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red Grain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38초

고구려 안악3호분의 음식문화 (Food Culture of Tomb of An-Ak No. 3 in Koguryo Dynasty)

  • 고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1-63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ood culture represented by the grain yard, water well, kitchen, and meat storage space which were depicted in the mural painting of An-Ak tomb No. 3. The mural paintings of An-Ak tomb No. 3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ncient Chinese tombs before the 4th century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Above all, the tomb murals describe the form and function of the stove (buttumak) as well as the cuisine using the cauldron (sot) and steamer (siru) in a very interesting manner. The meat storage space of An-Ak tomb No. 3 shows whole carcasses of animals such as roe deer, dog, and pig. However, Chinese murals show that while small animals such as soft-shelled turtle, fish, chicken, duck, pheasant, rabbit, etc. were stored as whole carcasses without being cut into pieces, large animals such as cows and pigs were slaughtered and each piece of their carcasses such as the head, thigh, meat loaf, and cardiopulmonary part was separately depicted. These tomb murals vividly describe the food culture of Koguryo and China before the 4th century.

냉간가공과 베타급냉된 Zr-Sn 합금의 재결절 거동 (Recrystallization Behavior of Cold-worked and $\beta$-Quenched Zr-Zn Alloys)

  • 이명호;정용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0권11호
    • /
    • pp.725-731
    • /
    • 2000
  • 냉간가공과 베타급냉된 Zr-Sn 합금의 재결정 거동을 미소경도 시험과 미세 조직 관찰 방법에 의해서 조사하였다. 베타급냉 처리된 합금의 재결정은 냉간가공된 합금의 재결정보다 늦게 일어났는데, 이는 냉간 가공에 의해 도입된 축적에너지가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냉간가공재와 베타급냉재의 초기 경도는 동일하지라도 재결정거동은 아주 다르게 나타났다. TEM 조직관찰 결과를 근거로 할 때, 냉간가공재는 subgrain합체에 의해서 재결정이 일어나며 베타급냉재는 응력유기 입계이동에 의해서 재결정이 일어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저온기 시설수박 착과율 증진을 위한 품종 및 화분분리 유기용매 선발 (Selection of Cultivars and Organic Solvents to Improve Fruit Set of Greenhouse Watermelon during Cold Period)

  • 임채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47-152
    • /
    • 2010
  • 화분량은 '금천' 수박을 제외하고 응화 1개당 10mg 이상이었다. '복' 수박은 1화당 화분무게가 13.8mg이었고, '스피드꿀' 수박은, 12.1mg으로 겨울철 저온기 재배에 인공수정용 화분생산 품종으로 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유기용매 침지 후 즉시 건조된 화분발아율은 '금천' 수박이 67%로 기장 낮았고 '아폴로꿀' 수박이 92%로 가장 높았다. 유기용매에 15일간 저장했을 경우 '복' 수박 화분의 발아력이 74%로 가장 높았다. 저장 24일 후에는 5품종 모두 25% 이하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금천'과 '삼복꿀' 수박의 화분관 신장속도는 $50{\mu}m/hr$ 미만(저장 24일)으로 다른 품종보다 낮았으며, 벌이도중 화분관이 파열되는 경우도 발생되었다. 유기용매 저장 24시간 후 화분발아율은 pentane, ethyl ether, n-hexane, ethyl acetate, acetone에서 각각 45, 39, 34, 23, 19% 순이었고 유기용매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화분활력이 급격히 감소되었다. 화분 표피는 유기용매에 저장한 시간이 길어질수록 장해를 많이 받았는데 유기용매의 종류에 따라 장해정도가 달랐다. '복' 수박이 화분량, 화분활력, 저장성이 우수하였는데 저온기 착과율 증진을 위한 화분생산 품종으로 보여진다.

