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 Nurse

검색결과 258건 처리시간 0.024초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교육요구도 분석 (Educational needs analysis for key vocation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 황영희;박선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595-603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직업기초능력 항목의 현재수준과 중요수준을 파악하고, 직업기초능력 항목에 대한 교육요구도 우선순위를 규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수도권, 강원 및 중북권 소재 5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2016년 6월 1일부터 6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411명의 응답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정, Borich 요구도 및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기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은 직업기초능력항목 중 '직업윤리능력', '자기개발능력', '대인관계능력'의 현재수준은 높은 것으로 인식하였고, '의사소통'과 '조직이해능력'의 현재수준은 낮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간호대학생은 직업기초능력 항목 중 '직업윤리능력', '자기개발능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원관리능력', '대인관계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 '수리능력' 순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직업기초능력 10개 항목 모두 중요수준과 현재수준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우선순위 분석결과 '의사소통', '문제해결', '자원관리', '자기개발'의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교육요구도를 고려한 직업기초능력의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전공만족도, 임상실습만족도가 간호사로서의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College Adaptation, Satisfaction of Major and Clinical Practice on Vocational Identity in Nursing Students)

  • 이미라;김미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97-208
    • /
    • 2018
  •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전공만족도, 임상실습만족도와 직업정체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간호대학생의 직업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간호사로서의 직업정체성을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는 간호사 이직률을 감소시킬 방안을 강구하는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D지역에 소재한 2개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학과 재학생으로 임상실습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3,4학년 학생 중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서면 동의한 335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고, 부적절하게 응답한 18부를 제외한 317명(응답률 94.6%)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활적응, 전공만족도, 임상실습만족도, 직업정체성 네 변수 간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대학생활적응, 전공만족도, 임상실습만족도가 증가할수록 직업정체성도 높아졌고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50.6%였다. 직업정체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독립변수 대학생활적응이었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에게 간호사로의 직업정체성을 높여 신규 간호사의 이직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간호대학에서 대학생활적응력을 높일 수 있고 전공만족도와 임상실습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적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대학생활적응, 전공만족도, 임상실습만족도, 직업정체성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실습만족도를 향상시키려는 구체적인 노력이 필수적이다.

간호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에서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between Nursing student's Adult attachment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 오은진;박순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94-10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성인애착, 대인관계능력,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J시, M시 소재의 간호대학생 685명으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11월 1일부터 25일까지 25일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regression, sobel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대상자의 성인애착은 7점 만점에 회피애착 4.80점(${\pm}0.91$), 불안애착 4.51점(${\pm}0.76$), 대인관계능력은 5점 만점에 3.51점(${\pm}0.49$), 대학생활적응은 5점 만점에 3.15점(${\pm}0.46$)이었다. 간호대학생의 성인애착은 대학생활적응(r=.437, p<.01), 대인관계능력(r=.585, p<.01)과 양의 관계이었고, 대인관계능력은 대학생활적응(r=.355, p<.01)과 양의 관계에 있었다.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매개역할을 검증한 결과, 간호대학생의 성인애착이 증가할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았으며(B=.225, p=.027), 대인관계능력이 증가할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고(B=.145, p=.040), 성인애착이 높아짐에 따라 대인관계능력이 높게 나타났다(B=.396, p=.021). 또한, 대인관계능력은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유의하게 매개역할을 하였다(Z=3.560, p<.001). 이에 대한 설명력은 34.2%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을 포함하여 적용해 볼 것을 제언한다.

일부 남자 고등학생의 흡연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Male High School Students' Smoking Patterns)

  • 이기영
    • 대한간호
    • /
    • 제36권5호
    • /
    • pp.91-100
    • /
    • 1998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moking patterns in high school student and to give student smoker effective information. The sample of 250 male highschool students out of two different schools in Tae-Jon was questioned from July 10th to 15th. 1995. In analyzing these date. the statistics shows the realities by means of number of studen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to 17 items as follows. Regarding the level of smoking. 140 students out of 250 admit that they have ever smoked. 52.1% of smoking students say that the motivation of beginning smoking is mainly curiosity. The survey shows that 22.9% of smoking students feel very good when smoking. It also shows that 30.0% of smoking students began smoking in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With regard to the volume of smoking per day. 41.4% of smoking students smoke variably. 42.1% drink when smoking. 15.0% spend more than W 70.000 a month. About the question who knows the fact of their smoking. 51.5% answer that their friends know the fact of their smoking. In regard to the resaltionship between smoking and school per-formance. 18.2% of non smoking students make poor grades as compared with 40% of smoking students. 9.3% of smoking students say that they are satisfied with the school life. but 35.7% of them are not satisfied. Regarding the attitude to smoking teachers. 35% of smoking students state that they are affected by them. 69.3% of smoking students say that they will stop smoking. while the remaining 30.7% say that they will keep smoking. The reason of 63.9% to stop smoking is that smoking is bad for the health. The reason of 46. 5% to keep smoking is the acquired habit of smoking. 97.2% know the fact that the major element of cigarettes is nicotine and it is very harmful to the health. 40.8% recognize the harmful effect of smoking by TV and radio programs. 97.2% know that smoking could cause lung cancer. From the above results. I propose as follows We should make specific plan to keep smoking by simple curiosity from being developed into habitual smoking. We should teach them how harmful smoking is and make them stop smoking by themselves. It is very essential for family members and teachers to give continuous interest since childhood. As the teacher affect the students very much, they should give up smoking first. The incidence of smoking should be identified in each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s. smoking prohibition programs relevant to each school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he local community should ban cigarette vending machines. Cigarettes should not be sold to adolescents. By setting every place where adolescents gather including schools nonsmoking area. we should decrease their impulse to smoke. then smoking opportunities. and harmful effects to them caused by passive smoking.

