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 Studying Abroad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4초

Evaluating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Saudi Students in Distance-Learning

  • Almaleki, Deyab 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7호
    • /
    • pp.173-181
    • /
    • 2021
  •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Saudi Arabia encourages Saudi students to continue their education at Saudi universities or abroad. Currently, an estimated 1,282,140 Saudi students are studying at Saudi universities. The extent of the research so far has not focused on Saudi student experiences, but it has shown that even a single negative event can dramatically reduce the chances of a student completing a degree. Thus, more research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describe the context and obstacles (environmental and psychological) that Saudi students face. The evaluation was multifaceted to capture not only performance outcomes, but also other factors that have been suggested by research as influential to students' ability, such as the environmental, cultural, and psychological risks for graduation that Saudi students self-report. A single group pretest (survey)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Findings suggest depression stress and college stress predict stress levels, while subjective happiness predicts levels of scientific participations of the sample. Moreover, depression stress shows more consistency with hours spent on the internet for study purposes. These results should be considered in study support programs both institutionally and geopolitically by universities and governments.

중국인 유학생의 생활스트레스 및 문화적응스트레스가 학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The effect of Life Stress,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Academic Satisfaction in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the Republic of Korea. - Target on Beauty Major College Students.)

  • 임상란;이지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89-199
    • /
    • 2017
  • 본 연구는 서울에 재학 중인 20대 중국인 유학생 중 미용전공자 283명을 대상으로 중국인 유학생의 생활스트레스 및 문화적응스트레스가 학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7년 2월부터 3월까지 진행하였다. 자료처리 및 분석은 SPSS ⅴ.22 통계 패기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 대상자인 중국인 유학생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과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인 유학생의 생활스트레스 하위요인인 친구관계스트레스, 외모스트레스, 경제적스트레스, 가족관계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가 낮을수록 학업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적응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인간관계스트레스, 생활문화스트레스를 적게 받을수록 학업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통해 중국인 유학생들이 한국 유학생활에서 느끼는 생활스트레스와 문화적응스트레스를 파악하여 문화 생활 교육 측면에서의 적절한 지원체계를 통한 유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함으로써 중국인 유학생들의 학업만족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율적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베트남 유학생들의 행복한 대학생활 적응 방안 - 생활·경제, 복지 환경, 대학 전공 교육, 언어 연수 설문 조사를 기반으로 - (Way to on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Life in Vietnam Foreign Student Abroad - Based on a Survey of Living, Economic, Welfare Environment, University Major Education, and Language Training -)

  • 박종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495-504
    • /
    • 2019
  • 2000년대 이후 국내 외국인 유학생은 크게 증가하였다. 2010년대 후반 정부의 고등교육 국제화 전략으로 인해 2019년 현재 외국인 유학생 수는 14만 명이 되었으며, 2023년에는 20만 명에 이를 전망이다. 우리 사회의 국제화와 인구절벽의 사회적 문제 앞에 외국인 유학생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은 상당히 고무적인 일이며, 앞으로 이들의 행복한 유학생활은 상당히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최근 한국에서 유학하는 베트남 유학생 수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들의 행복한 유학생활에 대해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베트남 유학생들의 행복한 유학생활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한국 사회에 유입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도 우리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인식하고 행복한 유학생활을 할 수 있도록 생활·경제, 복지, 교육 등의 측면에서 함께 노력해 가야 할 것이다.

