염생식물로부터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태안반도에 자생하는 염생식물들에 대한 내생진균의 분포와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Endophytic Fungi of Salt-Tolerant Plants: Diversity and Ability to Promote Plant Growth

  • Khalmuratova, Irina;Choi, Doo-Ho;Kim, Jong-Guk;Lee, In–Se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11호
    • /
    • pp.1526-1532
    • /
    • 2021
  • Suaeda australis, Phragmites australis, Suaeda maritima, Suaeda glauca Bunge, and Limonium tetragonum in the Seocheon salt marsh on the 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cula were sampled in order to identify the endophytes inhabiting the roots. A total of 128 endophytic fungal isolates belonging to 31 different genera were identified using the fungal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s and the 5.8S ribosomal RNA gene. Fusarium, Paraconiothyrium and Alternaria were the most commonly isolated genera in the plant root samples. Various diversity indicators were used to assess the diversity of the isolated fungi. Pure cultures containing each of the 128 endophytic fungi, respectively, were tested for the plant growth-promoting abilities of the fungus on Waito-C rice germinals. The culture filtrate of the isolate Lt-1-3-3 significantly increased the growth of shoots compared to the shoots treated with the control. Lt-1-3-3 culture filtrate was analyzed and showed the presence of gibberellins (GA1 2.487 ng/ml, GA3 2.592 ng/ml, GA9 3.998, and GA24 6.191 ng/ml). The culture filtrate from the Lt-1-3-3 fungal isolate produced greater amounts of GA9 and GA24 than the wild-type Gibberella fujikuroi, a fungus known to produce large amounts of gibberellins. By the molecular analysis, fungal isolate Lt-1-3-3 was identified as Gibberella intermedia, with 100% similarity.

4개 간척 지구에 분포하는 식생과 토양 염류농도 (Soil Salinity and Vegetation Distribution at Four Tidal Reclamation Project Areas)

  • 이승헌;지광재;안열;노희명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9-86
    • /
    • 2003
  • 토양 제염이 토양 화학성 변화와 식물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간척농경지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조제 체절전후 자연식생이 존재하는 9개 지점에서 식생분포 특징을 조사하고 2개 지점에 대해서는 토양과 식생간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9개 조사지점에서 11목, 14과, 46속, 49종, 8변종, 1품종등 총 58종류의 식생분포가 관찰되었고 자연상태를 잘 유지한 대호식생보전구와 석문 국가공단 예정 부지에서의 출현종수가 다양하게 분포하였으며 해수를 유통시키고 있는 홍보지구나 만경강, 동진강 하구의 식생은 10여종정도로 단순하였다. 9개 조사지점에서 가장 빈도가 높게 출현한 종은 벼과, 명아주과, 국화과에 속하는 나문재(Suaeda asparagoides (Miq.) Makino), 갯개미취(Aster tripolium L.), 갈대(Phragmites australis Trin.), 해홍나물(Suaeda maritima Dum.), 칠면초(Suaeda japonica Dum.), 천일사초(Carex scabrifolia Steud.)등이었다. 통양의 제염에 따라 염류-나트륨성(Saline-내??) 토양에서 염류(Saline) 토양으로 그리고 최종적으로 일반 토양으로 변화하였다. 명아주과의 식생은 염도(ECe)가 30 dS/m 전후인 토양에서 출현하여 10 dS/m까지 지속되고, 20 dS/m 전후에서 갯개미취, 산조풀, 사데풀 등이 출현하였으며 10 dS/m 이하에서는 일반육상에서 볼 수 있는 식생종들이 출현하였다. 그러나 토양제염과 동시에 식생의 천이가 일어나는 것은 아니며, 외부에서 종자 등의 식물이 유입될 확률이 있어야하므로, 초기간척지의 식생을 조기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토양검정을 통해 적정 염도에서 정착할 수 있는 식생의 인공식재 내지 종자 산파를 통해 촉진시키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25\;{\pm}\;0.32$분, 제 2 군이 $3.05\;{\pm}\;0.34$분으로 두 실험군간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근관 충전재의 제거 후 근관 벽의 청결도는 두 실험 군 모두에서 치관부 1/3이 중간이나 치근단 1/3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두 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본 실험을 통해서 새로운 근관 충전 재료인 Resilon이 기존의 가타퍼챠와 실러를 사용한 충전과 비슷한 정도의 제거 용이성 및 근관 벽의 청결도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0 일 ), $1.1{\sim}5.6$ ( 평균: 2.9, 표준 편차: 0.8) 이었다. 단변 수 분석상 FRS, PVC, 체외 순환시간 (CPB) 및 술 후 12 시간째의 중심 정맥압 등이 LIT와 연관되었으나, 다변수 분석상 PVC (p=0.0018) 및 CPB (p=0.0024)만이 독립적으로 LIT를 예측하였다. 두 변수는 LIT 변이에 대하여 21.7%의 설명력이 있었으며, 두 변수를 이용한 회귀 분석식은 다음과 같았다. LIT=2.74-0.0158 PVC+0.00658 CPB. 결론: 새로이 정의된 폐혈관 유순도는 심장 외 도관을 이용한 단심실 교정 후의 흉관 거치 기간을 결정하는 중요한 예측 인자로서, 수술 전 위험 인자 분석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그것의 분별도 하지 못하는 세상 사람들을 완농(玩弄)하였다. 그러므로 그는 진환(塵 )에서 초연(超然)했던 것이다. 천석고황(泉石膏 )으로 태평성대(太平聖代)에 사시가흥(四時佳興)을 한가지로 하는 퇴계와는 그래서 다르다. 퇴계는 순풍(淳風)과 어진 인성(人性)을 긍정하였기에 만족하고. '고인(古人)의 녀던 길'을 끊임없이 행(行)하고자 하였다. 여기에서 '완세불공(玩世不恭)'과 '온유돈후(溫柔敦厚)'가 판별되어진다. 장육당이 '완세불공(玩世不恭)'했다면, 그것은 자취(自取)한 것이요.