  • PDF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과의 교내실습 경험연구: 정신간호학 실습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Clinical Education in School Practice: Focused on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 김현실;김은미;이동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69-178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정신간호학실습에 대한 교내실습 경험을 탐색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강원도 소재 일 대학교에서 정신간호를 실습하는 3학년 학생 62명으로, 자료수집 기간은 2020.08.03.~08.20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 현장경험에 대한 아쉬움 2) 배움을 통한 성취 3) 미래 간호사 역할에 대한 두려움 4) 과제 작성에 대한 부담감 5) 임상 긴장감으로부터 자유로움 6) 타 부서와의 협력의 중요성의 6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교내실습 평가에서는 즉각적 피드백과 자세한 설명, 간접 체험의 내용이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교내실습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서는 시뮬레이션 실습을 포함하여, 간접 체험실습, 온라인/비대면 실습, 대면실습 등의 다양한 콘텐츠가 적절히 활용되어 임상실습과의 격차를 줄이는 효율적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더불어 정신간호학 실습 교육에서는 치료적 의사소통 및 환청 중재와 같은 실무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다각적 노력이 더욱 필요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남자중학교 학생의 학교사고 발생률과 사고원인에 관한 코호트 연구 (A Cohort Study of Incidence Rate and Causes of School Accidents in a Boys' Middle School in Taegu)

  • 박정한;박미화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0권2호
    • /
    • pp.331-340
    • /
    • 1987
  • 남자 중학생의 학교 사고발생 및 관련요인을 알아보고자 대구시내 일개 남자중학교 학생전원 2,324명을 대상으로 1986년 3월 3일부터 1987년 2월 23일까지 한 학년도에 발생된 교내사고에 대해 전향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사고에 대한 자료는 양호실을 찾아오는 학생을 연구자가 직접 처치후 면담조사하였고 학교행사에 관한 자료는 학교일지에서 얻었다. 한 학년도의 사고발생 건수는 총 1,126건이며 사고자수는 총 603명으로 사고발생자의 1인당 평균 사고회수는 1.9회였다. 일일 사고발생건수는 5.1건이며, 사고발생률은 1,000학생일당 2.2회였다. 반별 사고빈도는 연간 평균 약 30회 정도이나 체육특기생이 한 반에 많이 배치되었거나 담임교사가 장기간 부재한 학반에서 54건 및 58건으로 사고발생이 더 많았다. 월별 사고발생율은 6월이 1,000학생일당 3.4건으로 가장 높고 12월과 2월에는 각각 1.5 및 0.7건으로 가장 낮으며 요일별로 별 차이가 없었다. 사고 원인의 62.2%가 장난과 부주의였고, 부적합한 교구 및 시설물이 18.6%였다. 부적합한 교구 및 시설물의 49.3%가 노후된 책걸상으로 인한 사고였다. 병.의원 후송률은 맑은 날에 비해 흐린 날이 3배, 비오는 날이 5배나 되었다. 시험기간 중에는 사고가 거의 없다가 시험이 끝난 후에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이와 같은 사고발생 양상을 볼 때 사고 예방을 위해 반 편성시 체육특기생은 분산시키고, 담임교사의 장기간 부재시는 그 학반과 가장 친숙한 임시담임교사로 대치하여 기강이 흐트러지지 않게 하며, 노후한 교구 및 시설물을 정비 또는 대체하고, 흐린 날이나 비오는 날, 그리고 시험 후에는 사고 발생 가능성이 많으므로 방송, 훈화, 체조 등을 통한 분위기 조절에 힘써야 할 것이다.