부산지역 외국인 유학생의 종교에 따른 한국 식생활 적응도 및 대학급식소 이용행태 조사 (A Study on the Korean Food Adaptation and Utilization of University Foodservice According to the Relig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Busan)

  • 홍경희;이현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65-277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ietary adaptations and use of university foodservice in Korea according to the relig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to June in 2017 and included 609 subjects studying at a university in Busan. Muslims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eating three meals per day (42.4%) but the highest rate of eating unbalanced meals (64.7%) and midnight meals (41.8%). The most frequent problematic eating habit among Buddhists was irregular mealtimes (46.0%). Adaptation frequency to Korean diet was lowest among Muslims and highest among Christians. Securing halal foods was difficult for Muslims in Korea, and demand for halal foods as a school restaurant menu was high. The response rate for experiencing Korean food at university foodservice was highest among Christians (79.7%) and lowest among Muslims (45.3%). The main reason for not using university foodservice for Muslims was "no menu to eat" for religious reasons, and other religious groups cited "lack of menu variety." Preferred types and recipes of meats, fish, and vegetables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religion. As a result, efforts should be made to increase adaptation to life abroad in Korea, including changes in university foodservice management, considering the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students.

온라인 쇼핑몰의 이용동기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국 유학생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online shopping mall Usage Motives in e-commerce on Repurchase Intention: Centered on international Chinese students)

  • ;이윤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207-223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의 중국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쇼핑몰의 이용 동기가 재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국유학생 2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PSS 23.0을 통해 온라인 쇼핑몰의 이용 동기 및 고객만족도, 재 구매의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온라인 쇼핑몰의 이용 동기 중 제품 지각, 고객 서비스 및 쇼핑 경험은 고객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용 동기 중 제품 지각, 쇼핑 경험, 고객 서비스가 재구매 의도를 명확하게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부분을 실증적으로 재확인하였다. 셋째, 만족도는 재구매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에 따르면 한국에서 중국인 유학생들의 온라인 쇼핑몰의 이용 동기는 만족도 및 재 구매의도의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온라인 쇼핑몰의 유형에 따라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인터넷쇼핑몰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 of Internet Shopping Mall in Korea and China University Students)

  • 김민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193-20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학생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중국 유학생과 한국 대학생들 간의 인터넷쇼핑몰 이용 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확인하고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속성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한다. 그 결과를 토대로 중국 유학생들이 국내 인터넷쇼핑몰 이용과정에서 만족도를 높일 방안을 제시하고 국내 인터넷쇼핑몰을 운영 중인 기업에는 외국인 고객들의 이용 만족을 향상할 수 있는 전략을 조언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 학생들과 중국 학생들의 인터넷쇼핑몰 이용할 때에 경험했던 시스템 평가 요인 중 한국 학생들은 정보 품질이 중국 학생들보다 더 좋다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중국 학생들은 한국 학생들보다 기능성이 더 좋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한국 학생들과 중국 학생들이 인터넷쇼핑몰 이용할 때에 경험했던 물류시스템 평가요소 중 신속성과 배송 품질은 모두 한국 학생들이 중국 학생들보다 더 좋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셋째, 한국 학생들이 국내 인터넷쇼핑몰을 이용할 때에 소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기능성, 배송 품질, 응답 신뢰성, 정보 품질, 신속성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 유학생들은 배송 품질을 제외한 기능성, 정보 품질, 신속성, 응답 신뢰성 등이 모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간호대학생의 자아개념과 임상실습만족도와의 관계 (Study on Self-Concept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 조결자;강현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63-74
    • /
    • 1984
  •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and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clinical practice.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194 junior and senior students selected from S universities by questionaire from Nov. 1 to Nov. 30, 1983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ccording to purpose of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elf-concept by religion was significant (F = 4.51, df=4/185, p= .002). 2. In the motives of selecting the nursing, most of students chose the nursing depending on their altruism(62.9%), ability and aptitude(57.7%) and better opportunity of studying abroad and Setting a job(49.5%) respectively. 3. The degree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was low as 2.80 of a total score 4.0.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contents(3.33) revealed to be high. Compared with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instruction(2.77), practice hours(2.83), practice environment (3.65), and clinical evaluation(2.60) revealed to be low. Religion and choice order of the admission were not significant i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t=.37, p=.715). The main hypothesis that“The more positive self concept will be, the higher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clinical practice will be”was not supported (r= .0509, p=.240). The first sub-hypothesis that“The more positive the cognitive self-concept will be, the higher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ll be”was partially supported. Because favorite-isolated self-concep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atisfaction (r=.1189, P=.005). The second sub·hypothesis that“The more positive the evaluational self-concept will be, the higher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clinical practice will be”was not supported. As a above results, self-concept was not influenced to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clinical practice,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environment, instruction method and evaluation for clinical practice should be refined and improved by clinical administrators and nursing faculties for nor-sing student's satisfaction on clinical practice.

