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tream Naturalness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초

창원천과 남천의 생태적 복원을 위한 식생 측면의 진단평가 (Diagnostic Evaluation on the Riparian Vegetation in the Changwon and Nam Streams for Preparing a Restoration Plan)

  • 안지홍;임치홍;정성희;김아름;우동민;이창석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75-491
    • /
    • 2016
  • The Changwon and Nam streams that run through the Changwon city were evaluated based on longitudinal and horizontal configurations and vegetation state in order to prepare a restoration plan. Riparian vegetation of the Changwon and Nam streams are normally dominated by herbaceous plants. However, the woody plants, Salix pseudolasiogyne, Rubus parvifolius, Salix koreensis, Robinia pseudoacacia, and Amorpha fruticosa have appeared. Planting to introduce various types of plants for landscape architecture has also been observed. Evaluation of naturalness based on the vegetation state of both Changwon and Nam streams showed very low naturalness of degree 1 or 2, with the exception of a few reaches of the upstream sector. In these few reaches of the upstream sector, Salix koreensis and Salix chaenomeloides showed heights at the subtree level, however, they were located at the position of shrubland close to the waterway. These reaches were, therefore, evaluated as degree 3 rather than degree 4 in naturalness. The result of diagnostic evaluation classified by reach indicated the requirement for active restoration, such as transformation of the channelized stream into a meandering one and a step-type cross section into a pool-type one, introduction of vegetation suitable to the region and site, and creation of an ecological network between the stream and the surrounding terrestrial ecosystems.

한강권역 내 하도 자연성이 어류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ream Channel Naturalness on Aquatic Ecological Health in the Han River, South Korea)

  • 김현지;노성유;정현기;문정숙;신유나;이경락;이수웅;이재관
    • 생태와환경
    • /
    • 제51권4호
    • /
    • pp.311-321
    • /
    • 2018
  • 본 연구는 하천 내 하도 자연성이 어류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8~2016년 간 한강권역의 자연사행하천과 하도정비로 직강화된 하천의 수질환경요인과 FAI를 비교 분석하였다. 하도 자연성에 따른 우점종의 출현빈도를 분석한 결과, 자연사행하천에서 민감성 및 충식성 어종이 우세한 반면, 하도 직강화 하천에서는 내성 및 잡식성 어종이 우점하는 빈도가 높은 양상을 보였다. 하도 및 저수로의 직강화로 인해 하도 자연성이 감소함에 따라 FAI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생태적 어류군집구조 특성이 반영된 메트릭인 민감종수(M3) 및 충식종의 개체수 비율(M6)의 감소와 잡식종의 개체수 비율(M5)의 증가가 FAI 변화에 주요요인으로 나타났다. 하도 자연성 감소에 따른 연도별 FAI 하락은 BOD, TN, TP, 전기전도도, 탁도의 증가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하도 및 저수로의 직강화로 인한 수질변화는 물리적 서식환경의 교란과 함께 어류 건강성에 주요 영향요인으로 판단된다.

생태하천 복원 후 모니터링과 적응관리 - 안양시 학의천을 중심으로 - (Follow-up Monitoring & Adaptive Management after Ecological Restoration for the Stream - Focused the Hakui Stream in Anyang City -)

  • 최정권;최미경;최철빈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85-95
    • /
    • 2015
  • Recent years, nationwide projects for ecological restoration are implemented with emerging issues on the stream ecosystem. In order to enhance effectiveness of the ecosystem restoration and reduce negative impact, the appraisal of effectiveness through the follow-up monitoring and the adaptive management process are executed in consecutive phase. In this study, planning phase, monitoring and adaptive management in Hakui stream which is part of An Yang stream restoration project is introduced as representative ongoing case of effective adaptive managem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adaptive management process and suggest direction of effective restoration. Restoration project of Hakui stream resulted in increasing number and diversity of species (vegetation, fish, bird, invertbrates, amphibian and reptilia) according to monitoring from 2004 to 2013, and enhancing natural river landscape by evaluation of river naturalness among 2001(before restoration), 2007 (after), 2015 (recent). However, excessive vegetation expansion or sediment deposition on channel over time caused unexpected results such as terrestrialization or degradation of habitats. Adaptive management action such as removing disturbance species (Humulus japonicus)(2007), coppicing willow (2007), release of march snail (2007), creation of wetland (2014) were implemented based on monitoring results. And then appraisal of management action was discussed.

