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4초

중학생의 BMI 정도에 따른 학교적응 영향요인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influencing the school adjustment by BMI)

  • 서지영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2호
    • /
    • pp.429-440
    • /
    • 2015
  • 본 연구는 청소년 초기인 중학교 2학년 남녀학생의 BMI 정도에 따라 학교적응의 영향요인이 어떻게 다른지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한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KCYPS) 2010 중1 패널의 2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설명변수는 부모의 관심, 문제행동, 공격성, 주의집중 문제, 신체증상, 사회적 위축, 우울 및 학업성취도 (더미변수 처리)이다. 서술적 통계, 피어슨의 상관계수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남학생은 학업성취도 상이 공통된 영향요인이었으며, 설명력이 11.3 19.1%였다. 여학생은 주의집중 문제가 공통된 영향요인이었으며, 설명력이 14.9~42.4%였다. 학교적응의 영향요인들은 남녀학생의 BMI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추후 중학생의 학교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BMI 정도에 따라 성별 특성에 맞춘 적응 증진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일 대학 식품영양학과 학생의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및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reer identity, Satisfaction in major,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for students of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at a University)

  • 이송미;조지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698-6707
    • /
    • 2015
  • 이 연구는 학문의 복합성과 진로의 다양성을 가지고 있는 식품영양학과 학생들의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학생의 진로지도 및 생활지도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2를 이용하여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후, 학생들의 특성에 따른 변수간의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 분산분석,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및 대학생활적응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학과에 대해 사전에 알고 진학한 경우,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및 대학생활적응에서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 진학 후 높은 전공만족도 및 대학생활적응과 향후 진로 결정을 위해서는 식품영양학과에 대해 학과 선택 전에 잘 알 수 있도록 사전지도가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하여 그동안 식품영양학과에서 시도되지 않았던 학생들의 심리적 특성 및 진로의식 파악을 통한 생활지도 및 진로지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학생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미국내 한국학생들의 건강과 적응 (Korean Students' Health and Adjustment in the United States)

  • 최은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2-82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health and adjustment issues of Korean students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students' health in the United State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the United States has increased. In addition, more and more Koreans come to the United States for education. Korean students formed the fifth largest international group found on American campuses. As more and more international students study on American campuses, their health needs and problems became a concern to health professionals. Most health problems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 are stress related and psychosomatic. These students also have difficulties in using health care services. International students face barriers to obtaining health care because of differences in language and differences in cultural beliefs toward health. Korea manifests an eastern culture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the western culture, so many Korean students studying in the United States experience difficulties in adjustment and using health care services. The study on the needs of Korean students in the U.S. reviewed in this research was a survey of 105 Korean students at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990. Korean students' health problems included stress, colds, fatigue, and headaches. Homesickness, financial problems, and academic problems were also important problems the Korean students faced. Korean students usually did not participate in any activities with Americans as much as with Koreans. Most Korean students did not participated in any health education workshops held on campus. This may be because the students had not participated previously in health education workshops conducted on campuses in Korea. Korean student's confidence with the English language appeared to be an important variable in using or not using the university health services. University health professionals in the United States need to develop better information system for international students so that they may better use the health services provided on campus. Also, university health professionals working on campuses in Korea need to put more attention on health of college students and provide on-campus health education workshops which meet the student's needs.

  • PDF

간호대학생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 및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ental social support on the transition to college life and career identity of nursing undergraduate college students)

  • 김재희;장숙랑;지현진;정경주;서유진;김진현;최영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027-6035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부모의 사회적지지에 따라 학년별 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서울과 지방의 4년제 간호대학생 542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부모 각각의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적응, 진로정체감을 자기기입식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간호대학생들의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과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Hierarchical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부모의 사회적 지지는 대학생활적응,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쳤다.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년, 전공만족도, 어머니의 정서적 지지였다.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년, 전공만족도, 아버지의 정보적 지지였다. 간호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 교수들은 효율적인 학습법 개발과 더불어 부모의 면담을 통한 사회적지지의 필요성을 알리고 전공지식과 학습 방법에 대한 정보 공유, 간호학 선배와의 의사소통을 통해 간호학 전공에 대한 인식을 높여줄 필요가 있다.

기혼여자 대학원생의 다중역할 수행 경험과정 (A Grounded Theory Approach on the Multiple Role Experience of Married Women Graduate Students)

  • 김은하;임연옥;박경숙;김남영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3-125
    • /
    • 2008
  • Purpos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graduate student women with children fulfilling multiple roles and to generate a substantive theory. Methods: This study uses the grounded theory method based on Strauss and Corbin(1988)'s metho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graduate student women who had children aged three of older. Results: The core category of this research is 'Role balancing for self-generativity'. Based on the core category, three types of married women graduate students' experiences were found. They are 'concentrating on graduate-work' 'postponing graduate-work' and 'adjustment between two roles' Conclusions: Through understanding the married women's multiple roles experience process, there can be a basis for making a women's health system and social support system for the married women graduate student. Also, this research is to generate a substantive theory which can helps to change social perspectives on the quality of life for the women who will contribute in Korean society as professionals.

