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 Self-Assessment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31초

포트폴리오 평가의 개념과 절차; 공학교육 학습평가의 한 가지 대안 (Concepts and Implementing Steps of Portfolio as an Alternative Assessment in Engineering Education)

  • 최유현
    • 공학교육연구
    • /
    • 제3권2호
    • /
    • pp.71-83
    • /
    • 2000
  • 최근 교육평가의 논의에서 포트폴리오는 대안적 평가의 한 유형으로 부각되고 있다. 즉 포트폴리오 평가는 평가의 보편적인 접근과는 달리 학생들의 학습 활동을 전 시간에 걸쳐 수집하고 평가하는 혁신적인 평가 방법으로 대두된다. 특히 공학교육에서의 이러한 접근은 공학교육의 특성상 의미있는 접근이 되며, 이 연구에서는 공학교육에서의 포트폴리오의 평가의 개념을 논의하고 나아가 실제로 공학교육에서 포트폴리오를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절차를 제안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의 탐색 결과는 학생들이 학습 목표를 도발하는데 서류화한 학생들의 활동 생산물을 수집하고 평가하는 유목적적, 체계적, 성찰적 과정으로 정의되며, 적용을 위한 절차는 포트폴리오의 목적, 내용, 평가, 활용의 네 단계를 제안하였다.

  • PDF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촉진을 위한 학업성취도 분석 기반의 수행평가 시스템 구현 (An implementa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based on academic achievement analysis for promo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김현정;최진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13-323
    • /
    • 2009
  • 본 논문은 프로그래밍 교과의 수행평가 시스템에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촉진을 위하여 학업성취도를 분석 및 예측하는 기능 구현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구현한 수행평가 시스템은 우선 루브릭을 적용하여 프로그래밍 수행평가의 채점을 논리력, 문제해결력, 창의력으로 단순한 점수가 아닌 이원분류를 통해 고차원적인 인지능력에 대한 항목별 근거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학업성취도를 단순히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분석하여 학생별 학업성취도를 측정 준거 별로 분석할 수 있도록 그래프로 표현하였다. 나아가 학업성취도에 이동평균법을 적용하여 향후 점수를 예측할 수 있게 하였다. 이로 인해 학생은 평가 결과 그래프로 현재 자신의 학습상태를 파악하고 앞으로의 학업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함으로써 자신의 학습 준거 별장 단점을 분석하여 학습 방향 및 학습시간에 대한 자기 성찰에 도움을 주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교사에게는 학업상태에 따라 완전학습을 추구하기 위하여 학생들에게 제공될 수 있는 교육적 방법을 차등 지원함으로써 교육의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다.

  • PDF

협동학습에서 팀 구성원의 자기 및 동료평가를 위한 평가문항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Items for Self and Peer Assessment of Team Members in Cooperative Learning)

  • 부성미;박찬정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1-10
    • /
    • 2003
  • 제7차 교육과정이 시작되면서 수업의 형태가 다양화되어지고 있다. 이 중에 팀별로 문제를 해결하는 협동학습이 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데, 협동학습 시 평가를 위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지 않다. 한편, 웹기반교육인 경우 매체의 특성 때문에 협동학습이 더욱 잘 활용될 수 있다. 향 후, 웹기반 협동학습을 위한 선행연구로서 전통적 협동학습에서 결과 중심의 평가방법을 지양하면서 팀별로 문제해결을 위한 과정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며 팀 구성원을 개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학습자 평가문항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ABET EC-2000에서 개발한 프로그램 결과물과 평가에 관한 속성들 중에서 관련되는 속성을 추출하고 Bloom의 인지적 영역을 혼합하여 평가문항을 마련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평가문항의 신뢰도를 검증하고, 각 평가문항의 척도를 임의적으로 계량화한 후 학생들이 전통적인 평가방법에 의해 받은 점수와 제안한 평가문항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의 점수를 이용하여 본 논문의 결과물에 대한 응용 사례를 제시한다.

  • PDF

중학교 자유학기제 형성평가 방안 탐색 (An Exploration on Formative Evaluation Methods for Free Semester System in Middle School)

  • 원효헌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1호
    • /
    • pp.289-299
    • /
    • 2016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evaluation methods which would measure student achievement and progress without traditional paper-pencil tests such as mid-term and final examinations. More specifically, the main research focus were to establish general directions of student assessment during free semester, to build evaluation models supporting student's participation and learning, and to report and record various student evaluation results. As research results, we found that student evaluation of free semester should be organized to improve a) experience learning activity, self-regulatory and collaboratory study, b) high-order thinking ability and character-building, and c) teacher-student-parent cooperation. Since traditional paper-pencil tests were restricted in free semester, student achievement should be provided by a way of performance descriptions on transcripts rather than quantitative grade points. Student performance descriptions had to show not only subject knowledge but also students efforts,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These multiple and educationally meaningful information would be collected by teacher-student-parent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EFL 학생들의 자기평가 도구의 활용에 관한 질적 분석 (Qualitative Analysis of Using Self-Assessment for EFL Students)

  • 나경희;표경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634-643
    • /
    • 2016
  • 평가도구가 갖는 객관성은 평가의 주요 원칙 중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지금껏 자기평가도구는 객관성이 미흡하다는 이유로 공식적인 평가도구로 사용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학생들이 영어 강좌를 수강하는 과정에서 자기평가도구의 사용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해 나가며, 또한 평가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과정에서 스스로의 성취에 대한 평가를 어떠한 시각으로 바라보게 되는지에 대하여 양 질적으로 조사,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로서는 학생의 자기평가지와 심층면담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자기평가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소규모 활동을 진행하면서 긍정적으로 되어 갔으며, 또한 자기평가라는 기제는 학생들이 그룹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장치로써 작용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자기평가의 가치를 타당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기평가 연구가 교실 현장의 사회문화적인 맥락에서 이루어져야함을 제안하고 있다.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치위생 교육 경험 연구 -학습태도, 학생평가 중심으로- (A study of problem based learning (PBL) experience in dental hygiene education - learning attitude, student assessment -)