도시하천의 생태경관 보전 및 복원구역 설정에 관한 연구 - 전주시 전주천과 삼천을 중심으로 - (The Establishment of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Sections for Urban Stream - Case studies of Jeonjucheon and Samcheon in Jeonju-si -)

  • 임현정;이명우;정문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3-9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areas for sustainable stream management by reflecting the ecological health,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citizens' needs for stream uses. Therefore, we extended spatial ranges of stream evaluation to riparian areas in addition to stream sections. The evaluation indexes are stream naturalness, availability, biota assessment, and riparian characteristics such as land uses and legally protected areas. The grading system was unified with five classes. The spatial evaluation units for stream section are classified as right and left for laterally and 500m for longitudinally. For riparian areas, 30m and 100m of distance from the edge of stream are applied as spatial evaluation units. The six types of stream sections for management are conservation sections(priority/general) and restoration sections(priority/general) for ecological landscape and core and general sections for cultural landscape. The established system for evaluation and designating areas for stream management was applied to Jeonjucheon and Samcheon in Jeonju-si, and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areas were designate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and non-urban areas and left and right of stream se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detailed guidelines for designating stream sections and practical management strategies for sustainable urban stream management.

하천환경의 자연성 평가를 위한 식생지표의 개발 (Development of Vegetation Indicator for Assessment of Naturalness in Stream Environment)

  • 전승훈;채수권
    • 환경영향평가
    • /
    • 제25권6호
    • /
    • pp.384-401
    • /
    • 2016
  • 본 연구는 하천환경평가체계 구축의 일환으로서 식생 평가 지표 및 평가 기준의 검증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5개 시험하천을 대상으로 68개의 평가단위에서 총 204개의 식생 표본조사구를 설정하였으며, 표본조사구별 상관-종조성 수준에서 식생군집의 분류 및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현존식생도를 기준으로 식생자료의 분석을 통해 표본조사의 적정 규모, 식생 지수의 점수 기준, 식생 군집분류의 표준화, 그리고 식생평가지표의 등급화를 위한 종합 점수기준을 검토하였다. 하천 식생 평가를 위해 개발된 식생 다양도 지수와 식생 복잡도, 그리고 식생자연도 지수로 이루어진 식생평가지표의 종합점수 산정 및 등급화는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생평가지표의 등급화에 대한 식생지수의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식생자연도 지수가 다른 지수에 비해 보다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세부 식생지수 사이의 상호보완적인 관계가 성립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선행 연구에서의 기준의 재검토 및 식생군집 분류의 표준화 작업 등을 통해 개정된 기준을 적용한 결과 식생평가등급 간 변별력이 크게 확보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하천구간의 유형에 따른 식생 지수 및 식생평가지표의 등급화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청남도 금산천과 기사천의 식물상 및 식생분석 (Analysis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Geumsan and Gisa Stream Located in Chunchengnam-do)

  • 박인환;조광진;사공정희;김혜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5-64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ffer the ecological data for restoring and maintaining a local stream by analyzing the vegetation and flora in Geumsan Stream and Gisa Stream, Geumsan-gun, Chungcheongnam-do, Korea. As a result of comparison of realities of land use near Geumsan Stream and Gisa Stream, in Geumsan Stream, the ratio of residential areas, commercial and business places, and places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was high. With these types of land use aggregating densely in the center, farmlands were formed on both sides. On the other hand, in Gisa Stream, farmlands were distributed evenly in all sections. As a result of comparison of flora of the two streams, Geumsan Stream had a total of 166 taxons including 53 families, 131 genuses, 139 species, 23 varieties, and 4 forms, and Gisa Stream had a total of 142 taxons including 42 families, 111 genuses, 116 species, 21 varieties, and 5 forms. As a result of calculation of the Naturalization Index and Urbanization Index, the indices were analyzed to be 23.5% and 12.1% in Geumsan Stream and to be 21.8% and 9.7% in Gisa Stream, respectively. Hence, Geumsan Stream showed higher figures in both evaluation indices than those of Gisa Stream. In addition, as a result of calculation of the Actual Urbanization Index, which is the index supplemented by considering the species pool and area, it could be known that Geumsan Stream (0.0285) was urbanized more than Gisa Stream (0.0107) by about 2.7 times. A total of 18 plant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 Geumsan Stream and Gisa Stream. In Geumsan Stream, 14 vegetation types were identified, and it was analyzed that there are various vegetation types including Phalaris arundinacea community, Zoysia japonica community, Phragmites japonica-Phalaris arundinacea community, etc. evenly distributed. 11 vegetation types were identified in Gisa Stream, and it was examined that 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is widely distributed in all sections.