  • PDF

간호대학생의 외모만족과 학교생활적응: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Moderating Effect of Gender)

  • 박순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302-312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외모만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조사하고 자아존중감과 성별의 매개 또는 조절효과 파악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서 연구대상자는 D시에 소재한 간호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18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외모만족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자아존중감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존중감은 외모만족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또한 성별은 외모만족과 자아존중감 사이에서 조절효과가 있었으나 외모만족과 학교생활적응,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사이에서는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만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을 증진하기 위한 전략으로 외모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증진하고 자아존중감의 강화가 필요함을 의미하며 여학생을 대상으로 특화된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간호대학생의 그릿이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it in Nursing Student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 원효진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89-95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이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C 지역의 간호학과 대학생 1-2학년 총 26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기술 통계 방법,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 하였다. 그 결과, 그릿의 하위 영역 중 흥미 유지 3.27점(±0.71), 노력 지속 3.35점(±0.69)이었다.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하위 영역 중 학습계획 3.43점(±0.56), 학습 실행 3.52점(±0.67), 학습 평가 3.47점(0.71)이었다. 대학생활적응의 하위 영역 중 학문적 적응 3.43점(±0.66), 사회적 적응 3.36점(±0.78), 정서적 적응 3.38점(±0.72), 신체적 적응 3.35점(±0.80), 대학에 대한 애착 3.40점(±0.64)이었다. 간호대학생의 그릿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그릿의 하부 영역은 흥미 유지 (t=2.423, p<.05), 노력 지속 (t=3.761, p<.001) 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0.2%이었다(F=23.609, p<.001). 간호대학생의 그릿이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그릿의 하부 영역은 흥미 유지(t=3.112, p<.001), 노력 지속(t=3.930, p<.001)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3.2%이었다(F=30.608, p<.001).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그릿으로 자기주도 학습능력, 대학생활적응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더 나아가 이를 위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경호 전공생의 대학생활 적응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curity Service-major College Students' Adjustment on Career Decision)

  • 강민완;권창기;김형승
    • 시큐리티연구
    • /
    • 제12호
    • /
    • pp.1-23
    • /
    • 2006
  • 대학생이 진로결정을 하는 것은 대학생활을 적응하면서 다양한 경험으로 인해 졸업 후 자신의 진로에 관한 생각이 입학 당시의 생각과 달라질 수도 있다. 경호 전공생의 경우 경호라는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분야이기 때문에 졸업 후에도 경호 분야로 진로를 결정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러나 대학에서 자신의 전공 분야로 졸업 후 취업으로까지 이어지는 경우는 생각보다 많지 않으며, 가족이나 친척 등 주변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이 연구는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결정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경호를 전공하고 있는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및 진로결정의 연구모형을 설정한 다음 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즉, 이 연구에서는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다른 대학생활 적응 및 진로결정의 차이를 분석하고, 대학생활 적응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은 차이가 있다. 즉, 성별에 따른 정서적 적응은 남성이 높다. 학년 및 연령에 따른 정서적 적응은 학년 및 연령이 증가할수록 높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진로결정은 차이가 있다. 즉, 학년에 따른 진로결정 보류는 1학년이 높으며, 연령에 따른 진로결정 회의감은 1학년이 높다. 셋째, 대학생활 적응은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즉, 환경적 적응이 높을수록 진로결정 보류, 진로결정 회의감이 낮고 진로결정 편안함은 높다. 정서적 적응이 높을수록 진로결정 회의감이 낮다. 대인적 적응이 높을수록 진로결정 편안함이 높다.

  • PDF

대학생의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ndergraduate Students' Stress,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n College Life Adjustment)

  • 조보람;이정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1-11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을 예측요인으로 선정하여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에 위치한 D대학교 1,2학년 1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18.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스트레스(B= -.351, p< .01), 사회적지지(B= .210, p< .05) 회복탄력성(B= .355, p< .01)이며 30.6%의 설명력을 보였고 회복탄력성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다.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스트레스와 학업스트레스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회적지지 중 친구지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회복탄력성 하위요인으로는 생활만족도와 원인분석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회적지지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스트레스는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 스트레스를 낮추고,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고 이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혁신적 대학교육을 위한 학생관리시스템 고도화 방안 연구 (A study on how to advance the student management system for innovative university education)

  • 김민수;민현구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89-94
    • /
    • 2022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본격적인 시작으로 새로운 산업과 사회의 빠른 변화로 인한 교육적 수요의 변화와 급속히 감소하는 학령인구로 인한 생존경쟁에서 대학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 즉 혁신적인 대학교육을 위한 고도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학생들의 대학 입학부터 졸업까지 대학생활적응진단을 통해 학생상담 및 지도 관리를 위한 시스템 적용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각 대학에서는 빅데이터(Bigdata),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기술을 기반으로 과정 연계형 통합 플랫폼 고도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보호학전공 분야를 바탕으로 혁신적 대학교육을 위한 학생관리시스템 고도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