우리나라 해안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의 분포 특징 (Distribution Patterns of Halophytes in the Coastal Area in Korea)

  • 이민수;김성환;정회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4권1호
    • /
    • pp.139-159
    • /
    • 2019
  • 본 조사는 국가해양생태계종합조사의 일부로 2017년 5월부터 2018년 8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우리나라 전체 해안에 설정된 157개 정점을 중심으로 조간대 및 해안사구와 사빈지역에서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염생식물은 총 72종이 확인되었으며 분포 면적은 총 $1,813,546m^2$이었다. 서해안 권역에서는 칠면초 군락이 우점 군락이며, 남해안 권역에서는 갈대 군락이 우점 군락이고, 동해안 권역에서는 통보리사초 군락이 우점 군락이었다. 조사지역 전체로는 갈대 군락이 $1,136,643m^2$ (62.7%)으로 가장 넓었다. 상위 11개 우점 식물 군락은 갈대 군락, 칠면초 군락, 해홍나물 군락, 갯잔디 군락, 통보리사초 군락, 갯그령 군락, 기수초 군락, 모새달 군락, 지채 군락, 좀보리사초 군락, 천일사초 군락이며, 특히 갈대 군락과 칠면초 군락은 전체 면적의 75.9%를 차지하여 압도적이었다. 우리나라 해안의 염생식물 분포는 대부분 기후 차이보다는 서식처의 형태가 염생식물의 서식 형태를 결정짓는 주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같은 권역 내에서도 서식처의 다양성 정도에 띠라 염생식물의 출현종과 서식범위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고창갯벌의 염생식물 뿌리로부터 분리된 내생진균의 다양성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from the Roots of Halophytes Growing in Go-chang Salt Marsh)

  • 유영현;윤혁준;우주리;서영교;김미애;이경민;김종국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86-92
    • /
    • 2012
  • 염생식물인 칠면초, 갈대, 갯질경, 해홍나물을 고창갯벌로부터 채집하였으며, 39점의 내생진균을 염 습지에 자생하고 있는 염생식물의 뿌리로부터 분리하였다. 내생진균들은 ITS1, 5.8s와 ITS2를 포함하는 ITS-rDNA 영역에 의해 분석되었다. 다양한 내생진균은 Eurotiales (36%), Pleosporales (26%), Hypocreales (18%), Incertae sedis (8%), Glomerellales (5%), Sordariales (2%), Xylariales (2%), Capnodiales (3%)등 8종류 목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9점의 내생진균은 속(genus)단계에서 Alternaria, Aspergillus, Chaetomium, Cladosporium, Colletotrichum, Coniothyrium, Dothideomycete, Fusarium, Gibberella, Macrophoma, Penicillium, Pestalotiopsis, Phaeosphaeria, Phoma, Pleosporales, Pseudozyma, Talaromyces, 그리고 Termitomyces에 포함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내생진균은 Eurotiales목의 Penicillium속이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강화 동검도 염습지 식생의 분포와 저서환경조건의 시.공간적 변화 (Spatio-temporal Variation in the Benthic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Salt Marsh Vegetation in Donggeomdo, Incheon, Korea)