  • PDF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영향 요인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Well-Being in Nursing Students)

  • 전원희;차경숙;이기령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76-284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subjective well-being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total of 236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November through December 2013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that surveyed the level of gratitud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subjective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WIN 18.0 program. Results: Subjective happiness positively correlated with gratitude (r=.41, p<.001)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r=.55, p<.001). Life satisfaction positively correlated with gratitude (r=.53, p<.001)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r=.37, p<.001). Significant predictors of subjective happiness included gratitude (${\beta}=.38$, p<.001),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beta}=.28$, p<.001) and major satisfaction (${\beta}=.17$, p=.002).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39.3% of subjective happiness. Significant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included gratitude (${\beta}=.42$, p<.001), academic achievement (${\beta}=.15$, p=.006),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beta}=.16$, p=.008) and major satisfaction (${\beta}=.12$, p=.035).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35.3% of life satisfaction. Conclusion: To improve subjective well-being among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ors should develop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s to promote gratitud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시 스트레스에 따른 불안, 분노 및 피로경험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ger and Fatigue among Stress factor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 한상영;이영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554-561
    • /
    • 2012
  • 본 연구는 임상실습 시 스트레스에 따른 불안, 분노, 피로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간의 공통적인 주제를 모색하여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임상실습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T종합병원에서 임상실습을 하는 간호학생 197명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임상실습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3.82점, 불안은 평균 48.82점, 분노는 평균 1.17점, 피로는 평균 30.96점으로 나타났으며 불안 정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임상실습 스트레스 요인은 집담회, 수업과 실습, 임상실습만족도로 나타났다. 분노 정도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임상실습 스트레스 요인은 과제물, 수업과 실습, 오리엔테이션, 간호사, 실습환경이며, 피로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임상실습 스트레스 요인은 집담회, 오리엔테이션, 실습환경, 환자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불안, 분노, 피로정도, 분노와 피로 정도는 유의한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불안과 분노 정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간접간호중재의 수행 및 위임에 관한 분석 (Identification and delegation of indirect care interventions)

  • 염영희;김소인;차보경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97-207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fourfold: (a) to identify the use rate of the indirect care interventions performed by nurses, (b) to estimate the time to perform each intervention, (c) to identify the indirect care interventions to be delegated to others, and (d) to determine the level of provider preparation needed to delegate indirect care interventions. The sample consisted of 199 nurses working in three hospitals. The Indirect Care Survey developed by the Iowa Intervention Project team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instrument was translated to Korean and validated by nurse experts. Each of the 26 indirect care interventions were used several times a day. Four interventions (i.e.. Documentation, Shift Report, Specimen Management, and Transport) were performed several times a day by 50% or more of the nurses. The most frequently used intervention was Documentation, followed by the interventions Shift report. Environmental Management, Transport, and Examination Assistance. The least used intervention was Quality Monitoring, followed by the interventions Order Transcription, Referral, Health Care Information Exchange, Multidisciplinary Care Conference, and Product Evaluation. The intervention taking the most time to per-form was Technology Management (155.3 minutes), followed by the interventions Documentation, (122.2 minutes), Delegation (84.4 minutes), Supply management (83.4 minutes), and Preceptor: Student (79.9 minutes), Overall, the nurses reported that they would not delegate to others the majority of the interventions. More than 50% of the nurses would not delegate 21 interventions. Shift Report would not be delegated by 95% of the nurses and Documentation would not be delegated by 92% of the nurses. Caregiver Support would be delegated by 68% of the nurses to family. Three interventions (i.e.. Environmental Management, Examination Assistance, and Transport) would be delegated by more than 50% of the nurses to Nursing Assistant. This study will contributes to determining costs of nursing services and enhancing quality of nursing care. Replication study will be needed with large sample.

  • PDF

임신부의 불안 공포의 원인과 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ear and Anxiety of Pregnant Women)

  • 강정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2
    • /
    • 1980
  • The process of having baby including pregnancy, labor and birth; is considered as crises of life cycle. It is noted that most pregnat women experience fear and anxiety through the gestational period and this may effect to the health of the baby and the mother. Therefore, we, nurses must focuse on this fear and anxiety of pregnant women and make an effort to relieve their emotional discomfor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regnant women's intensity of fear and anxiety during pregnancy thus to provide some information for maternal care in terms of antenatal care.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 1. to determine what are the most frequently experienced fear and anxiety and how frequently the pregnant women perceive them as a fearful and anxious experience. 2. to find out the relations between the intensity of fear and anxiety of pregnancy 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ed women During the period May 15,1980 to June 4,1980,212 pregnant were asked to question are by trained student mures who visited to 4 obstetric clinic for antenatal care in C-city. The questionare were designed and and scheduled by author which covers 38 items about fears and anxiety during pregnancy and each item was answered by 5 seales according to it's intensity. The result analysed as percentile , mean and S.D. statistically and obtained as rollows 1) The mean age was 27,4 years, the proportion of women completed high school are 45.3%, and 51.4% has no religion 2)68.6% seplied“positive”response about fears and anxiety during pregnancy. 3) Fear relevant to pain, particularly during labor noted most frequent rate. 4) Social factors may relate to the intensity of the fears or anxiety further more socioeconomic problem take important role and affects to the expectant women, 5) Primigravida noted more fears and anxiety about pregnancy compared to multigravida and more in-tensity during aerly half gestational period than late. Majority of pregnant women have experienced fear and anxiety attendant upon pregnancy and so nurse can help the patient to be able experience 1ha difficult adjustment to be course of pregnancy and be able to get good result both fetus and mother through antenatal ca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