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ngth of resin-modified glass ionomer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9초

Self-etching primer를 사용하여 교정용 브라켓 접착 시 접착제와 타액오염에 따른 전단결합강도 변화 (Change in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s using self-etching primer according to adhesive types and saliva contamination)

  • 남은혜;윤영아;김일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33-442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브라켓 접착 시 산부식과 전처리 과정을 결합하여 접착 단계를 단순화시킨 self-etching primer (SEP)를 차용하는 경우 접착제 종류와 타액의 존재 유무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의 차이에 관하여 비교 연구 하는 것이다. 소의 하악 영구 전치를 포매하여 만든 시편을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레진 접착제와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접착제를 이용한 군으로 나누었고 각각 37% 인산으로 산부식 후 기존의 본딩용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접착한 군과, SEP를 사용하여 접착한 군으로 분류하고, 타액 오염 유무에 따라 다시 각 군을 분류하여 전단결합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레진 접착제로 브라켓을 부착한 경우 SEP를 사용하여 접착한 군의 전단결합강도는 인산 처리군에 비해 낮은데 비해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를 사용한 경우, 전처리법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없었으며, 접착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타액 오염이 존재 시에는 SEP를 사용한 군이 인산처리군에 비해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SEP를 사용 시 레진 접착제와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접착제 모두 임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며, 특히 타액에 오염된 치면에서도 SEP를 사용하여 브라켓을 접착하는 것은 적절한 결합강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임상적으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내표면 처리에 따른 레진 인레이와 글래스아이오노머 베이스간의 접착 (BONDING OF RESIN INLAY TO GLASS-IONOMER BASE WITH VARIOUS TREATMENTS ON INLAY SURFACE)

  • 장병성;김성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5권3호
    • /
    • pp.399-406
    • /
    • 2000
  •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베이스에 대한 레진 인레이의 접착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이차 중합된 레진 인레이의 내표면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처리한 후 레진 인레이를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베이스에 레진 시멘트 접착시 내표면 처리방법이 이들의 접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글래스아이오노머 베이스 제작을 위해서 플라스틱 봉에 직경 7mm, 깊이 2mm의 1급 와동을 형성하고 Fuji II LC를 충전하였으며, 수복용 레진(Charisma$^{(R)}$)을 사용하여 레진 인레이를 제작하였다. 레진 인레이 내면은 $50{\mu}m$ aluminum oxide particles를 이용한 sandblasting 및 silane 처리군, silane 처리군, sandblasting 군, 그리고 무처리 대조군 등 4군으로 나누어 표면처리하였으며 각 군은 22개씩의 시편을 사용하였다. 인레이와 베이스의 표면에 상아질 접착제(One-Step$^{TM}$)를 도포한 후 Choice$^{TM}$를 사용하여 레진시멘트 접착하였다. 접착 양상 평가를 위해 만능시험기로 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하고 파단면을 입체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andblasting 및 silane 처리군이 가장 높은 접착강도(10.56${\pm}$1.95MPa)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sandblasting군 및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2. Silane 처리군(9.77${\pm}$2.04MPa)은 sandblasting 및 silane 처리군과는 접착력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sandblasting 군 및 무처리 대조군에 벼해서는 유의하게 높은 접착강도를 나타내었다(p<0.05). 3. Sandblasting만 시행 한 군은 무처리 대조군과 비교시 접착강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4. 파단면 관찰 결과, 모든 군에서 일부 접착계면에서의 파절을 포함하는 글래스아이오노머 베이스의 응집 파괴(cohesive failure) 양상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sandblasting 및 silane 처리군과 silane 처리군에서는 sandblasting 군 및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접 착계면에서의 파절(adhesive failure) 양상을 나타내었다. 5. 전단접착강도와 파절양상의 관계에서, 접착강도가 클수록 응집 파괴(cohesive failure) 양상이 많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레진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의 초기 결합력과 타액오염 제거의 상관관계 (Effect of Saliva Contamination Stage and Different Decontamination Procedures on Bonding Strength of Resin-Modified Glass Ionomer)