  • 김설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797-805
    • /
    • 2010
  • Objectives : This study was application problem-based learning(PBL) of performance oral health manage in dental hygiene education. and evaluate on learning effect - learning attitude, student assessment(good or bed). Methods : For this study, we sampled 31 dental hygiene students composed of PBL group, Dept of Dental Hygiene, A college. The period of this study was 1 semester(from september, 2008 to December, 2008). To identify the effect of PBL on learning attitudes, student assessment, we used a t-test and compared pre & post effects of PBL using a paired t-test and General Linear Model(GLM), McNemar test.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problem based learning(PBL) for dental hygiene students education was more effective in learning process and effect of PBL rather than direct instruction. students assessment results that problem based learning improves their medicine knowledge and communication.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 that PBL contribute to enhancing learning attitudes, learning effect and solve the real problems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대학생 와인소비자와 와인전문가의 와인 미각 평가 차이 분석 (Wine Gustative Assessment Gap Analysis of College Student Wine Consumers and Wine Experts)

  • 도현욱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64-372
    • /
    • 2016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taste of the wine assessment gap analysis to compare the taste of the wine intended for college student wine consumers and wine experts. Research analysis was carried out frequency analysis to the strength of the wine taste a difference in the intensity of the consistency review and wine for the wine flavor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result, red wine, bitter and salty taste was perceived higher. For white wines are perceived sweetness of wine was sour and higher consumer groups. Body was found that wine experts perceive higher. The Second difficulty is when college student wine consumers selected wine got another show to the lack of information, lack of expertise, price, taste, the combination of food. Another wine on difficult points during the wine expert wine recommendations wine selection, price, prejudices then guest it showed a preference and communication, considering that the customer's budget, customer preferences, taste and aroma, the combination of the food and the customer response was configured. Although the criteria have different tastes for wine through college student wine consumers if future studies presented by symbolic reference to the wine tasting, can be self-objectification of subjective criteria subjective wine experts are wine consumers to take advantage of these data.

협상에 기반한 동료평가 및 자기평가 활동이 과학 영재 고등학생들의 모델링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Negotiation-Based Peer and Self-Assessment Activities on Science-Gifted Students' Modeling)

  • 조은비;정도준;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5권6호
    • /
    • pp.455-467
    • /
    • 2021
  • 이 연구는 협상에 기반한 동료평가 및 자기평가 활동이 과학 영재 학생들의 모델링에 미치는 영향 및 이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시의 과학 계열 특수 목적 고등학교 2학년 학생 92명을 대상으로 과학 계열 전문 교과인 고급 화학 학습 내용 중 4가지 주제에 대해 과학 글쓰기 및 협상에 기반한 동료평가 및 자기평가 활동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이 구성한 모델링은 과학 개념 구조화, 논리성, 다중표상, 의사소통 측면에서 분석되었으며, 협상에 기반한 평가 활동이 진행됨에 따라 과학 글쓰기에 나타나는 모델링 수준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평가 활동의 결과를 타당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평가 활동의 결과를 다음 글쓰기에 참고함으로써 자신의 학습을 개선할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포트폴리오 과정 및 평가에 대한 학생의 만족도조사 (A Survey of Student Satisfaction with a Portfolio Process and Assessment)

  • 유동미;한재진;어은경
    • 의학교육논단
    • /
    • 제16권1호
    • /
    • pp.42-49
    • /
    • 201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and analyze students' attitudes and satisfaction to the portfolio process and assessment for the Introduction to Clinical Medicine course at Ewha Woma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n Seoul, Korea. The subjects consisted of 64 medical school students.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20 5-point Likert-type items were developed, including three question domains: 1) orientation, 2) portfolios in general, 3) individualized feedback. The mean and median were found and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 major finding was that 54.7% of the respondents felt that the self-reflection involved in building the portfolio was a valuable learning experience. Plus, the majority of respondents perceived that the individualized feedback had a positive tone and its contents were specific, practical, and constructive. The students perceived that building and writing portfolios heightened their understanding of exit learning outcomes and enhanced their reflective think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Meanwhile, some students perceived that there was too much paperwork in the portfolio process and that the process was time consuming. Furthermore, 32.8%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had difficulty establishing their learning strategies by themselves and self-directing their learning during the portfolio process.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building a portfolio can help students not only to enhance their ability to accumulate and use their personal learning resources but also to develop the professional qualities required by doctors, such as self-directed learning, self-reflection, lifelong learning, team work, organizational skills, time management and prioritization, and professional thinking and behavior.

자기평가가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Self-assessment on the Student's Science Concept Understanding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in the Middle School)

  • 남정희;김지연;한인식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87-295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자기평가가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와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자기평가를 실시한 3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자기평가를 실시하지 않은 2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집단은 자기평가를 실시한 후 피드백을 제공한 집단과 자기평가만 실시하고 피드백은 제공하지 않은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수업은 9주(20차시)에 걸쳐 실시하였고, 과학 개념 이해 검사는 사후, 과학 관련 태도 검사는 사전, 사후에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과학 개념 이해에서는 자기평가를 적용한 실험집단이 자기평가를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 관련 태도 향상에도 자기평가를 이용한 수업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 내에서 피드백을 제공한 집단은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과학 관련 태도 향상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과학 개념 이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기평가에 대해 학생들은 자기평가가 후속 학습에 영향을 주며, 학습 태도 향상에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