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iped-field mouse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7초

시화호 인공습지 동물상 조사연구 (A Faunal Study in the Shihwa Constructed Wetland)

  • 이우신;우건석;심재한;허위행;최현정;이상철;권순국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6권3호
    • /
    • pp.93-105
    • /
    • 2004
  • The Shihwa wetland, a newly developed constructed wetland prototype in Korea with an area of approximately 104 ha, was established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severely polluted inflow streams into Lake Shihwa. Because this wetland could play a role as an ecological park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water quality, an ecological impact of the Shihwa constructed wetland has been a national concern. This paper focused on reporting the survey results for fauna among the entire investigation results for 3 years. A total of 129 terrestrial insect species have been observed from August 2001 to June 2002. Among them, Ischnura asiatica (Brauer) (order Odonata), Scymnus species (order Coleoptera) and Orthopteran species were frequently found in the reed bushes. A total of 77 bird species were recorded in a seasonal count, the maximum number of species was 34 in winter and the maximum number of individuals was 4,599 in summer. For the freshwater fish, only 4 species were found in 2000, however in 2001 and 2002, 12 species and 459 individuals were collected at four survey points. Among these 12 species, the dominant species were Mugil cephalus(36%), followed by Carassius auratus (25%) and Rhinogobius brunneus (22%). Meanwhile,12 individuals of Oryzias latipes were observed nearby, mostly downstream of the wetland. For the Herpetofauna at four survey areas, 3 species of amphibians and 3 species of reptiles were recorded. Because of remaining salinity in the soil of the Shiwha constructed wetland, Herpetofauna inflow to the wetland was scanty and mainly inhabited the upstream area. A total of 8 mammal species were recorded. Small-sized species were the striped field mouse, the Ussurian harvest-mouse, the Manchurian reed vole and the brown rat. Middle- and large-sized species were Korean water-deer, Korean raccoon dogs, Korean yellow weasels and feral cats.

벼의 숙기와 논의 인접환경이 쥐의 종류구성과 벼의 피해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ice Ripening Time and Neighboring Habitat on Rodent Species Composition and Crop Damage)

  • 신영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35-139
    • /
    • 1974
  • 1973.9.7-10.11까지 우리나라에 있어서 농작물의 피해에 가장 크게 영향하는 쥐의 종류와 주요 서식처를 밝히고자 강원도와 경기도 일환을 대상으로 10개소의 논에 대하여 피해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전체적으로는 1971년도 벼의 평균피경률 조생종 $14.2\%$ 중만생종 $14.2\%$ 보다 월등히 남은 조생종 $063\%$ 및 중만생종 $0.26\%$이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피해는 농가로부터 50m(간혹 l100m)이내에서 심하게 나타났고 피해의 원인이 되는 주요 쥐종류는 시궁쥐 (Rattus norvegicus Caraco)와 등줄쥐 (Apodemus agrarius)이었다. 1974. 4. 9-4.18까지 전국대표적인 지역을 순회하면서 농민과 농촌지도원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여론을 수집한 바 우리나라에 있어서 쥐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는 농촌부락에서 서식월동하는 쥐의 개체군에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제주지역 야생 등줄쥐(Apodemus agrarius coreae) 분변의 호기성 장내 미생물 분포 (Distribution of Aerobic Intestinal Microorganisms in the Feces of the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coreae) in Jeju)

  • 김지로;오윤희;정무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59-65
    • /
    • 2024
  • 제주특별자치도에 서식하는 등줄쥐를 포획하여 대장을 포함한 내부장기에서 분변 검체를 채취한 후, 장내 미생물을 호기적 배양하여 등줄쥐 분변에서 배양된 장내 미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등줄쥐 분변 36개의 검체를 호기성 배양된 세균 집락을 그람염색 한 결과 모든 검체에서 그람음성막대균이 우세하게 관찰되었다. 36 검체 중 그람음성막대균은 36 균주(100%), 그람양성알균은 21 균주(58.3%), 그람양성막대균은 15 균주(41.7%)로 나타났으며 그람음성알균은 관찰되지 않았다. 36개의 검체에서 배양된 그람음성막대균은 Vitek 2 system을 이용하여 동정한 결과 모두 Escherichia coli (E. coli) 균종으로 동정되었으며, 1개 검체는 E. coli 균종과 Enterobacter cloacae 균종이 동시에 동정되었다. 분리된 E. coli 36 균주 중 항균제에 내성을 보이는 균주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1 균주만 cefoxitin 항균제에 중등도 내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드기, 설치류 매개 감염병의 원인이 되는 등줄쥐의 분변에서는 병원성 세균은 존재하지 않았다.