도심 하천복원사업을 위한 사후 비용편익 항목 및 분석방안 제시: 청계천 복원사업을 사례로 (Development of Ex-post Cost Benefit criteria and Analysis Plan for an Urban Stream Restoration Project: The Case of Che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 이미연;정인수
    • 환경정책연구
    • /
    • 제11권3호
    • /
    • pp.67-96
    • /
    • 2012
  • 도심 하천복원사업의 정책적 방향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이미 사업이 종료된 청계천 복원사업에 대한 사후 비용편익 항목과 분석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후 비용편익 항목을 도출하기 위해 사전 비용편익분석의 비용과 편익항목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검토의견과 예비타당성 표준지침, 비용편익분석 이론 등에 근거하여 사후 비용편익 분석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비용부문에는 보상비, 갈등조정비, 연구 및 홍보비, 감면받은 유지용수, 물 값 등이 포함되었다. 편익부문에는 환경개선편익 추정시 하천의 자연도 평가를 포함한 다속성 평가기법을 적용하도록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사후 비용편익 항목과 분석방안이 제시됨으로써 도심 하천복원사업의 효율성이 증대되고, 하천복원의 의미에 더 부합되도록 사업을 평가할 수 있다.

  • PDF

도시하천의 유지용수 공급에 따른 생태복원 (An Ecological Restoration of Urban Streams by Supplying Maintenance Water)

  • 조홍제;이수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17-328
    • /
    • 2013
  • 울산시의 대표적인 5개 도시하천인 무거천, 약사천 여천천, 명정천 및 척과천 등 5개 하천을 대상으로 유지용수 공급방법과 그에 따른 생태복원 정도를 조사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유지용수의 지속적인 공급으로 하천의 수질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었고 생태계가 점진적으로 복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염도가 높거나 수질이 좋지 못한 유지 용수는 비록 많은 양을 공급하더라도 생태계 복원에 도움이 되지 못하거나 오히려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폭이 좁은 도시하천을 생태하천으로 조성하거나 유지하기 위해서는 산책로 조성 등 시설물 설치는 최소화해야 하고, 적절한 유지용수 확보와 본류 하천과의 연결성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천환경 평가체계의 구축에 따른 지구 지정 기준의 검토 및 제안 (Suggestion of Zoning Criteria Based on the Assessment System for River Environment)

  • 전승훈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6호
    • /
    • pp.647-657
    • /
    • 2018
  • 본 연구는 국가의 하천환경관리차원에서 정립되고 있는 한국형 하천환경 평가체계의 하천환경 자연도와 하천 친수도에 대해 하천정비 및 관리계획의 지구지정 기준으로서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관련 법제도적 기준과 지침을 검토한 결과 보전지구 지정기준인 역사문화적 가치는 친수지구와의 연계성의 검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자연환경적 특성을 반영한 하천 환경 자연도의 기준의 1단계 보전과 복원지구의 구분에 이어 인문사회적 특성을 반영한 하천 친수도를 적용하여 친수지구를 구분하는 순차적인 평가방식을 제안하였다. 시험하천인 갑천과 유등천에 적용한 결과 현재 상태의 하천환경특성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기존의 지구구분 자료가 좌안과 우안의 차이를 반영하지 못한 점이나 과도한 친수지구의 지정 등의 문제에 대해 본 연구결과는 보다 분명한 기준을 제공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구지정의 기준은 하천의 물리적 특성을 기준으로 한 평가단위의 설정과 함께 다양한 하천환경의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서 또 다른 법적 규제나 지역의 여건 등은 행정적 절차에서 조정,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생태계 건강성 통합정보 분석을 위한 GIS DB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연구 (Building a GIS Database for Analyzing the Integrated Information on Aquatic Ecosystem Health and Its Application)

  • 조명희;이수형;최희락;장성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89-203
    • /
    • 2013
  • 본 연구는 수생태계 건강성 변화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상호 연계 또는 중첩,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수생태계 건강성 정보를 기반으로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개체 또는 개체군들 간의 상호작용 및 생태계 차원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생태현상들을 그 지역의 환경변화(오염발생원, 수변환경 변화 등)와 결부시킨 종합적인 분석이 가능한 DB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결과자료와 한국형 Reach File(KRF), 하천자연도, 물환경정보시스템 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결과 및 한국형 Reach File, 하천자연도 등은 자료 DB 개별속성에 대해 상세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수집데이터의 형식이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데이터형식별 구성현황 및 상세 데이터 내에 대해 조사 및 분류별 정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데이터에 대한 핵심주제를 도출하였으며, 주제별 특성과 관련된 항목정보들을 추출하여 주제별로 분류 관련 엔터티를 도출하였다. 또한, 개별 주제별 엔터티간 연계를 위한 관계값을 가진 엔터티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생태계 건강성 결과 자료의 효율적인 분석 및 보전, 복원을 위한 방안 제시를 위해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한국형 Reach File, 하천자연도 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공간 속성 위상 데이터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각 자료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정확하고 과학적인 수생태계의 건강성 통합정보 분석방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