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ptococcus sobrinus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1초

Bioactive Phenolic Constituents from the Culms of Phyllostachys bambusoides

  • Kim, Hyun-Jung;Kang, Min-Ah;Kim, So-Hyun;Yim, Soon-Ho;Lee, Ik-So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7권4호
    • /
    • pp.267-272
    • /
    • 2011
  • In our search for bioactive phenolics from plants, the culms of Phyllostachys bambusoides has been selected for investigation of anti-cariogenic and 1,1-diphenyl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gents based on the initial screening results. Fractionation process of n-hexane and $CHCl_3$ extracts afforded four phenolic constituents, ferulic acid (1), vanillin (2), coniferaldehyde (3), and coniferyl alcohol (4) as guided by their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dditionally,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of EtOAc extract with anti-cariogenic activity has resulted in the isolation of coniferaldehyde (3), 2,6-dimethoxy-p-benzoquinone (5), p-methoxycinnamic acid (6), (${\pm}$)-balanophonin (7), and 6-methoxychromanone (8). The structures of 1 - 8 were determined by spectroscopic data interpretation, and also by comparison of their data with the published values. Phenolic compounds 1 - 4 exhibited simila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compared with the synthetic antioxidant,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d compounds 3 and 5 - 8 showed significan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cariogenic oral streptococci, Streptococcus mutans and S. sobrinus.

연쇄상구균 GS-5의 ag I/II와 gtfD 유전자 클로닝 (IDENTIFICATION OF THE AG I/II AND GTFD GENES FROM STREPTOCOCCUS MUTANS GS-5)

  • 정진우;백병주;양연미;서정아;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57-369
    • /
    • 2005
  • 치아 우식은 석회화 조직의 일부가 용해되고 파괴되는 감염성 세균 질환이다. 최근에 보고된 치아우식증 관련 미생물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이 Streptococcus mutans와 같은 Mutans streptococci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Mutans streptococci는 7가지의 서로 다른 종(S. cricetus, S. downei, S. ferus, S. macacae, S. mutans, S. rattus, S. sobrinus)과 8가지의 혈청형(serotype a-h)을 모두 포함하여 일컫는다. 산 생성으로 인한 치아의 법랑질 탈회뿐 아니라 치면에 접착하여 군집를 형성하는 것이 균의 독성에 있어 중요하다. 그러므로 우식은 치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런 초기 군집 형성은 antigen I/II(Ag I/II)와 glucosyltransferase(GTF)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Ag I/II와 GTF는 S. mutans GS-5에 대한 백신개발에 있어 적당한 목표가 된다. 본 실험은 S. mutans GS-5로부터 ag I/II와 gtfD 유전자를 복제하고 나열하였다. 핵산의 나열순서 분석결과 앞서 보고된 나열과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복제된 Ag I/II와 앞서 보고된 S. mutans GS-5의 해당 부위의 280개의 핵산은 완벽하게 일치하였다. gtfD와 S. mutans UA159와 비교시, 105개의 아미노산 중 4부위에서 변화를 관찰하였다.

  • PDF

회향열수 추출물의 치면 세균막 형성 억제 효과 (The Anticaries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s from Foeniculum vulgare)