  • 이형곤;박흥식;홍재상;제종길;이재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spc1호
    • /
    • pp.180-188
    • /
    • 2006
  • We examined the effect of salt marsh vegetation on the benthic environment in macro-tidal flats at Donggeomdo, Ganghwa, on the west coast of Korea. Nine stations were established along a transect across the tidal flats, including salt marsh, and field sampling was conducted monthly from July 1997 to June 1998. During the study period, environmental parameters fluctuated as follows: salinity, 15.0 to 28.2 psu, exposure time, 613 to 702 hr/m, inundation time, 28 to 117 hr/m, sediment organic carbon, 0.71 to 1.34%, nitrogen, 0.07 to 0.16%, sulfur from 0.07 to 0.22%, mean grain size from 6.3 to $6.9{\phi}$, water content from 19.4 to 44.4%, water temperature from 4.4 to $20.4^{\circ}C$ and temperature of the surface sediments, 2.7 to $31.1^{\circ}C$, in total, seven halophyte species were sampled and found to be vertically distributed across the tidal levels. Carer scabrifolia, Suaeda maritima, Limonium tetragonum and Phragmites communis dominated the upper zone of the salt marsh, Juncus haenkei, Triglochin maritimum and P. communis dominated the middle zone, and Suaeda japonica predominated in the lower are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revealed that the zonation of halophytes was related to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salinity and exposure time. The halophyte communities were likely related to the organic content of the surface sediment.

해안간척지의 생태적 환경복원을 위한 식물 선정에 관한 연구 -인천공항 사토장지역을 중심으로- (Plant Species Selection Program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Coastal Reclaimed Land -Focused on the Dumped Soil Area at Inchon Airport-)

  • 배영훈;이동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66-74
    • /
    • 2001
  •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elect the appropriate plants for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coastal land. The soil and vegetation environment survey of the beach where the halophytes live now was executed for the sake. Firstly, the soil survey was done by the physical and chemical survey of beach soil and dumped soil. The soil is mostly sandy loam and sandy clay loam which has silty much. The beach soil where the salt plants live has more organic matters in the content than dumped soil because of the influx of the dead halophytes, a pioneer plant to this area. Secondly the vegetation survey was executed by the halophytes survey in the beach area in order to select the appropriate plants for ecological restoration. The shows two different areas in the vegetation divided by the salt density of soil. Artemisia fukudo, Juncus haenkei, Carex pumila, Silene armeia, Polyponum aviculare etc live in the less salt density area and it doesnt show collected. Salicornia herbacea, Suaeda asparagoides, Aster tripolium, Limonium tetragonum, Suaeda maritima, Scirus fluvitilis, Phragmtes communis, Suaeda japonica, Zoysia sinica etc halophytes live in the more salt density area and there are a few advent plant but many collected. So the salt density of soil limits the vegetation.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plants for the ecological restoration programs was designed with 3 different standards considering the salt density of soil in the dumped soil area. The plan selection guidelines of thick salt density due to the salt density of soil, and economical efficiency and maintenance because the area is large. The guidelines of middle salt density area were made considering economical efficiency and maintenance because there are salt as well, and it is effective for the scenery if they have normal ecology but their leaves have good color and the flowers are beautiful. However I suggest beautiful flowery plants for the neutral plan area because this area is the entry point of the airport so the view is very important.

  • PDF

내염성 식물의 탐색 및 생물학적 염해 모니터링 기술의 개발 1. 염해지 식생분석 및 식물종의 내염성 평가 (Screening of saline tolerant plants and development of biological monitoring technique for saline stress . 1. Survey of vegetation in saline region and determination of saline tolerance of the plant species of the region.)