등줄쥐 (Apodemus agrarius coreae)의 부고환관의 무섬모상피세포와 섬모상피세포의 미세구조에 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the Ultrastructures of Non-Ciliated and Ciliated Epithelial Cells in the Ductus Epididymidis of Apodemus agrarius coreae)

  • 이정훈
    • Applied Microscopy
    • /
    • 제28권3호
    • /
    • pp.345-362
    • /
    • 1998
  • In order to the comparative morphological study of the non-ciliated and ciliated epithelial cells, and to elucidate the process of degeneration of non-ciliated epithelial cell of the ductus epididymidis, Korean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coreae was examined with light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non-ciliated epithelial cell, the cell types of the caput epididymidis (Cp), corpus epididymidis (Cr) and cauda epididymidis (Cu) were long-columnar, short-columnar and short-cuboudal, respectively. The mitochondria an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tended to be broken as they immigrated from Cp to the Cu. The Golgi acted vigorously at the Cp, but the Golgi was inactive in Cr and Cu. The secretory vesicles and lysosomes were increased gradually from Cp to the Cu. The process of degeneration of the non-ciliated epithelial cells observed in the Cp, Cr and Cu epididymidis. The increase of the non-ciliated epithelial cells, and its degeneration were observed more often from Cp to the Cu.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iliated epithelial cells, the cell types of the Cp, Cr and Cu were long-columnar, short-columnar and short-cuboudal, respecptively like the non-ciliated epithelial cells. The stereocilia was long and slender at the Cp and Cr, while Cu was very short. The pinocytotic vesicles and absorptive vesicles were increased from the Cp to the Cu. Numerous disintergrated products was existed at the Cr including the Cp, but Cu were not observed. A significant amount of lysosomes existed at the Cp and Cr epithelial cells, but they were not observed in Cu epithelial cells.

  • PDF

New Definitive Hosts and Differential Body Indices of Isthmiophora hortensis (Digenea: Echinostomatidae)

  • Sohn, Woon-Mok;Na, Byoung-Kuk;Shin, Sung-Shi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5권3호
    • /
    • pp.287-294
    • /
    • 2017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record new definitive hosts of Isthmiophora hortensis, and to describ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a variety of worm samples for clarification of its taxonomic validit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ith dimensions were observed in worm samples (n=21) from naturally infected wild animals, including a raccoon dog Nyctereutes procyonoides from Gimhae-si (City), Gyeongsangnam-do, stray cats and a striped field mouse from several localities, and a wild boar Sus scrofa, from Gurye-gun (County), Jeollanam-do. In addition, adult flukes (n=45) recovered in albino rats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the metacercariae from a freshwater fish species were also subjected to morphological studies. The mean ratios of the body length (BL) to body width (BW) were 5.86 and 5.76 in worms from wild animals and experimental rats, respectively. Those of the ventral sucker to oral sucker were 2.92 and 3.01 in worms from 2 groups. The mean percentages of the hindbody length (HBL) to BL were 42.1 and 41.2 in 2 groups. Those of uterine fields to BL were 9.8 and 12.2 in the 2 worm groups. By the present study, the 2 species of wild animals, the raccoon dog and wild boar, have been added as new definitive hosts for I. hortensi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ult flukes derived from a variety of host source were redescribed to support the taxonomic validity of this echinostome species.

