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NDING OF RESIN INLAY TO GLASS-IONOMER BASE WITH VARIOUS TREATMENTS ON INLAY SURFACE

내표면 처리에 따른 레진 인레이와 글래스아이오노머 베이스간의 접착

  • Jang, Byung-Sung (Deportment of Conservative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otional University) ;
  • Kim, Sung-Kyo (Deportment of Conservative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otional University)
  • 장병성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존학교실) ;
  • 김성교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존학교실)
  • Published : 2000.09.05

Abstract

The effect of inlay surface treatment on bonding was investigated when resin inlay was bonded to resin-modified glass-ionomer base with resin cement. For the preparation of glass-ionomer base, resin-modified glass-ionomer cement (Fuji II LC, GC Co., Japan) was filled in class I cavities of 7mm in diameter and 2mm in depth made in plastic molds. Eighty eight resin inlay specimens were made with Charisma$^{(R)}$ (Kulzer, Germany) and then randomly assigned to the four different surface treatment conditions: Group I, $50{\mu}m$ aluminium oxide sandblasting and silane treatment ; Group II, silane treatment alone ; Group III, sandblasting alone, and Group IV (control), no surface treatment. After a dentin bonding agent with primer (One-Step$^{TM}$, Bisco Inc., IL., U.S.A.) was applied to bonding surface of resin inlay and base, resin inlay were cemented to glass-ionomer base with a resin cement (Choice$^{TM}$, Bisco Inc., IL., U.S.A.). Shear bond strengths of each specimens were measured using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4202 Instron, lnstron Co., U.S.A.) and fractured surfaces were examined under the stereoscope.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with one-way ANOVA and Dunkan's multiple range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andblasting and silane treatment provided the greatest bond strength(10.56${\pm}$1.95 MPa), and showed a significantly greater bond strength than sandblasting alone or no treatment (p<0.05). 2. Silane treatment provided a significantly greater bond strength(9.77${\pm}$2.04 MPa) than sandblasting alone or no treatment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nd strength between sandblasting treatment and silane one (p>0.05). 3. Sandblasting alone provid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nd strength from no treatment (p>0.05). 4. Stereoscopic examination of fractured surface showed that sandblasting and silane treatment or silane treatment alone had more cohesive failure mode than adhesive failure mode. 5. In relationship between shear bond strength and failure mode, cohesive failure occurred more frequently as bond strength increased.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베이스에 대한 레진 인레이의 접착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이차 중합된 레진 인레이의 내표면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처리한 후 레진 인레이를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베이스에 레진 시멘트 접착시 내표면 처리방법이 이들의 접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글래스아이오노머 베이스 제작을 위해서 플라스틱 봉에 직경 7mm, 깊이 2mm의 1급 와동을 형성하고 Fuji II LC를 충전하였으며, 수복용 레진(Charisma$^{(R)}$)을 사용하여 레진 인레이를 제작하였다. 레진 인레이 내면은 $50{\mu}m$ aluminum oxide particles를 이용한 sandblasting 및 silane 처리군, silane 처리군, sandblasting 군, 그리고 무처리 대조군 등 4군으로 나누어 표면처리하였으며 각 군은 22개씩의 시편을 사용하였다. 인레이와 베이스의 표면에 상아질 접착제(One-Step$^{TM}$)를 도포한 후 Choice$^{TM}$를 사용하여 레진시멘트 접착하였다. 접착 양상 평가를 위해 만능시험기로 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하고 파단면을 입체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andblasting 및 silane 처리군이 가장 높은 접착강도(10.56${\pm}$1.95MPa)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sandblasting군 및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2. Silane 처리군(9.77${\pm}$2.04MPa)은 sandblasting 및 silane 처리군과는 접착력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sandblasting 군 및 무처리 대조군에 벼해서는 유의하게 높은 접착강도를 나타내었다(p<0.05). 3. Sandblasting만 시행 한 군은 무처리 대조군과 비교시 접착강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4. 파단면 관찰 결과, 모든 군에서 일부 접착계면에서의 파절을 포함하는 글래스아이오노머 베이스의 응집 파괴(cohesive failure) 양상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sandblasting 및 silane 처리군과 silane 처리군에서는 sandblasting 군 및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접 착계면에서의 파절(adhesive failure) 양상을 나타내었다. 5. 전단접착강도와 파절양상의 관계에서, 접착강도가 클수록 응집 파괴(cohesive failure) 양상이 많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