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ss in Clinical Practice

검색결과 304건 처리시간 0.024초

치위생과 학생들의 임상실습기관의 환경요인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량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causing stress in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s and the stress level of dental hygiene students)

  • 류혜겸;위혜진;정동은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907-914
    • /
    • 2017
  •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causing stress in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s and stress levels of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 The research subjects totaled 207 and it was analyz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 IBM SPSS ver. 20.0. Results : The environmental factors causing stress according to the status of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s wa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case of Busan practice areas (p<0.01), dental university hospitals (p<0.001), attendance times prior to 8am (p<0.001), quitting times that surpassed 8pm (p<0.01), and the number of dentists exceeding 4 (p<0.01). It was found to affect the stress level of students when individuals had to stand for a long period of time(p<0.001, ${\beta}=0.254$) and with the use of unfamiliar tools and equipment(p<0.05, ${\beta}=0.178$). Conclusions : As a result of the research conducted, it should be concluded that dental clinics should provide rest areas for individuals to focus on clinical practi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atic program that enables students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at any time during the training period.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관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the nursing profess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 박병준;박선정;조하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220-227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의 연관성을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써, 4년제 간호 대학생 240명 대상으로 하여 수행하였다. 임상수행능력(F=1.888, p=.048)과 간호전문직관(F=1.976, p=.046)의 경우 전공만족정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사후 검정한 결과 전공에 만족한다는 집단이 보통인 집단, 불만족하는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의 경우 전공에 만족한다는 집단이 불만족하는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상실습스트레스는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고,41%로 설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관의 정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간호전문직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임상실습 중에 경험하는 스트레스정도가 임상실습의 수행능력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임상실습에 임하는 것은 중요한 실습을 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실수를 범할 수 있고, 실수로 인하여 임상실습의 스트레스가 또다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앞으로 간호 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을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Stress)

  • 윤미진;진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561-567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G시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간호대학에 재학중인 간호대학생 188명으로 자료수집기간은 2022년 9월 5일부터 9월 20일까지였다. 자료는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의 빈도분석,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One way ANOVA, Pearson's correation coeff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은3.54±0.41,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3.64±0.60였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은 의사소통능력, 학과만족도, 성별로 검증되었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30.4%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교욱프로그램 개발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시 스트레스에 따른 불안, 분노 및 피로경험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ger and Fatigue among Stress factor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 한상영;이영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554-561
    • /
    • 2012
  • 본 연구는 임상실습 시 스트레스에 따른 불안, 분노, 피로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간의 공통적인 주제를 모색하여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임상실습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T종합병원에서 임상실습을 하는 간호학생 197명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임상실습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3.82점, 불안은 평균 48.82점, 분노는 평균 1.17점, 피로는 평균 30.96점으로 나타났으며 불안 정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임상실습 스트레스 요인은 집담회, 수업과 실습, 임상실습만족도로 나타났다. 분노 정도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임상실습 스트레스 요인은 과제물, 수업과 실습, 오리엔테이션, 간호사, 실습환경이며, 피로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임상실습 스트레스 요인은 집담회, 오리엔테이션, 실습환경, 환자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불안, 분노, 피로정도, 분노와 피로 정도는 유의한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불안과 분노 정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요인 (Influencing Factors Stress in nursing students before Clinical Practice)

  • 홍희정;신복순;최성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429-438
    • /
    • 202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첫 임상실습을 앞둔 3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3년 12월 22일부터 2024년 1월 10일까지 간호대학생 19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스트레스(Pss), 셀프리더십, 의사소통능력(GICC)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스트레스는 셀프리더십 (r=-.29, p=<.001), 의사소통능력(r=-.40, p=<.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에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전 스트레스는 성별, 학업 만족, 의사소통능력이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33.7%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전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고려할 필요가 있겠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의사소통능력 및 소진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Burnout in Nursing Students)

  • 김혜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433-441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스트레스, 의사소통능력 및 소진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간호대학생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M시 소재한 1개 대학교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3·4학년 간호대학생 대상으로 2020년 9월 17일부터 9월 30일까지 자료수집 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는 3.08점, 의사소통능력 3.38점, 소진 2.94점으로 5점 만점에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스트레스 차이는 실습만족도(F=7.058 p=.001)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소진은 연령(F=5.159 p=.007), 입학동기(F=3.034 p=.019), 실습만족도(F=7.718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의사소통능력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223, p<.001),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소진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194 p<.001)를 나타냈으며, 의사소통능력과 소진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155, p=.032)를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신종감염병지식과 임상실습스트레스가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erging Infectious Disease Knowledge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on Nursing Students' Coping with Stress)