  • 고한호;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58-164
    • /
    • 2019
  • 이 연구는 타액오염이 발생한 시기와 타액오염 제거 방법이 레진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의 상아질에 대한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각 군당 10개씩 총 60개의 발거된 영구치 상아질 표면을 노출시켜 아크릴 레진에 매몰하였다. I군은 대조군으로 폴리아크릴산(PAA)으로 산처리만 시행하였다. II, III군은 PAA 산처리 전 타액오염을 시켰고 IV, V, VI군은 PAA 산처리 후 타액오염을 시켰다. 타액오염 후 II군과 IV군은 건조하였고 III군과 V군은 수세 후 건조하였으며 VI군은 추가적으로 PAA 산처리하였다. 그 후 레진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를 충전하였다. 전단결합강도는 만능 재료 시험기로 측정하였고 파절 양상은 주사전사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대조군인 I군이 유의하게 가장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p = 0.001). 타액오염을 시행한 군들 중에서는 VI군이 유의하게 높은 전단강도를 보였다(p = 0.001). 파절양상은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729). 타액오염은 발생한 시기와 상관없이 레진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의 상아질에 대한 결합력을 유의하게 저하시켰다(p = 0.001). 수세와 건조만으로는 전단결합강도를 회복하지 못했다. PAA 산처리 후 타액오염이 발생한 경우 추가적인 PAA 산처리가 전단결합강도를 유의하게 향상시켰다(p = 0.001).

The selection criteria of temporary or permanent luting agents in implant-supported prostheses: in vitro study

  • Alvarez-Arenal, Angel;Gonzalez-Gonzalez, Ignacio;deLlanos-Lanchares, Hector;Brizuela-Velasco, Aritza;Ellacuria-Echebarria, Joseba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8권2호
    • /
    • pp.144-149
    • /
    • 2016
  • PURPOSE. The use of temporary or permanent cements in fixed implant-supported prostheses is under discussion. The objective was to compare the retentiveness of one temporary and two permanent cements after cyclic compressive loading. MATERIALS AND METHODS. The working model was five solid abutments screwed to five implant analogs. Thirty Cr-Ni alloy copings were randomized and cemented to the abutments with one temporary (resin urethane-based) or two permanent (resin-modified glass ionomer, resin-composite) cements. The retention strength was measured twice: once after the copings were cemented and again after a compressive cyclic loading of 100 N at 0.72 Hz (100,000 cycles). RESULTS. Before loading, the retention strength of resin composite was 75% higher than the resin-modified glass ionomer and 2.5 times higher than resin urethane-based cement. After loading, the retentiveness of the three cements decreased in a non-uniform manner. The greatest percentage of retention loss was shown by the temporary cement and the lowest by the permanent resin composite. However, the two permanent cements consistently show high retention values. CONCLUSION. The higher the initial retention of each cement, the lower the percentage of retention loss after compressive cyclic loading. After loading, the resin urethane-based cement was the most favourable cement for retrieving the crowns and resin composite was the most favourable cement to keep them in place.

Compomer의 치면처리방법에 따른 전단 결합 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COMPOMER ACCORDING TO SURFACE TREATMENT)

  • 김진용;홍찬의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3권1호
    • /
    • pp.247-256
    • /
    • 1998
  • To evalutate the change in shear bond strength according to dentin surface treatment, 4 materials were divided into control group(A) and experimental group(B). Group A was treat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manufacture. Group B was treated with 32% phosphoric acid. After dentin surface treatment, each material was bonded and stored in 100% humidity during 7 days, and then, the shear bond strength was evalu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case of treatment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manufacture, the shear bond strength according to material showed Z-100 to be highest with 12.42 MPa, Compoglass had the lowest shear bond strength with 4.23 MPa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mpoglass and Z-100, Dyract (p<0.01). 2. The group treated with 32% phosphoric acid showed lower shear bond strength than that of the group treat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manufactur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3. As a result of observation under SEM, the fracture pattern was a mixture of cohesive and adhesive failure in group 1, and there was more adhesive failure in group 2, and in group 3 and 4 there was cohesive failure of material or tooth structure. From the results above Dyract showed shear bond strength levels between resin and resin -modified glass ionomer but Compoglass showed much lower shear bond strength than that of resin-modified glass ionomer thus indicating that even though they are the same type of material they show evident differences in physical properties. And it is thought that the treatment of dentin surface with phosphoric acid did not increase the shear bond strength, unlike enamel.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Water Absorption and Water Solubility of Alkasite-based Restorative Material