  • 김상무;최창혁;김장원;원세라;이해익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1호
    • /
    • pp.84-87
    • /
    • 2008
  • Streptococcus mutans, Streptococcus sobrinus 등과 같은 구강 세균에 의해 생산되는 효소인 glucosyltransferase(GTase; sucrose 6-glucosyltransferase, EC 2.4.1.5) 는 충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Gtase-I, GTase-SI, GTase-S 등 최소 3종의 isozyme이 알려져 있다.$^{7-10)}$ GTase는 sucrose로부터 점착성이 있는 불용성의 glucan을 형성하고 이 glucan에서 구강 미생물이 증식하며 그 결과로 생성된 유기산에 의하여 치아표면의 에나벨 층이 부식되므로써 충치가 유발되게 된다.$^{11)}$ 따라서 불용성 glucan의 생성을 유도하는 GTase의 활성을 조절하는 것은 충치 발생 억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자 등은 GTase를 효율적으로 저해하여 충치를 예방할 물질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약 420종 식물체의 ethanol 추출물로부터 GTase 저해 활성을 검색하여 보고한 바 있다. 수종의 식물체 ethanol 추출물은 S. mutans에 대한 정균활성과 GTase 저해 활성을 동시에 나타내었으며 물질의 분리${\cdot}$정제로부터 oleic acid를 주성분으로 히는 불포화 지방산임이 밝혀진바 있다.$^{12)}$ 본 연구에서는 약 420종 식물체의 열수추출물을 대상으로 GTase 저해 활성을 검색하였다. 그 중 13종의 열수 추출물에서 비교적 높은 GTase 저해활성이 분포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활성이 높은 회향을 대상 식물체로 하였다. 회향의 열수 추출물은 S. mutans의 생육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GTase 활성을 저해하는 특정을 가지고 있다(data not shown). 특히 사람을 대상으로 한 회향 열수 추출물에 의한 치면 세균막 억제 임상 실험 결과 plaque index의 저하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 회향 열수 추출물은 GTase 활성을 저해하여 충치 예방 목적으로 적용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회향은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권에서 식품의 향신료 및 민간요법에 널리 사용되는 식물이고 식품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는 소재이다. 회향의 열수 추출물은 열에 대해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는 가공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천연물 기원의 충치예방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산업적 이용가치가 기대된다.

꽃차용 꽃 추출물의 구강위생균에 대한 항균특성 (Antibacterial Activities of Flower Tea Extracts against Oral Bacteria)

  • 한영숙;강소진;박세아;이선숙;송희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1-28
    • /
    • 2011
  • In this study, we analyzed flower tea activity against oral bacteria. Lagerstroemia indica, Paeonia suffruticosa and Hemerocallis fulva showed high extract yields. Bellis perennis, Punica granatum and Cercis chinensis showed the high rates of yield by ethanol extraction. Extract yield seemed to be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cimens rather than to the solvent. Streptococcus mutans, Streptococcus obrinus,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Prevotella intermedia were used to investigate extracts activity against bacteria; the former two cause dental caries and the latter two cause halitosis. Cornus officinalis, L. indica, P. granatum and P.s uffruticosa showed high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S. mutans. In specimens extracted with ethanol, P. suffruticosa, Camellia sinensis, Camellia japonica L. and Rosa hybrida showed high antibacterial activities. L. indica, P. granatum and C. officinalis showed high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S. sobrinus. C. officinalis, P. granatum, L. indica and P. suffruticosa showed high activities for specimens extracted with ethanol. The results show that the warm extracts of C. officinalis, L. indica and P. granatum may be effective to prevent dental caries. In particular, the ethanol-based extracts of C. officinalis, P. suffruticosa and C. sinensis were effective to prevent dental caries and thus may be highly marketable. Chrysanthemum zawadskii, R. hybrida, P. granatum, C. japonica L. and Zinnia elegans showed high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gingivalis. R. hybrida showed the highest ethanol extract activity, followed by P. suffruticosa, P. granatum, C. japonica L. and L. indica. R. hybrida, P. granatum, C. morifolium and C. japonica showed high activity against Pr.intermedia in the order named. C. zawadskii, P. granatum, L. indica, C. japonica and A. princeps showed high ethanol extract activity. Thus, the warm extracts of R. hybrida, P. granatum and C. japonica may be helpful to reduce halitosis. In addition, the ethanol-based extracts of P. granatum, C. japonica and L. indica are expected to be highly marketable as mouthwashes.

