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tone Composition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31초

전라북도 재실 건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of Jae-sil in Jeonalbukdo)

  • 이상선;신웅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35-42
    • /
    • 2013
  •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general characteristics of Jae-sil from an architectural perspective by grasping location, deployment, structure, and plan composition based on existing inhabited conditions in Jeollabukdo. Results deriv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ocation of Jae-sil is classified into mountainous and village types, and the two types showed a similar distribution. The village type showed the most distribution in the foot of a mountain in the rear of village, while the mountainous type is close to graveyard. The Jae-sil were mostly exposed to south, southeast, and southeast,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residence. For deployment of the Jae-sil, a "二" shaped house, where main quarter and gated building are parallel located, can be common, indicating that additional attached building is less required. Second, for the platform out of structural components, coursed masonry was conducted by using natural rocks, and placed were a prop on the platform, first line on processed foot stone, and others on natural foot stone. For pillar, front line round columns, while others square columns. The binding type of the upper part of pillar is dominated by jangyeosujang and sorosujang. For wooden frame structure, 5ryangs were the most distributed, and out of these, 1goju 5ryang was the most generally used. For a roof part, it was composed with gambrel roof with single eave, and the roof was constructed by placing traditional Korean tile roof on the top. Third, for a size of Jae-sil out of plan composition, although the facade and the side of it were presented in a diverse manner, 4 facade rooms and 1.5 side rooms were the most frequently presented, and all Jae-sil were equipped with front ceremonial space. For spatial composition of Jae-sil, main floored hall is placed at the center, and each room is plac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to secure space for ancestral rite for participants of it, and for a house with 5 rooms or more, it shows that main floored hall and rooms are weighted from side to side.

초음파 검사에서 신장 결석의 검출 요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Factors for Detection of Renal Stone on Ultrasound)

  • 심현선;정홍량;임청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9권1호
    • /
    • pp.1-6
    • /
    • 2006
  • I. 목 적: 신장 결석은 흔하며, 전형적으로 수집계에서 발생한다. 신동부는 수집계, 신혈관, 림프관, 지방, 섬유조직 등을 포함하고 있다. 초음파 장치 수신기의 신호 처리 과정에서 모든 큰 에코의 압축 때문에 일반적으로 신결석으로부터의 에코는 신동부의 정상적인 구조로부터 발생하는 큰 에코는 구별할 수 없다. 따라서 초음파 검사에서 후방음향음영이 동반하지 않은 크기가 작은 신장 결석 또는 결석의 화학적 구성 성분에 따라 결석 검출이 어려웠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스캔 변수에 따라 결석 후방에 발생하는 후방음향음영을 측정하여 신장결석 진단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II. 재료 및 방법: 결석을 수조 속 스폰지 위에 올려놓고 LOGIQ 400(U.S.A.)의 3.5 HMz와 7.5 HMz 탐촉자를 이용하였다. 첫째, 게인을 조절해가며 실험하였다. 둘째, 동적범위를 조절해가며 실험하였다. 셋째, 초점 영역을 조절해가며 실험하였다. 넷째, 깊이조절에 따른 저주파수와 고주파수의 에코 레벨을 측정하였다. III. 결 과: 1) 평균 에코 레벨은 총 게인이 10 dB일 때 98, 총 게인이 40 dB일 때 142로 나타났다. 결석의 후방음향음영은 총 게인이 낮을 때 뚜렷하게 나타났다. 2) 동적범위가 42 dB와 72 dB일 때 평균 에코 레벨이 각각 129와 101로 측정되었다. 신장 결석의 후방음향음영은 동적범위가 높을수록 뚜렷하게 나타났다. 3) 결석이 탐촉자의 초점영역에 위치할 때에 후방음영이 분명하게 나타났다. 4) 결석은 저주파수(3.5 MHz)보다 고주파수(7.5 MHz)에서 분명하게 나타났으며, 결석의 왜곡 없었다. IV. 결 론: 신장결석의 후방음향음영의 표현 총 게인, 동적범위, 초점영역, 주파수 등 다양한 기술적 요소들에 의존하며, 이러한 요소들은 신장결석 진단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omposition of the Adhesive Used for Fixing Glass Eyes of the Stone Standing Maitreya of Daejosa Temple, Buyeo (Treasure No. 217)