  • 강병화;심상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6-33
    • /
    • 1998
  • 우리나라 염해지의 식생 현황과 식물의 염분에 대한 내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척지를 비롯한 염해지의 주요 우점초종은 명아주과의 나문재, 칠면초, 해흥나물, 퉁퉁마디와 국화과의 갯개미취 등이었으며 탈염이 진행된 곳에는 부들, 갈대, 갯꾸러미풀 등의 화본과 식물이 우점하였다. 염해지의 우점 초종은 양액에 NaCl을 200mM로 첨가하여 실시한 사경재배에서도 강한 내염성을 나타내어 간척지의 식생과 이들의 내염성과는 일치성을 나타냈다. 내염성 식물인 명아주과의 나문재, 해흥나물, 가는갯는쟁이, 칠면초와 갯개미취 등이 내염성이 강한 식물종이었으며, 마디풀과의 개여뀌, 큰개여뀌, 털여뀌와 국화과의 별꽃아재비, 진득찰 등은 내염성이 매우 약한 종으로 나타났다. 갯벌 간척 후 탈염이 진행됨에 따라 초기에는 명아주과의 나문재, 해흥나물, 칠면조 등이 우점하고 이후에는 갯개미자리, 갯질경, 갯골풀, 갯꾸러미풀 등이 우점하게되고 이후에는 물대, 갈대 등이 우점하게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Diversity and Plant Growth Promoting Capacity of Endophytic Fungi Associated with Halophytic Plants from the West Coast of Korea

  • Khalmuratova, Irina;Kim, Hyun;Nam, Yoon-Jong;Oh, Yoosun;Jeong, Min-Ji;Choi, Hye-Rim;You, Young-Hyun;Choo, Yeon-Sik;Lee, In-Jung;Shin, Jae-Ho;Yoon, Hyeokjun;Kim, Jong-Guk
    • Mycobiology
    • /
    • 제43권4호
    • /
    • pp.373-383
    • /
    • 2015
  • Five halophytic plant species, Suaeda maritima, Limonium tetragonum, Suaeda australis, Phragmites australis, and Suaeda glauca Bunge, which are native to the Muan salt marsh of South Korea, were examined for fungal endophytes by sequencing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containing ITS1, 5.8S rRNA, and ITS2. In total, 160 endophytic fungal strain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the roots of the 5 plant species. Taxonomically, all 160 strains belonged to the phyla Ascomycota, Basidiomycota, and Zygomycota. The most dominant genus was Fusarium, followed by the genera Penicillium and Alternaria. Subsequently, using 5 statistical methods, the diversity indices of the endophytes were determined at genus level. Among these halophytic plants, P. australis was found to host the greatest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Culture filtrates of endophytic fungi were treated to Waito-C rice seedlings for plant growth-promoting effects. The fungal strain Su-3-4-3 isolated from S. glauca Bunge provide the maximum plant length (20.1 cm) in comparison with wild-type Gibberella fujikuroi (19.6 cm). Consequently, chromatographic analysis of the culture filtrate of Su-3-4-3 showed the presence of physiologically active gibberellins, $GA_1$ (0.465 ng/mL), $GA_3$ (1.808 ng/mL) along with other physiologically inactive $GA_9$ (0.054 ng/mL) and $GA_{24}$ (0.044 ng/mL). The fungal isolate Su-3-4-3 was identified as Talaromyces pinophilus.

간척지의 제염정도에 따른 식생의 변이의 수도근모형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Variation of Vegetation and Rice Root Formation Accompanied with the Desaltation at the Reclaimed! Tidal Fields)

  • 권혁지;정원일;조재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05-309
    • /
    • 1983
  • 간척지에서의 제염에 따른 식생의 변화와 수도의 근모형성에 대한 염해의 영향을 알기 위하여 강화도, 남양 및 계화도 간척지를 중심으로 1982년 여름에 본 조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간척후, 저습지에서는 퉁퉁마디와 칠면초가 최초로 우점종을 형성하는 고등식물이었으며, 제염이 됨에 따라 버들명아주가 출현했고, 또 이것에 이어 매자기와 갈대가 우점종의 자리를 차지하게 되며 매자기와 갈대가 우점종이 되는 염도의 토양에서는 수도재배에 대한 염해의 영향은 문제화되지 않았다. 2. 습지에서는 퉁퉁마디와 칠면초에 이어 사철쑥과 갯개미취가 우점종을 형성하게 되고, 이때에는 단자엽 화본료 잡초들의 이입이 시작되었다. 3. 건조지에서는 나문재와 해홍나물이 최초의 우점 고등식물로 등장하게 되고, 또 갯능쟁이도 있었지만 군락을 형성하지는 않았다. 4. 건조지에의 식물이입은 습지를 중심으로 이미 이입된 식물들이 제염이 진행됨에 따라 서서히 일어나게 된다. 5. 토양염도의 근모형성에 대한 형향은 고염도토양에서 생육된 것일수록 저염도 토양에서 생육된 것에 비하여 근모형성율은 낮추고, 또 근모장도 짧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