유라시아에서 서식하는 등줄쥐, Apodemus agrarius Pallas (포유 강,설치 목),15아종의 형태 형질의 분석 (Morphometric Analyses with 15 Subspecies of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Pallas(Mammalia, Rodentia) from Eurasia)

  • Hung Sun Koh;G. Tikhonova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4권4호
    • /
    • pp.341-355
    • /
    • 1998
  • 유라시아에 서식하는 등줄쥐 (Apodemus agrarius Pallas) 15 아종의 표본들의 31개 형태 형질의 분석을, 이들 아종들의 분류학적 위치를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등줄쥐의 5개 주요 아군 (subgroup)이 나타났다:1. 가장 큰 형 , 한국 2개 섬 지역의 표본, 아종 chejuensis: II, 큰 형, 한국 6개 다른 지역의 표본, 아종 agrarius와 pallescens: III. 다른 큰 형, 서부 러시아 Astrachan의 표본, 아종 volgensis: IV, 중간 크기 형, 동부 아시아의 16개 지역 (북한, 중국, 동부 러시아)의 표본, 아종 coreae, manchuricus, pallidior, ningpoensis와 insulaemus): V, 작은형, 서부 아시아와 유럽의 16개 지역 (카자스탄, 러시아, 리튜아니아, 우크라이나) 의 표본, 아종 tianschancus, ognevi, agrarius, septentrianalis, nikolski, caucasicus, and karelicus). 본 형태 형질의 분석의 결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아종 chejuensis는 Johnson과 Jones (955)이 밝힌 대로 가장 큰 형이다: 아종 pallescens는, 고 (986)가 제안한 바대로, 아종 coreae의 동종이명이다: 한국의 아종 coreae는 큰 형으로 유라시아에 서식하는 다른 12 아종과 다르다: Corbet (1978)가 제안한 동부 아종인 ningpoensis는 중간 크기의 형을 보이는 중국과 동부 러시아의 표본들 (아종 manchuricus, pallidior, ningpoensis와 insu-laemus)이며, 북한의 표본들도 포함된다: 작은 형인 서부 아시아와 유럽의 표본들 (아종 tianschanicus, ognevi, agrarius, septentrionalis, nikolski, caucasicus, and karelicus)은 Corbet (1978)가 제안한 서부 아종인 agrarius이다: 또 다른 큰 형인 서부 러시아의 아종 volgensis는 서부 아종인 agrarius와 다른 독특한 아종이다. 그러므로, 등줄쥐의 15아종은 5아종 (chejuensis, coreae, ningpoensis, agrarius. and volgensis)으로 재분류할 수가 있다고 판단되지만, 이 종의 완전한 분류를 위해서는 나머지 7개 아종 (albostriatus, maculatus, rubens, kahmanni, henrici, gloved, and harti)의 표본들의 측정과 분석이 필요하다.

  • PDF

한국, 중국, 러시아에 서식하는 등줄쥐, Apodemus agrarius(포유강, 설치목), 6아종의 미토콘도리아 DNA 절단단편의 변이 (Variation Pattern of mtDNA among Six Subspecies of Apodemus agrarius(Mammalia, Rodentia) in Korea, China, and Russia)

  • 고흥선;안용철;유정원;이우재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5권2호
    • /
    • pp.153-164
    • /
    • 1999
  • 한국, 중국, 러시아에 서식하는 등줄쥐 Apodemus agrarius 6아종 111마리를 이용하여, 미토콘드리아 DNA를 8개의 제한효소로 절단한 단편들을 blot hybridization법으로 분석하였다. 모두 32개의 단편들이 보여졌고, 9개의 haplotype이 밝혀졌으며, 평균 발산값이 0.896에서 1.150%인 4아군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세 형을 인정할 수가 있었다: [I. 아종 chejuensis (제주도, 한국)], [ll, 아종 pallescens(남서 한국), coreae(중앙 한국), 및 septentrionalis(러시아)], and [lll, 아종 manchuricus(북동 중국)와 pallidior(북부 중국)]. 그러나 아종 coreae의 일부 표본들은 다른 6아종의 표본들과 다소 차이를 보였고, 아종 pallidior의 일부 표본들은 아종 septentrionalis의 모든 표본들과 같아서 동일한 haplotype을 형성하였다. 아종 a. agrarius chejuensis는 독특한 아종중의 하나이고, 아종 corea(pallescens포함)도 독특한 아종중의 하나이며, 아종 manch-uricus와 pallidior는 아종 ningpoensis의 동아종이명이고, 아종 septentrionalis도 아종 agrarius의 동아종이명임이 재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등줄쥐는 염색체 핵형이 일정하며, 미토콘드리아 DNA 유전형에 약간의 변이를 보이고, 형태형질의 상당한 발산을 보이고 있지만, 이들 분류형질의 변이 정도의 파악과 아종분류의 재검토를 위하여 유라시아산 등줄주의 보다 많은 표본을 이용한 분석이 앞으로 필요하다.