  • Park, Jongseo;Lee, Sunmyung
    • 보존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95-307
    • /
    • 2019
  • In the process of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glass eyes of the stone standing Maitreya of Daejosa temple, Buyeo (Treasure No. 217), a blackish material, expected to be the adhesive for fixing the glass eyes, was collected and analyzed. Infrared spectroscopy and pyrolysi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pyrolysis/GC/MS) were employed to identify the organic material in the sample. The IR analysis revealed the presence of materials such as apatite or bone black. The pyrogram of the sample was similar to that of Asian lacquer, among traditional adhesives. In particular, the pyrolysis/GC/MS analysis with online methylation detected 1,2-dimethoxy-3-pentadecylbenzene, methyl 7-(2,3- dimethoxyphenyl) heptanoate, and methyl 8-(2,3-dimethoxyphenyl)octanoate. These are known to be the pyrolysis products of catechol and its oxidation product, which indicated the presence of Asian lacquer in the sample. X-ray diffraction, X-ray fluorescence, and thermal gravimetry analysis showed that the sample contained ca. 60% inorganic substances, including apatite. Radiocarbon dating of the sample suggested that the blackish material was applied between the late 13th and early 15th century, revealing some discrepancy with the art-historical manufacturing time of the Maitreya. From the above analysis, it was concluded that Asian lacquer and bone ash were used to attach the glass eyes by forming a thick blackish lacquer layer.

캄보디아 빠일링지역의 보석광상의 성인에 대한 예비연구 (The Preliminary Study for Genetic Environment of the Gem fields in the Pailling Area, Cambodia)

  • 김인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4호
    • /
    • pp.269-274
    • /
    • 2003
  • 금번 연구는 환태평양 귀금속 광화대 중 국내기업이 이미 진출한 나라를 대상으로 하였고, 캄보디아 빠일링 지역에 분포하는 보석광상에 대하여 조사를 수행하였다. 빠일링 보석광상은 현무암이 풍화된 라테라이트에 형성되어 있으며 표토 가까운 곳(깊이 1m 정도)에서는 주로 저품위의 강옥이, 이보다 깊은 곳에서는 고품위의 강옥이 산출된다. 또한, 풍화토의 색깔이 적색인 경우에는 루비, 청색의 경우에는 사파이어가 많이 산출되며, 일반적으로 적색토가 청색토의 상위에 놓인다. 보석류의 산출 및 성인은 풍화토와는 관계가 없으며, 적어도 화산암 상부에 원래 만들어져 있던 이들 보석류가 암석이 풍화를 받으면서 다량으로 산출되는 것이다. 이들 보석류는 화산암의 분출 시 또는 분출 후에 층의 상부 내지는 다른 화산암의 분출로 인해 두 층간 사이에서, 고온의 상태 하에서 보석이 만들어진다고 사료되며, 보석을 함유하는 화산암은 보석을 함유하지 않는 화산암과는 분출시 조금 달랐을 것으로 사료되나, 암석의 화학성분은 다른 지역에서 산출되는 화산암과 별다른 차이가 없다.

비석(碑石)에 칠해진 주사(朱砂)안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d Painting of stone monuments)