겉보리의 저장온도와 수분함량이 붉은곰팡이병균과 곰팡이독소 오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and Grain Moisture Content on the Contaminaton of Fusarium and Fusariotoxin in Hulled Barley Grains)

  • 함현희;이경아;이데레사;한상현;홍성기;이수형;류재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21-328
    • /
    • 2017
  • 붉은곰팡이는 곰팡이독소를 생성하는 식물병원균으로 수확된 보리 알곡에 잔존하여 저장 중 적절한 환경이 조성되면 곰팡이독소를 생성할 수 있다. 저장 중 겉보리의 저장온도와 곡물수분함량이 붉은곰팡이와 곰팡이독소 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전라도에서 수집한 겉보리 시료 3점의 수분함량을 14%와 20%로 조절한 후 온도조절이 되지 않는 상온창고와 $12^{\circ}C$ 이하로 온도를 조절한 저온창고에 각각 저장하였다. 창고의 온도와 습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면서 1, 3, 6, 12개월 후 시료의 수분함량, 붉은곰팡이와 곰팡이독소의 오염 정도를 조사하였다. 창고의 온 습도 조사결과 상온창고는 월별 평균온도가 최저 $3^{\circ}C$에서 최고 $29^{\circ}C$였으며, 평균습도는 58~70% 인 반면 저온창고는 평균온도가 $3{\sim}13^{\circ}C$ 였으며, 평균습도는 62~74% 였다. 시료의 수분함량은 상온창고에서 감소하였으나 저온창고에서는 초기수분함량 14% 시료는 수분함량이 증가하였고, 초기수분함량 20% 시료는 감소하였다. 붉은곰팡이 오염립은 상온창고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으나 저온창고에서는 시료의 수분함량이 높아 감소폭이 적었다. 곰팡이독소는 대부분의 시료에서 저장 12개월 후에는 상온창고에서 니발레놀이 더 많이 검출되었으나 1, 3, 6개월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겉보리의 건조가 덜 된 경우 저온창고에 보관하는 것이 붉은 곰팡이의 오염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며, 겉보리를 1년이상 장기 저장할 경우 저온창고에 보관해야 니발레놀의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미곡저장해충의 분류동정 및 주요저장해충의 발생최성기 조사 연구 -전남지방중심- (An Investigation of Insect Pest and Maximum Occurrence Period of Key Pest Insect on Stored Rice Grains)

  • 김규진;김선곤;최현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7-124
    • /
    • 1988
  • 미곡지대인 전남지방에 분포된 미곡저장해충의 분류 및 주요해충들의 발생최성기간 및 발생소장을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한국 남부 도작지대에 분포된 미곡저장해충은 Lepidoptera 8종, Coleoptera 10종, Orthoptera 1종, Thysanura 1종, Blattaria 2종, Hymenoptera 1종, Mites 2종이 동정되었으며 이중 발생량이 많고 피해가 큰 해충은 나비목의 보리나방(Sitotroga cereallella), 줄알락명나방(Cadra cautella), 한점쌀명나방(Paralipsa gullaris),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 딱정벌레목의 살바구미(Sitophilus oryzae), 톱가슴머리대장(Oryzaephilus sruinamensis), 갈생머리대장(Cryptolestes ferruineus), 거짓살도둑(Tribilium castaneum), 쌀도둑(Tenebroidesm uritanicus), 애수시렁이(Attagenus japonicus)가 바퀴목의 바퀴(Blattella germanica) 응애목의 가루응애(Acarus siro), 보리응애(Petrobia latens)등이었다. 본조사에서 이제까지 문제화되지 않았던 바퀴가 남부해안지대를 중심으로 많이 분포되었고 발생량도 많고 가충기간도 긴 편이었다. 분포지역도 넓고 발생량 및 피해가 큰 주요해충의 발생최성기간을 보면 보리나방 6월하순-7월중순, 한점쌀명나방 6월중~7워랑순, 화랑곡나방 7월중순~8월상순, 쌀바구미 7월하순~8월하순, 톱가슴머리대장 5월하순~6월중순, 거짓쌀도둑 7월중~8월중순, 쌀도둑 7월중~8월중순, 애수시렁이 6월중~7월상순, 바퀴 6월중~9월하순, 가루응애 및 보리응애 4월말~5월말경이었다. 쌀구미는 년 4세대를 거쳤으며 제1세대 5월중~6월상순, 제 2세대 7월중~하순, 제 3세대 8월중~하순, 제 4세대 10월중~11월상순이었고 톱가슴머리대장은 년 3세대를 거쳤으며 제 1세대는 5월중~6월상순, 제2세대는 8월상~하순, 제 3세대는 10월상~하순경이었다.