미취학 아동의 칫솔질 교육에 따른 치아우식원인균 감소와 구강위생상태 변화 (Reduction of causative organisms associated with dental caries and alteration of oral hygiene status in connection with toothbrushing instruction for preschool children)

  • 송지나;조명숙;이민경;유수빈;김선일;김혜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831-842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eal the biological basis of dental plaque and preschool children's dental health status through repetitive and continuous toothbrushing instruction to preschool children, using quantitative criteria, an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an oral health manager for the prevention of dental caries. Methods: After IRB approval, toothbrushing instruction and oral microbial specimen collection were conducted with children of preschool age at the Daycare Center attached to D. University, Busan. Specimens from 27 children were characterized by analysis with real-time multi-chain enzymatic polymerization reaction technique at an agency specializing in genetic analysis. Results: In a survey of the children's dental health behaviors, 48.1% responded that the toothbrushing time is 91 to 150 seconds; 66.7% responded that the frequency of toothbrushing is more than three times per day; 81.5% stated that they performed tongue brushing; and 81.5% brushed their teeth. Regarding levels of dental cariogenic bacteria, after children received continuous toothbrushing instruction, there were reductions in both Streptococcus mutans and Streptococcus sobrinus. Regarding toothbrushing time, the time increased in relation to the presence of instruction. Regarding Quigley Hein Index, the index decreased in the early and middle periods upon addition of instruction, then increased in the middle and later periods. Conclusions: Through persistent and repetitive toothbrushing instruction, healthy behavior can be positively established in children of preschool age; it is necessary to prepare institutional measures so opportunities for dental health education can be consistently provided and maintained.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conduct a follow-up study to verify the factors affecting toothbrushing time and volume of oral pathogens.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Mutans Streptococci from the Dental Plaques in Koreans

  • Yoo, So-Young;Park, Seon-Joo;Jeong, Dong-Ki;Kim, Kwang-Won;Lim, Sung-Hoon;Lee, Sang-Ho;Choe, Son-Jin;Chang, Young-Hyo;Park, In-Soon;Kook, Joong-Ki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3호
    • /
    • pp.246-255
    • /
    • 2007
  • Mutans streptococci have been implicated as cariogenic bacteria in dental caries because they can produce high levels of dental caries-causing lactic acid and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and characterize the mutans streptococci from the dental plaque obtained from Koreans. The dental plaqu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anterior and molar teeth of both jaws in 155 subjects (aged 2 to 33.2 years, average age $13.7{\pm}4.7\;years$). The samples were diluted by 100-fold in $1{\times}\;PBS$ and plated on mitis-salivarius bacitracin (MSB) agar plates. The mutans streptococci grown on MSB plates were screen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targeting dextranase gene (dex). The mutans streptococci were identified at the species level using a 16S rDNA sequencing comparison method. The biochemical tests were carried out to biotype the mutans streptococci. Ninety-five strains of the mutans streptococci out of 358 colonies, which were derived from 141 subjects, were isolated. Of them, 77 strains and 18 strains were Streptococcus mutans and Streptococcus sobrinus, respectively. The biotyping data showed that 62, 1, 20, 10, and 2 strains were biotypes I, II, IV, V and variant, respectively. Of the two strains of variant biotype, one strains was similar to biotype IV except that it was positive to the arginine hydrolysis test. We considered this one strain a new biotype, and classified it as biotype VII. In conclusion, S. mutans and its biotype I was most frequently isolated in Korean dental plaque. The mutans streptococci strains isolated in this study might be useful for the study of the pathogenesis and the prevention of dental caries.

