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yrax obassia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초

답압으로 훼손된 임간나지의 임상식생 복원에 관한 연구(II) -자생 수종선발을 위한 생장력 비교- (Studies on Restoraation of Forest-Floor Vegetation Devastated by Recreational Trampling(II) -A Comparison of Growth for Selection of Native Tree Species-)

  • 오구균;우보명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1-61
    • /
    • 1993
  • Seeding treatment was used for 2 years at an artificial bare ground for selecting tree species suitable for forest-floor revegetation. 2 ${\times}$2${\times}$2 factorial experiment was used with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for 19 native tree species and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Native species suitable for restoration of bareland under 75% shading in central part of Korea were Styrax japonica, Styrax obassia, Smilax china, Callicarpa japonica, Stephanandra incisa, Viburnum dilatatum for. pilosulm, Magnolia sieboldii, Cornus kousa, Celastrus orbiculata, etc.. Especially, Magnolia sieboldii, Stephanandra incisa and Stryrax obassia were tolerant for forest-floor with hardened woil surface and Callicarpa japonica, Viburnum dilatatum for. pilosulum, Euonymus sieboldianus and Philadelphus schrenkii were suitable for softened soil surface with straw-mat mulching. 2. It is necessary to break seed dormancy to accelerate germination in case of Styrax obassia, Styrax japonica, Viburnum dilatatum for. pilosulum, Smilax china and Stephanandra incisa.

  • PDF

Total Synthesis of a Demethoxy-egonol from Styrax obassia

  • Choi, Hong-Dae;Ha, Mun-Choun;Seo, Pil-Ja;Son, Byeng-Wha;Song, Jin-Cherl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3권5호
    • /
    • pp.438-440
    • /
    • 2000
  • The total synthesis of a demethoxy-egonol isolated from Styrax obassia, 5-(3-hydroxypropyl)-2-(3',4'-methylenedioxyphenyl)benzofuran (9), is described. The key steps involve the construction of a 2-arylbenzofuran skeleton 7 from methyl 3-(4-hydroxyphenyl)propionate with 2-chloro-2-methylthio-(3',4'-methylenedioxy) acetophenone (6) in the presence of ZnCl$_2$ and successive desulfurization of the resulting product 7.

  • PDF

RAPD markers에 의한 한국산 때죽나무과(Styracaceae)식물의 유연관계 (Analysis of Relationship of the Korean Styracaceae by RAPD Markers)

  • 김혁진;태경환;김주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43-153
    • /
    • 2007
  • 한국산 때죽나무과 식물 2속 2분류군(때죽나무, 쪽동백나무, 좀쪽동백나무, 나래쪽동백)에 대한 속간, 종간 및 종내 지역별 개체군간의 유연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RAPD 분석을 수행하였다. 반응을 보인 15개의 random primer에서 238개의 유전자 표지밴드가 나타났으며, 이를 근거로 UPGMA Phenogram을 작성하였다. 4종의 개체군들은 3개의 유집군으로 묶이는 결과를 보였다. 첫 번째 유집군은 때죽나무 개체군, 두 번째 유집군은 쪽동백나무 개체군-좀쪽나무 개체군이 묶였고, 세 번째 유집군은 나래쪽동백 개체군으로 유집되었다. 취급된 분류군들 중 두 번째 유집군에 속하는 쪽동백나무-좀쪽동백나무가 가장 밀접한 유연관계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RAPD 분석으로 속과 종을 분류할 수 있었다.

명지산 신갈나무림의 군락분류와 식생패턴 (Community Classification and Vegetation Pattern of Quercus mongolica Forest in Mt. Myongji)

  • Lee, Ho-Joon;Lee, Jae-Seok;Byun, Doo-We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2호
    • /
    • pp.185-201
    • /
    • 1994
  • The Quercus mongolica forest vegetation of Mt. Myongji was classified into two communities including four subunit communities and one typical subunit community by the Z-M method as follows: Acer pseudo-sieboldianum-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Quercus mongolica - Isodon excisus community Quercus mongolica - Styrax obassia community Quercus mongolica - Lespedeza bicolor subunit coummunity Quercus mongolica - Aconitum longecassidatum subunit community Quercus mongolica - Rhododendrom schlippenbachii subunit community Quercus mongolica - Cornus controversa subunit community Quercus mongolica - Styrax obassia typical subunit community Acer pseudo-sieboldianum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was distributed over the upper region of the altitude 400m, and the differential species in the community were Carex siderosticata, Sephanandra incisa, Tripterygium regelii, and Fraxinus rhynchophylla. The vegetation patterns for the slope and azimuth showed that the highest importance value for Quercus mongolica forest was observed on the broad subxeric area, and for Carpinus cordat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on the wet site, for Acer mono, Styrax obassia, Fraxinus rhynchophylla and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on the xeric site. The best habitat condition for Quercus mongolica was found at a subxeric site at the altitude of 700-900m on southern slope and that for Acer pseudo-sieboldianum at the 700-1100m on northern slope.