  • PDF

분산형 빗물 저류조용 모래 여과층을 적용한 도심지 비점오염원의 TSS와 COD 정화효율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Filtration Efficiency of Sand Filter Layers to TSS and COD in Non-point Source Pollutant)

  • 안재윤;이동섭;한신인;최항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5호
    • /
    • pp.1477-1488
    • /
    • 2014
  • 도심지 불투수성 포장의 증가로 지하수위 저하, 생활용수 부족 등의 물과 관련된 다양한 환경문제가 점차 심화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빗물 저류조가 설치되어지고 있다. 빗물 저류조는 지반 저류층에 강우 유출수를 저장하여 향후 갈수기에 이용할 수 있어 도심지의 원활한 물순환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도심지의 초기 강우는 다량의 비점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초기 강우를 빗물 저류조에 저류하기 전에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정화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 강우의 오염물질 정화를 위해 경제성과 비점오염물질 제거효율 측면에서 우수한 토양여과기술을 적용한 빗물 저류조의 전처리시설인 모래 여과층에 대한 정화효율 및 적용성을 실내 시험과 현장 시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실내 시험은 $20cm{\times}30cm{\times}60cm$의 규격으로 제작된 챔버에 3종류의 각기 다른 모래 여과층을 조성한 후 인공 강우를 유입하는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유출된 오염수의 TSS (총 부유물질)와 COD (화학적 산소요구량)를 측정하여 모래 여과층의 정화효율을 평가하였다. 또한 폐색 현상으로 인한 모래 여과층의 투수계수 변화를 간접적으로 평가하였다. 실내 시험을 통하여 비점오염물질 정화에 적합한 여과층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현장 빗물 저류조에 시험 시공하여 선정된 여과층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보리수확후 건조, 저장 및 유통 실태 (Current Status of Post - harvest Management of Barley(Hordeum vulgare L.))

  • 손영구;손종록;백성범;이춘우;남중현;서세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57-361
    • /
    • 2002
  • 보리의 수확후 건조, 저장, 가공, 포장, 출하 등 유통단계별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찰쌀보리 집단재배 지역인 충남논산(부적)과 전남영암(군서)에서 처리실태를 조사한 결과 수확단계에서 보리의 수확기간이 16~20일로 짧아 노동력이 집중되는 것과 범용콤바인으로 수확할 경우 쓰러진 보리를 수확하기 곤란한 점 및 크라스콤바인을 임대하여 수확할 때 무리한 작업일정에 따른 2~3%의 수확손실 발생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건조단계에서는 수분함량 변이가 큰(논산:11.8~40%, 군서 : 14.0~34.6%)시료를 같은 열풍건조기 내에서 건조하는데 따른 건조효율 저하와 건조온도를 적정온도인 5$0^{\circ}C$이하보다 다소 높은 55~7$0^{\circ}C$로 조절하는데 따른 품질저하가 우려되었다. 저장 및 유통단계에서는 건조기 또는 저장빈의 추.하곡겸용에 따른 이종곡립 혼입, 그리고 보리소비의 시기가 연중 일정치 않고 특정시기(9~10월)에 편중되는 것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보리 저장기간중 지방산도는 입고시 찰쌀보리가 7.6~8.0 KOHmg/100g, 새쌀보리 4.5 KOHmg/100g이던 것이 10 개월 저장 후에는 각각 10.1~12.0 KOHmg/100g 및 7.3 KOHmg/100g까지 증가되었으며 발아율은 품종 및 저장방법별로 입고시 51.5~61.5%이던 것이 10개월저장 후에는 47.7~59%로 낮아졌고 백도와 흡수율은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낮아져 약간의 물성 변화가 인정되었으나, 10개월 후의 식미는 대체로 양호한 편이였다.

감마선 조사된 개량메주의 보존 중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mma Irradiated-Grain Shape Improved Meju)