잣나무 정유의 소취효과 및 구강균에 대한 항균활성 평가 (Evaluations on Deodorization Effect and Anti-oral 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Pinus koraiensis)

  • 황현정;유정식;이하연;권동주;한웅;허성일;김선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잣나무 정유를 대상으로 GC-MS를 이용한 성분분석, 악취물질에 대한 소취효과 및 구강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평가하였다. 잣나무 정유를 GC-MS를 이용하여 정성분석한 결과 ${\alpha}$-pinene이 19.38%로 가장 높은 구성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3-carene (11.16%), camphene (10.57%), limonene (9.79%) 등의 terpene hydrocarbon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이들 특유의 향취 조합으로 인해 잣나무 정유 고유의 향취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악취물질 4종에 대한 소취력 평가에서는 잣나무 정유를 주입한 1시간 후 75.17%의 ammonia 소취능을 나타내어 4종의 정유 중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Formaldehyde에 대한 소취력 평가에서는 편백나무와 소나무 정유가 61.67%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잣나무 정유는 23.33%를 나타내었다. Trimethylamine에 대해서는 정유 주입 10분 후 편백나무, 전나무, 소나무 정유가 평균 6.70%로 낮은 활성을 나타낸 반면, 잣나무 정유를 주입함으로서 41.58%의 매우 높은 소취력을 나타내었다. Methylmercaptan에 대해서는 정유 주입 1시간 후 소나무(82.22%), 잣나무(70.56%), 전나무(62.22%), 편백나무(59.44%) 정유 순으로 소취력을 나타냈다. 구강균에 대한 정유 별 항균력 평가에서는 잣나무 정유($2.90{\pm}0.15mm$)는 L. paracasei에 대하여 전나무($1.83{\pm}0.18mm$)와 소나무($1.54{\pm}0.09mm$) 정유보다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S. aureus에 대한 잣나무 정유($2.86{\pm}0.08mm$)의 항균활성 또한 전나무($1.15{\pm}0.20mm$)와 소나무($1.85{\pm}0.08mm$) 정유 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S. sobrinus에 대한 항균활성은 편백나무($1.42{\pm}0.01mm$)와 잣나무($1.40{\pm}0.01mm$) 정유를 처리함으로써 강하게 나타났으며 S. mutans에 대한 항균력은 편백나무>전나무>잣나무>소나무 정유 순으로 활성이 나타났다. E. faecalis에 대해서는 소나무($0.79{\pm}0.05mm$)정유만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천연물 유래 잣나무 정유는 악취물질에 대한 소취효과 및 구강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활용한 구강탈취제, 구강청결제 등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아의 치면세균막에 존재하는 mutans streptococci의 분포 (DISTRIBUTION OF MUTANS STREPTOCOCCI IN DENTAL PLAQUE OF CHILDREN)

  • 국중기;박종휘;유소영;김화숙;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39-447
    • /
    • 2004
  • 한국인 소아의 치면세균막에 존재하는 mutans streptococci종 및 생물형의 발현빈도와 치아우식경험지수와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선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12세 미만 113명의 소아 환자의 치아우식경험지수를 구하고, 이들의 상하 악 유전치 및 유구치의 협면 및 설면의 치면세균막 샘플을 채취하여 mutans streptococci를 mitis-salivarius bacitracin 배지에서 선택적으로 분리하였다. 이들의 biotype을 알아보기 위해 생화학적 검사를 실하였고, 이들의 종 수준에서의 동정을 위해 dextranase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여 하였다. 113명의 환자 중에서 40명의 치면세균막에서 40 균주의 mutans streptococci이 검출되었다. 이들 중 생물형 제 I 형(45%)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제 IV 형(32.5%), 제 II 형(15%), 제 V 형(5%) 제 III 형(2.5%) 순으로 검출되었다. 또한, 종 수준에서의 발현빈도를 알아본 결과 S. mutaus가 69%, S. sobrinus는 31%였다. Mutans streptococci 종 또는 생물형에 따른 환자의 치아우식경험지수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한국인의 소아의 구강 내에 존재하는 mutans streptococci중 생물형 제 I 형인 S. mutans가 가장 높은 빈도로 존재하며, 치아우식증이 세균학적 요소만이 아닌 기타 여러 원인요소에 의해 발병되는 다른 여러 연구 결과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