  • PDF

생육밀도가 쪽동백나무 유묘의 물질생산량과 생장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edlings Density in Nursery on Biomass Produc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 of Styrax obassia)

  • 최정호;유세걸;이수원;오석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7-221
    • /
    • 2007
  • 다양한 활엽수 자원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쪽동백나무 유묘의 생육밀도에 따른 물질생산량과 생장특성 등 최적의 생장조건을 조사하였다. 묘목의 생육밀도는 수고생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으며, 본 실험 결과 쪽동백나무의 $1m^2$당 생육 밀도에 따른 묘목의 생장은 49본구에서 간장과 근원직경이 우수한 생장량을 보인반면 생육밀도가 낮은 처리구는 근원직경 생장이 증가하면서 간장생장은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물질생산량 또한 생장 특성과 마찬가지로 $1m^2$당 49본구 처리구에서 전체 물질생산량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면서 $3.12{\pm}0.80g$로 다른 처리구보다 높은 물질생산량을 보였고, T/R율에서도 1.59로 나타났다. 생리적 특성으로 광합성률 또한 쪽동백나무의 경우 $1m^2$$49/m^2$ 본구와 $64/m^2$ 본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광합성률을 보였고 밀도가 높아질수록 광합성 효율이 떨어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생육 환경조건에서 적절한 공간 확보가 궁극적으로 최종 물질대사 작용인 광합성률 변화에서 최적의 상태를 보이면서 생리적으로 안정된 생장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며, 적정 공간의 장애가 실질적인 생장저하를 발생시키고, 궁극적으로 물질대사의 최고 단계인 광합성효율 또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민간약 때죽나무의 생약학적 연구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Korean Folk Medicine "DdaeJukNaMu")

  • 배지영;박종희
    • 생약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98-200
    • /
    • 2012
  • Korean Folk Medicine 'DdaeJukNaMu' has been used mainly to cure toothache and neuralgia. With regard to the botanical origin of 'DdaeJukNaMu', it has been considered to be Styrax species of Styracaceae, but there was no pharmacognostical confirmation on it. To clarify the botanical origin of 'DdaeJukNaMu',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branch of Styrax species growing wild in Korea, Styrax japonica and Styrax obassia were studied. As a result, it was clarified that 'DdaeJukNaMu' was the branch of Styrax japonica.

한국산 식물자원으로부터 신생혈관 억제제 검색 (I) (Screening of angiogenesis inhibitors from Korean plants (I))

  • 유영제;박진영;안인파;김영호;강종성;안병준;배기환
    • 생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20-324
    • /
    • 2000
  • Methanol extracts of 94 Korean plants were screened for angiogenesis inhibitors using the tube-like formation assay of HUVEC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and evaluated for growth inhibitory activity on A549 cells, human lung cancer cells. Extracts of Euphorbia sieboldiana, Adonis amurensis, and Anthriscus sylvestris showed antiangiogenic and growth inhibitory activity at $50\;{mu}g/ml$. Aristolochia manshuriens and Styrax obassia expressed antiangiogenic activity without growth inhibitory action.

  • PDF

형태 및 분자적 특징에 의한 때죽나무 녹병균(Pucciniastrum styracinum)의 재확인 (Rust Fungus Pucciniastrum styracinum on Styrax japonicus in Korea Confirmed by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 박지현;정복남;이재성;최영준;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531-537
    • /
    • 2021
  • 때죽나무는 때죽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소교목으로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대만이 원산이나 캐나다, 미국, 영국 등에도 도입되어 분포하고 있다. 1990년 이후 전국에 분포하는 때죽나무에서 녹병균이 지속적으로 발견되었다. 한국의 때죽나무 녹병균의 형태적 특성은 일본의 쪽동백나무에서 보고된 Pucciniastrum styracinum의 형태적 특성과 가장 유사하였으며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및 28S large subunit (LSU) rDNA의 염기서열의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통해 동정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때죽나무에서 발견한 녹병균 P. styracinum의 존재를 재확인하였고, 균학적 특성과 형태적 측정치 및 분자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산림 벌채적지의 식생구조 변화(II)-황양시 백운산연습림지역을 중심으로- (Change of Vegetation Structure in the Harvested forest Area(II)-A Case of (Mt.)Baegwoonsan Research forest at Kwangyang City-)

  • 오구균;최송현;박상규;심항용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37-345
    • /
    • 2004
  • 낙엽활엽수림 개벌 후 벌채지에서 식생구조 회복과정과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 남부연습림인 백운산의 벌채지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1994년에 2개의 모니터링 조사구를 설치하였고, 1997년과 1999년, 2001년, 2003년에 식생조사를 하였다. 벌채후 10년간 벌채지의 산림식생변화는 다음과 같다. 벌채지 산림내부에서 벌채 후 1년째에는 잔존 수목인 쪽동백나무, 때죽나무 및 비목나무가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벌채 후 6년째에는 근주맹아목인 때죽나무와 비목나무, 실생목인 두릅나무가 우세하게 나타났고, 벌채 후 8년차부터 벌채 후 10년차 까지 비목나무 때죽나무, 졸참나무 등이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벌채지 산림내부의 종다양도지수는 남서사면에서 계속 낮아졌으며, 북동사면에서는 6년차까지 증가하다가 벌채 후 8년차부터 감소하였다. 흉고직경급(DBH) 분석에서 벌채 후 10년경과시 남서사면의 경우 졸참나무, 때죽나무, 비목나무의 개체수가 출현율이 높았고, 북동사면의 경우 당단풍나무, 쪽동백나무, 함박꽃나무, 비목나무. 두릅나무의 개체수 출현율이 높게 나타났다. 기저면적은 남서사면의 경우 8년차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북동사면 경우는 증가하여 사면간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