  • 김동호;이경행;육홍선;김재훈;신명곤;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640-645
    • /
    • 2000
  • 전통메주의 대체제품으로 시판되고 있는 낱알형 개량메주의 보존성 향상을 목적으로 메주에 0, 5, 10, 20 kGy의 선량으로 감마선을 조사하고 $25^{\circ}C$에 6개월간 보존하면서 메주의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곰팡이와 산생성세균은 10 kGy의 감마선 조사로 완전사멸이 가능하였으며 Bacillus는 10 kGy의 조사선량에서 약 5 log cycle 정도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감마선 조사에 의한 미생물군의 $D_{10}$을 곰팡이, Bacillus, 산생성 세균에서 각각 0.79, 2.28, 1.02 kGy 수준이었으며 감마선 조사 후 생존한 미생물들도 보존기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메주의 품질열화 요소인 암모니아태질소 함량과 갈색화도의 중가는 감마선 조사에 의하여 유의적으로 억제되었고 메주의 생화학적 품질평가 지표인 protease의 활성과 pH는 감마선 조사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았다. 따라서 감마선 조사는 메주의 품질을 유지하는데 유용한 방법이 될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미강(米糠)의 지질성분(脂質成分) 및 저장(貯藏)중 지질특성(脂質特性) 변화(變化)에 관한 연구(硏究) (Fractionation of Rice Bran Lipid and Storage Effects on Bran Lipid Composition)

  • 류정희;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78-284
    • /
    • 1980
  • 신품종 벼(밀양 23호)의 부산물인 미강의 각종 지질성분을 분획 정량하였고, 저장중(온도 $30^{\circ}C$, 상대습도 80%, 5주간) 이들 획분의 조성변화 및 지질특성 변화 양상을 살펴 보았다. 1. 신선미강의 총지질 중 중성지질은 89.9%, 당지질은 8.0%, 인지질은 2.1%였으며, 저장 후에도 그 조성은 신선미강과 비슷하였다. 2. 중성지질 성분에 있어서는 트리-글리세리드(54.4%), 디-글리세리드(13.8%), 탄화수소 및 esterified sterol(13.5%)이 주성분이었고, 저장 후에는 트리-글리세리드의 감소와 유리지방산의 증가현상이 뚜렷하였다. 그리고 당지질 성분에 있어서는 acylsterolglycoside(43.1%) 및 steroglycoside(30.3%) 등이 가장 많았고, 저장 후에는 acylsterolglycoside의 증가 및 sterolglycoside의 감소 현상이 다소 나타났다. 한편 인지질 성분에 있어서는 phosphatidyl choline(39.8%), phosphatidyl(19.8%) 등이 주성분이었고, 저장 후에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3. 미강 총지질의 지방산조성은 올레산(44.3%), 리놀레산(32.5%) 및 팔미트산(18.4%) 등이 주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에서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이들의 각 지방산 성분함량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저장에 의한 이들 각 획분에서의 지방산 조성변화는 경미하였다. 4. 미강저장 중 총지질의 산값은 계속 증가하였고, 요드값은 감소하였으며, 과산화물값 및 TBA값은 저장 초기에 증가하였다가 다시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머리대장가는납작벌레의 합리적 방제 물질로 이란 서양가새풀 정유의 살충효과 평가 (Essential Oil Isolated from Iranian Yarrow as a Bio-rational Agent to the Management of Saw-toothed Grain Beetle, Oryzaephilus surinamensis (L.))

  • 아스가르 에바돌라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95-402
    • /
    • 2017
  • 유기합성 농약의 과다사용은 환경오염, 살충제 저항성 발달, 비표적 생물에 대한 영향 등 부작용의 원인이 되고 있다. 유기합성 농약의 대체약제로 포유동물에 저독성인 식물기원 물질이 각광을 받게 되었다. 이란 서양가새풀(Achillea millefolium L.) 정유성분의 훈증독성은 국제적 저장작물 해충인 머리대장가는납작벌레(Oryzaephilus surinamensis L.)의 방제제로 연구된 바 있다. 이 식물 정유의 화학적 성분을 가스크로마트 그래피(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살충실험 결과 처리농도에 따라 유의한 살충률을 나타냈다. 처리농도와 살충률 간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반치사 농도(LC50)는 $17.977{\mu}l/L$ 이었다. 주요 성분은 1,8-Cineole (13.17%), nerolidol (12.87%), ${\alpha}$-cubebene (12.35%), artemisia ketone (6.69%), ${\alpha}$-terpineol (5.27%), alloaromadendrene oxide (4.71%) 및 borneol (3.99%) 이었다. 전체 동정된 화합물의 96.35%는 Terpenic 화합물로 monoterpene hydrocarbons (8.19%), monoterpenoids (44.23%), sesquiterpene hydrocarbons (21.69%) 및 sesquiterpenoids (22.24%)를 포함하고 있었다. 본 결과는 terpene이 풍부한 서양가새풀 정유가 머리대장가는납작벌레의 안전한 생물농약으로 고려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