  • Myeong-Gwan Jih;Hye-Jin Cho;Eu-Jin Cha;Tae-Young Park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74-79
    • /
    • 2023
  • Purpose: Cention N (Ivoclar Vivadent) was a recently introduced alkasite-based restorative material that was expected to replace amalgam and glass ionomer cement. This material was an esthetic restoration with adequate mechanical strength and release of fluoride and calci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water sorption and water solubility of Cention N and evaluate its long-term durability compared to other esthetic restorations (Resin-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RMGIC], Giomer, Composite Resin).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specimens each of Cention N (CN), Resin Modified-Glass Ionomer Cement (FJ), Giomer (BF), and Composite Resin (FZ) were made. After each specimen was completely dried in a desiccator for 24 hours using a vacuum pressure pump, the specimen was weighed (m1). After that, the specimen was immersed in distilled water at 37℃ for 7 days, stored in a drying oven, and weighed (m2). After drying completely for 24 hours in a desiccator, the specimen was weighed (m3) to calculate the water absorption and water solubility using Formulas 1 and 2. The measured values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and analyzed using SPSS,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05. Result: When measuring water sorption, FJ (122.61 ㎍/mm3) showed significantly higher water sorption than CN (35.42 ㎍/mm3)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Z (18.03 ㎍/mm3) and BF (14.76 ㎍/mm3) (P=0.930). When measuring water solubility, CN (6.65 ㎍/mm3) showed significantly higher water solubility than FJ (1.47 ㎍/mm3) (P<0.05). Conclusion: Cention N had lower water sorption than RMGIC, but higher water solubility, indicating that it is more vulnerable to moisture and has lessened long-term durability.

브라켓 접착시 타액 오염이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인장 접착 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alivary contamination on tensile bond strength of resin modified glass ionomer cements in bonding brackets)

  • 이경아;권오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3-89
    • /
    • 2000
  •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접착 강도를 알아보고, 타액 오염이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접착 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하여 봄으로써 임상적 효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교정 치료를 목적으로 발거된 소구치에 교정용 복합 레진 접착제로 Ortho-One,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로는 Fuji Ortho LC, Vitremer, Advance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과정의 브라켓 접착을 하였으며, 타액 오염군은 타액 오염후에 건조 한 뒤 브라켓을 접착한 후 증류수에 침적하고 $37^{\circ}C$ 항온조에 24시간 보관하였다. 만능시험기로 인장 접착 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통상의 방법으로 브라켓을 부착한 경우 인장 접착 강도는 Ortho-One군에서는 $7.68\pm1.76$ 이었으며, Advance군에 서는 $7.87\pm2.80$, Fuji Ortho LC군에서는 $4.99\pm2.53$, Vitremer군에서 는 $2.80\pm0.88$ MPa 나타났다. 타액 오염시킨 경우 인장 접착 강도는 Ortho-One군에서 는 $4.12\pm1.67$, Advance군에서는 $5.37\pm0.68$, Fuji Ortho LC군에서는 $4.41\pm1.61$, Vitremer군에서는 $2.60\pm1.10$ MPa 로 나타났다. 2. 타액 오염시킨 경우 Fuji Ortho LC와 Vitremer는 거의 영향이 없었고 (p>0.05), Ortho-One과 Advance는 큰 폭의 접착 강도 저하 현상을 나타냈다 (p<0.05). 3. Advance와 Ortho-One, Fuji Ortho LC는 만족할 만한 인장 접착 강도를 나타내어 브라켓 접착시 임상적 유용성이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수종 접착성 수복재의 유치 법랑질과 상아질에 대한 상대적 접착력의 비교연구 (A STUDY ON THE RELATIVE SHEAR BOND STRENGTHS OF SOME ADHESIVE RESTORATIVE MATERIALS TO PRIMARY ENAMEL AND DENTIN)

