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daptation to Korean College life of Uzbekistan Students'

재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의 한국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 Firuza, Azizova (Graduate school student, Dep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ha Univ.)
  • Received : 2018.01.17
  • Accepted : 2018.03.09
  • Published : 2018.04.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Uzbekistan students's adaptation to Korea college life. Qualitat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regards to the motivation for college entrance and stresses incurred during college life for 10 Uzbekistan students who were studying at I college located in Incheon. Data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theme analysis method. Most of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got information about Korean colleges through their overseas study exhibitions in their own countries and became Korea colle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asons for college enrollment were (1)preparation for future goals (2)the influence of family. In Uzbekistan, parents play a big role in determining their children's education. Therefore, their decision to study abroad and the role of their parents were significant. The stress they experienced in college life fell into five categories, namely, (1)financial stress (2)stress about studies (3) stress in regards to human relationships (4)stress in regards to their futures and getting a job. In addition, this study discussed how to solve such as problems experienced by Uzbekistan students. And also the role of college and the necessity of providing appropriate support programs were discussed.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의 대학생활에서의 적응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 위치란 I 대학교 재학 중인 우즈베키스탄 유학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한국 대학에 입학하게 된 동기와 대학생활에서 겪는 스트레스에 대해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부분 연구 참여자들은 자국에서 해외 유학 전시회를 통해 한국 대학교에 대한 정보를 얻고 한국으로 유학하게 되었다. 심층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연구 결과는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의 대학입학 동기 (1)밝은 미래를 위한 준비 (2)가족의 영향으로 나타났다. 우즈베키스탄에서는 자식의 교육을 결정할 때 부모의 역할이 크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의 유학동기가 자신의 결정과 부모의 역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대학생활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내용은 (1)경제적인 스트레스 (2)학업에서의 스트레스 (3)대인관계에서의 스트레스 (4)미래와 취업에 대한 걱정으로 인한 스트레스 총 4 개 범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과 대학교의 역할, 적절한 지원 프로그램 마련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를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