  • PDF

국내 대학생의 취업태도 및 취업준비 비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ployment preparation cost and attitude of college student for Job-seeking)

  • 정범석;정화민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4호
    • /
    • pp.1-19
    • /
    • 2014
  • 본 연구는 청년실업의 증가와 이에 대한 대학생들의 취업준비비용, 취업태도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심각한 취업난에 처해있는 국내 대학생들의 취업을 위한 비용지출의 실태와 취업효능감, 취업태도, 대학교 교육여건 인식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 4년제 대학생과 전문대생과의 취업비용과 취업태도, 교육여건, 자기효능감의 차이와 인과관계를 통계적으로 알아봄으로써 대학에서의 학생 취업관련 정책과 업무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교육훈련의 경우 전문대생은 자격증취득, 4년제 대학생은 토익 등 영어교육을 우선시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전문대생과 4년제 대학생의 취업비용의 차이분석에서는 해외연수비용이 전문대생은 평균 809만원, 4년제 대학생은 1,559만원, 취업을 위한 교육훈련비용도 4년제 대학생이 202만원, 전문대생은 113만원, 의류잡화비용도 전문대생은 66만원, 4년제 대학생은 97만원으로 4년제 대학생이 더 많은 비용을 지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계열별 해외연수비용과 의류잡화비용의 차이검증에서는 컴퓨터경영계열, 전기전자계열, 디자인계열, 사회계열에서 사회계열 학생의 해외연수비용과 의류잡화비용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취업비용의 차이도 치아교정비용에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많이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 가정의 월평균 수입에 따른 대학생의 취업비용차이는 해외연수비용, 교육훈련비용, 의류잡화비용에서 월 소득이 많은 가정의 대학생들이 그렇지 못한 가정의 학생들보다 비용을 더 지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태도는 전문대생이나 4년제 대학생이 인지하는 것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취업효능감, 학교의 교육여건 인식의 경우 전문대생보다 4년제 대학생이 통계적으로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취업준비비용에서 해외어학연수비용이 가장 큰 금액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학유형별 지출의 차이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유형별 취업효능감, 학교교육여건의 인식도 4년제 대학생이 전문대생보다 더 높게 조사되었다. 자기효능감과 교육여건은 취업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고, 대학에서의 취업태도를 긍정적으로 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적용과 전문대학은 자격증 교육, 4년제 대학은 영어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과 프로그램 선정에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재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의 한국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aptation to Korean College life of Uzbekistan Students')

  • 아지조바 피루자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517-531
    • /
    • 2018
  • 본 연구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의 대학생활에서의 적응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 위치란 I 대학교 재학 중인 우즈베키스탄 유학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한국 대학에 입학하게 된 동기와 대학생활에서 겪는 스트레스에 대해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부분 연구 참여자들은 자국에서 해외 유학 전시회를 통해 한국 대학교에 대한 정보를 얻고 한국으로 유학하게 되었다. 심층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연구 결과는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의 대학입학 동기 (1)밝은 미래를 위한 준비 (2)가족의 영향으로 나타났다. 우즈베키스탄에서는 자식의 교육을 결정할 때 부모의 역할이 크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의 유학동기가 자신의 결정과 부모의 역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대학생활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내용은 (1)경제적인 스트레스 (2)학업에서의 스트레스 (3)대인관계에서의 스트레스 (4)미래와 취업에 대한 걱정으로 인한 스트레스 총 4 개 범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과 대학교의 역할, 적절한 지원 프로그램 마련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