  • PDF

한국산 쥐과 3종의 핵형에 관한 연구 (Karyotype Studies on Three Species of the Family Muridae (Mammalia; Rodentia) in Korea)

  • Kang, Yung-Sun;Koh, Hung-Sun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01-112
    • /
    • 1976
  • 등줄쥐(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coreae Thoma)의 염색체수는 2n=48이다. 핵형은 상염색체가 형태적으로 명백히 3군으로 나누어 지는데, 1쌍의 가장 큰 제 1번차단부가 염색체군, 4쌍의 작은 중부 내지 차중부 염색체군과 18쌍의 아크로 센트릭 염색체군이다. 제 1번 염색체군을 제외한 다른 염색체군들에서의 상동염색체 구별은 크기가 점차적인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쉽지 않다. X염색체는 제 3번 염색체와 크기의 것이며 Y염색체는 작은 아크로센트릭 염색체와 차이를 나타내어서 새로운 형임이 밝혀졌다. 본 종의 집단내 또는 집단간 염색체 多形現象은 없었다. 갈밭쥐(Manchurian red vole, Microtus fortis pelliceus Thomas)의 염색체수는 2n=52이다. 핵형은 상염색체가 역시 3군으로 나누어 지는데, 5쌍의 중부내지 차중부 염색체군, 2쌍의 차단부 염색체군과 18쌍의 아크로센트릭 염색군이다. 아크로센트릭 염색체군에서의 상동염색체 구별은 점차적인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역시 어렵다. X염색체는 가장 큰 중부 염색체임으로 쉽게 구별이 되나 Y는 작은 아크로센트릭 염색체중 하나가 아닌가 생각된다. 또한 본 종은 아크로센트릭 염색체군중에 서로 다른 크기의 2차 응축현상을 보이는 상동염색체들이 2쌍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서 본 종의 핵형은 쏘련산 M. fortis 아종의 핵형과 같지 않음이 밝혀졌는데, 쏘련산 M. fortis의 핵형은 상염색체가 5쌍의 중부 염색체군, 1쌍의 차중부염색체군과 19쌍의 아크로센트릭 염색체군으로 되어있으며, X는 비교적 큰 아크로센트릭이고, Y는 보다 작은 아크로센트릭 염색체이다. 본 종의 한국내에서의 염색체 다형현상 및 성염색체의 대형화현상은 없었다. 비단털쥐(Korean giant hamster, Cricetulus trition nestor Thomas)의 염색체수는 2n=28이며, 염색체의 크기는 위의 2종 보다 커서 $7.5\\mu - 1.5\\mu$이다. 핵형은 상염색체가 아주 뚜렷한 2군으로 나뉘어 지는데, 11쌍의 큰 아크로센트릭 염색체군과 2쌍의 아주 작은 중부 염색체군이다. X염색체는 비교적 큰 차단부 염색체로서 쉽게 구별이 된다. 본 실험에서 숫컷을 재료로 상요하지 못했기 때문에 Y염색체는 판정할 수가 없었다. 또한 본 종의 핵형은 쏘련산 Tscherskia triton 의 핵형과 동일하다. 따라서 Cricetulus 속과 Tscherskia속과의 분류에 있어서 동일함이 핵형으로도 증명된 셈이다. 본 종의 염색체수는 다른 햄스터류보다 많으나, 아주 작은 2쌍의 중부 염색체군이 있음이 특이하며, 한국산 햄스터로서의 세포유전학적 실험동물로서 이용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