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oke Literacy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중노년기 성인의 뇌졸중 문해력, 건강정보 문해력, 뇌졸중 지식과 자기관리간의 관계 (Relations of Stroke Literacy, Health Literacy, Stroke Knowledge, and Self-Management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 이지연;장희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719-730
    • /
    • 2020
  • 본 연구는 중노년기 성인의 뇌졸중 문해력, 건강정보 문해력, 뇌졸중 지식과 자기관리의 정도를 비교하고 그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뇌졸중 발병률이 높은 중노년기 성인의 뇌졸중 예방을 위한 자기관리의 유의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2019년 12월 5일부터 2020년 3월 31일까지 198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뇌졸중 문해력, 건강정도 문해력, 뇌졸중 지식 및 자기관리에 관한 자료를 체계적인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자료분석은 독립표본 t 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Pearson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량에 대해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중노년기 성인의 자기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β=.190. p=.015), 흡연을 할 때(β=-.226, p=.001), 주관적 건강상태(β=.297, p<.001)와 뇌졸중 지식(β=-.168, p=.014)으로, 이들의 설명력은 약 20.3%였다. 본 연구 결과를 볼 때, 중노년기 성인의 자기관리를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 중재를 개발할 때 주관적 건강상태 및 뇌졸중 관련 지식을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에 거주 중인 중노년기 성인들의 뇌졸중 지식과 자기관리 사이의 매개변수 탐색이 필요하며, 뇌졸중 예방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한글 자음과 모음에 대한 유아의 지식이 단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lphabet Knowledge on Korean Kindergarteners' Reading of Hangul Words)

  • 최나야;이순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3호
    • /
    • pp.151-16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of kindergarteners' alphabet knowledge to their ability to read words, in connection with the features of the Korean alphabet 'Hangul'. A total of 289 children aged four to six from three kindergartens in Busa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o begin with, the participants showed continuous development in the knowledge of consonant names, vowel sounds, the vowel stroke-adding principle, and the alphabet composition principle. Meanwhile, discontinuous development was found in the knowledge of consonant sounds and the consonant stroke-adding principle, which indicated that kindergartners could show differential speed in various sub-skills of literacy development. The kindergartners' naming of consonants developed before their recall of consonant sounds, and the knowledge of consonant sounds had an effect on the knowledge of vowel sounds. Children had difficulty in treating more complicated letters of the alphabet stroke-adding principle test, and eve syllables of the alphabet composition principle test. Most importantly, the children's alphabet knowledge was strongly related to their ability to read words written in Hangul, as kindergarteners with a greater knowledge of alphabet names, sounds, and principles were shown to read words better.

유아의 단어읽기 능력 예측변수 : 연령 집단별, 단어 유형별 분석 (Predictors of Preschoolers' Reading Skills : Analysis by Age Groups and Reading Tasks)

  • 최나야;이순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4호
    • /
    • pp.41-5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dictors concerning preschoolers' ability to read words, in terms of their sub-skills of alphabet knowledge, phonological awareness, and phonological processing. Fourteen literacy sub-tests and three types of reading tasks were administered to 289 kindergartners aged 4 to 6 in Busa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Sub-skills that predicted reading ability varied with children's age. Irrespective of children's age groups, knowledge of consonant names and digit naming speed commonly explained the reading of real words. In contrast, skills of syllable deletion and phoneme substitution and knowledge of alphabet composition principles were related to only 4-year-olds' reading skills. Exclusively included was digit memory in predicting 5-year-olds' reading abilities, and knowledge of vowel sounds in 6-year-olds' reading skills. The type of reading task also influenced reading ability. A few common variables such as knowledge of consonant names and vowel sounds, digit naming speed, and phoneme substitution skill explained all types of word reading. Syllable counting skills, however, had predictive value only for the reading of real words. Phoneme insertion skills and digit memory had predictive value for the reading of pseudo words and low frequency letters. Likewise, knowledge of consonant sounds and vowel stroke-adding principles were significant only for the reading of low frequency letters.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Action-observation Training Impacts on the Improvement of Stroke Patient's Cognitive Functioning)

  • 이슬아;강선화;최원호;이인경;정상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99-206
    • /
    • 2019
  • 연구목적은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2018년 4월 23일부터 5월 18일까지 경인지역 병원에 입원 중인 재활환자 7명을 대상으로 MMSE-K와 LICA를 사용하여 평가를 진행하였고, 동작관찰프로그램으로는 상지 ROM 댄스, 풀 오버형 옷정리, 운동화 끈 묶기, 수건 개기, 양말 개기, 종이접기, 넥타이 매는 법 총 7가지 과제를 적용하였다. 통계프로그램으로는 SPSS version 20을 사용하였으며 기술통계, Wilcoxon signed ranks을 사용하여 값을 구하였다. 동작관찰훈련을 적용한 결과 MMSE-K 점수는 3.29±1.38의 변화량을 보여 p값 0.001로 유의한 값을 보였고, LICA 점수는 기억력에서 12.16±6.73으로 가장 유의한 값이 나왔다. 결론은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영역 중 기억력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다른 영역에서도 점수 향상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앞으로 동작관찰훈련이 많이 사용되어 추후에는 뇌손상 부위별로 어느 영역에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