  • 이소영;김혜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507-520
    • /
    • 2023
  • 이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신종감염병지식과 임상실습스트레스가 스트레스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자가성장하는 간호사를 육성할 실습교육 및 심리적 지원 전략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및 충북지역에 거주하는 간호대학생으로 2022년 9월 10일부터 10월 10일까지 총 259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계프로그램 SPSS 21.0을 활용하여 피어슨 상관계수를 통해 신종감염병지식, 임상실습스트레스, 스트레스대처방식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진입(Enter)방식의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임상실습스트레스가 스트레스대처방식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습교육환경, 업무부담으로 인한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적극적 스트레스대처방식 간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17 p<.005, r=.15 p=.017), 대인관계 갈등, 환자와 갈등, 업무부담, 바람직하지 않은 역할모델로 인한 스트레스는 소극적 스트레스대처방식과 양의 상관관계(r=.18 p=.040, r=.28 p<.000, r=.17 p=.006, r=.19 p=.003)를 보였다. 임상실습만족도에서 만족한다(B=.25, p=.003), 실습교육환경 스트레스(B=.17 p=.004), 성별(B=-.19, p=.023)순으로 적극적인 스트레스대처방식 총 변화량의 15%를 설명하였고, 실습업무부담으로 인한 임상실습스트레스는 소극적인 스트레스대처방식 총 변화량의 7%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보다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상담이나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는 근거가 될 것이다.

응급실 실습을 경험한 응급구조학 전공 학생의 5요인 성격특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Five Personality Traits and Stress Coping Methods of Paramedic Students Who Experienced Emergency Room Practice on Clinical Practice Stress)

  • 정준호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71-83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aramedic students' five-factor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stress coping behavior on the stress of emergency room practice.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2 grade - 4 grade paramedic students who had experience practice at emergency room at N University and B University located in Cheonan, South Chungcheong Province. Results: 'Agreeableness' was the highest at 33.88±6.31 and 'Neuroticism' was the lowest at 27.82±7.43. Among stress coping methods, 'active coping' was higher at 3.39 than 'passive coping' at 3.21, and the subarea with the highest score was 'wishful coping'. When looking at clinical practice stress by sub-domain, 'practical training environment' was the highest at 2.96, and 'interpersonal conflict' was the lowest at 2.14.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friendliness (r=-.220, p=.014)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tive coping (r=.210, p=.019). The influential factors were friendliness (β=-.267) and active coping (β=.258). Conclusion: The paramedic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showed a high level of agreeableness among the five personality traits and used a active coping style to cope with stress. Agreeableness has been shown to lower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active coping is classified as the most appropriate coping style, so research is needed to guide people to utilize friendliness and active coping well.

간호 대학생의 실습 전, 후 임상실습 스트레스, 수면의 질 및 주간 졸림증의 차이 (Differences in Clinical Practice Stress, Sleep Quality, and Daytime Sleepiness before and after Nursing Students)

  • 안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21-130
    • /
    • 2020
  • 간호 대학생의 실습 전, 후 임상실습 스트레스, 수면의 질, 주간 졸림증 차이와 관계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간호학과 3학년 학생 130명이다. 연구결과 연구 대상자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총점 5점 만점 중 평균점수 3.15점으로 나타났다.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외부조정 요인 중 과제물에 대한 점수가 3.64로 가장 높았고, 성별(t=-3.88, p<.001), 주관적 건강상태(F=5.78, p=.004), 거주형태(F=3.20, p=.026)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은 수면의 질이 낮고(실습 전 80.0%, 실습 후 70.0%), 주간 졸림증이 있는 대상이(실습 전 26.9%, 실습 후 42.3%) 일반 대학생에 비해 많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임상실습 전, 후 수면의 질은(χ2=4.06, p=.004), 주간 졸림증은(χ2=6.08, p=.009)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주간 졸림증과 수면의 질은 음의 상관관계(r=-.259,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 대학생들의 신체적 건강 및 정신적 건강을 위하여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줄이고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전략 개발이 필요하며, 변화하는 간호 교육현장에서 임상실습 적응에 도움이 되도록 하여 추후 간호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겠다.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경험유형 : Q방법론적 접근 (Stress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to Clinical Practice : Q-methodological Approach)

  • 장혜숙;김순애;김흥규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5권1호
    • /
    • pp.5-17
    • /
    • 1999
  •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schemata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stress experience the subjectivity of stress experience(structure of subjectivity) would be a basic step for the effective clinical education through the stress management for characteristics of these types. Q-methodological method was used for that purpose. The research method statements were collected prior to the study through indepth interviews. For the study, 31 Q-statements were selected. There were 34 nursing students as subjects for the research. The 34 nursing students sorted the 31 statements using the principal of forced normal distribution. The principle of forced normal distribution, which has 9 scales to measure the individual opinions, was called. Q-factor analysis by using PC QUANL program supply the material. According to the outcomes of this study, there were 3 types of special opinion about the stress experience of clinical practice. The first type is called 'Influence of practical atmosphere type'. Members of this type experienced stress by an inadequate orientation and undesirable role model of nursing. The second type is called 'conflict of nursing role type'. Members of this type experienced stress by an inadequate orientation and undesirable role model of nursing. The third type is called 'Lack of confidence type'. Members of this type experienced stress because of a lack of confidence for their own nursing knowledge and skill. As a result, we now need further study to identify individual psychological aspects of stress for clinical practice. The findings will guide the development in effective approaches for clinical education. Finally, the result of the study will provide us the need for developing systematic and integrated practice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and active involvement of clinical instruct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