  • 김승미;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37-245
    • /
    • 2000
  • 최근의 심미적 수복재료는 단순히 글래스아이오노머나 레진으로 구분되지 않는다. 대신에, 이들은 두 가지 전통적 재료 사이의 광범위한 한 범주 내에 위치한다. 유치 수복 재료를 선택함에 있어 임상가는 각각의 상황에 적합한 몇 가지 항목들을 고려해야 한다. 이들 중 한가지가 결합력이다. 이 연구는 특별히 상아질과 법랑질과의 상대적 인장강도를 재료별로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실험재료로는 resin-modified glass ionomer로 Fuji II LC-I와 Vitremer를, compomer로는 Dyract AP, Compoglass F 2000등이 사용되었다. 140개의 발거된 유치를 실험대상으로 각 재료의 시편을 평활하게 연마된 법랑질과 상아질 표면에 제조회사의 지시대로 부착한 후 상아질과 법랑질에 대한 상대적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파절편은 실패유형 평가를 위해 주의깊게 검사되었다. 실험결과는 one-way ANOVA& Sheffe's test와 student t-test(p=0.05)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유치 법랑질과 상아질에 대한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한 결과, 법랑질에 대해서는 Z100과 Fuji II LC-I에서, 상아질에 대해서는 Z100과 Dyract AP에서 가장 높은 결합력이 나타났으며 다른 재료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P>0.05). 2. 각 재료내의 법랑질과 상아질에 대한 상대적 결합력을 비교평가한 결과, Dyract AP와 Vitremer를 제외한 모든 재료에서 법랑질에서 보다 높은 결합력이 관찰되었으며, Dyract AP에서는 상아질에 대한 결합력이 법랑질에 대해서보다 높게 관찰되었다(P<0.05). 3. 각 재료들의 결합실패가 일어난 파절단면을 조직학적으로 관찰한 결과, 대부분 cohesive failure를 보였고, 파절면은 치면과 매우 근접해 있었다. 일부 화학중합형 glass ionomer cement와 Vitremer에서 adhesive failure가 관찰되었다.

  • PDF

Effect of casein phosphopeptide-amorphous calcium phosphate on fluoride release and micro-shear bond strength of resin-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in caries-affected dentin

  • Agob, Jamila Nuwayji;Aref, Neven Saad;Al-Wakeel, Essam El Saeid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3권4호
    • /
    • pp.45.1-45.11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fluoride release and the micro-shear bond strength of resin-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RMGIC) in casein phosphopeptide-amorphous calcium phosphate (CPP-ACP)-remineralized caries-affected dentin (CAD). Materials and Methods: Exposed dentin surfaces of 30 human third molar teeth were divided into 2 equal groups for evaluating fluoride release and the micro-shear bond strength of RMGIC to CAD. Each group was subdivided into 3 equal subgroups: 1) control (sound dentin); 2) artificially demineralized dentin (CAD); 3) CPP-ACP remineralized dentin (remineralized CAD). To measure fluoride release, 15 disc-shaped specimens of RMGIC (4 mm in diameter and 2 mm in thickness) were bonded on one flat surface of the dentin discs of each group. Fluoride release was tested using ion chromatography at different intervals; 24 hours, 3, 5, 7 days. RMGIC micro-cylinders were built on the flat dentin surface of the 15 discs, which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assigned group. Micro-shear bond strength was measured after 24 hours water storage. Data were analyzed using 1- and 2-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post hoc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test (${\alpha}=0.05$). Results: Fluoride detected in solutions (at all intervals) and the micro-shear bond strength of RMGIC bonded to CPP-ACP-remineralized denti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bonded to artificial CAD (p < 0.05). Conclusions: Demineralized CAD consumes more fluoride released from RMGIC into the solution for remineralization than CPP-ACP mineralized dentin does. CPP-ACP increases the micro-shear bond strength of RMGIC to C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