  • 신은정;한민수;강대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8권
    • /
    • pp.359-385
    • /
    • 2005
  • 우리나라에서 고대에 사용하던 붉은 색 안료에는 주사, 석간주, 장단 등이 있다. 이중에서 주사는 고급스러운 상품(上品)으로써 벽사의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어 단청, 벽화, 회화를 비롯해 비석, 지석 등에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사견문록(公私見聞錄)"의 기록에서는 고려재상의 지석 음각에 붉은 칠을 메웠다고 기록되어 있어 비, 신도비, 지석 등에 주사와 같은 붉은 칠이 된 것은 고려시대 또는 그 이전부터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문헌기록을 토대로 하여 비석에 남아있는 붉은 안료들의 몇 사례를 조사해 본 결과 대부분 주사, 장단, 석간주 등이 칠해졌음이 분석되었다. 또한 붉은 색의 발색을 더욱 선명히 하기 위해 붉은 칠 아래 바탕칠로써 호분칠이 된 경우도 발견되었다. 현존하는 붉은 안료가 칠해진 비석들은 대부분 조선시대 이후의 사례들이므로 조선시대에는 비등에 붉은 안료로 주사를 사용했음을 알 수 있었는데, "공사견문록(公私見聞錄)"에 남겨진 기록을 보아 고려시대에도 칠해졌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또한 삼국시대 이미 주사안료가 중국으로부터 수입되어 우리나라에 고가의 상품으로 사용되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볼 때 비에 붉은 안료를 칠하던 것은 고려 이전부터 였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렇게 붉은 안료로 주사를 주로 사용했을 것은 주사가 지닌 벽사적 상징의미를 미루어 볼 때 상당히 가능성이 있으며 당시 주사가 매우 고가인 탓에 한때 사용이 금지되기도 하였기에 주사 대신 석간주나 장단과 같은 대체안료가 사용되기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경복궁 근정전 월대 석난간에 설치된 서수 조각물의 내용 및 상징적 의미 연구 -28수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ymbolism of Auspicious Animal Sculptures Installed on Woldae(月臺) Stone Railing at the Geunjeongjeon(勤政殿) of Gyeongbokgung(景福宮) - Based on Twenty-eight Mansions -)

  • 이호선;한동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29권2호
    • /
    • pp.75-88
    • /
    • 2020
  • There are stone sculptures diversely shaped in several parts of Gyeongbokgung. Geunjeongjeon is a place where the stone sculptures are intensively placed among the various palace buildings of Gyeongbokgung, and it is more important because it contains the phases of the age of the dynasty and the symbolism of governing philosophy. What can be seen in the structure of auspicious animal sculptures is based on the form of instinctive thought that the heavenly and human order systems are in an organic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especially with regard to astronomical events such as Samwon Sasin 12jisin 28su. The parts that have been interpreted only in Sasin and 12jisin in the interpretations such as wild dogs, Gyoryong, camels, wolves, and apes were able to clarify the contents by revealing the form of 28su. In particular, as Beopsu Ssangbeopsu at the corner may be related to the guardian deity who governs water, called Yimun, Chimi, and Chimun, it is one of Bibo's ways to protect the palace that was vulnerable to fire.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existing 28su placed Dambi, but Ha Woldae at the Geunjeongjeon was assumed to have a camel statue and a planned arrangement of double meaning with the Bibo form of Pungsu Sasinsa, and it is also a feature of the arrangement of Woldae at the Geunjeongjeon. The actual composition of auspicious animals at the Nambogye of Geunjeongjeon was in the order of Haechi, wild dogs, horses and Jujak, and the contents of "Gyeongbokgung Construction Daily Record" were in the order of Haechi, horses, wild dogs, and Jujak. As to different composition layout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Gyeongbok palace Construction Daily Record", the composition of Samjae Cheonjiin (天地人) was interpreted differently from the conven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rrangement of Woldae. All of these forms are associated with defense systems in the four directions and have become animal representations of each direction. The auspicious animal statues placed on the railing of Geunjeongjeon Woldae can be seen as reflected in a single building with the three dimensional personality that includes Pungsu's Bibo personality with the symbolic meaning that reveals the centrality as Jeong Jeon, the nation's best politics let alone the ideological system of the ancient astronomical of the East called Men Heaven Unity.

거정석, 옥돌 및 포도박 추출물 첨가 급여가 돈육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egmatite, Precious Stone and Grape Pomace Extracts on the Meat Quality of Pigs)

  • 김동엽;한기동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52-260
    • /
    • 2010
  • 90일령의 육성돈에게 거정석, 옥돌, 포도박 추출물박 추출물, 거정석과 포도박 추출물, 옥돌과 포도박 추출물 사료첨가제를 90일 동안 급여하여 육질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일반성분에서는 각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화학적 특성 중 pH와 가열감량에서는 처리구 간 전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p>0.05), 보수력에서 거정석 처리군이 다른 처리군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기계적인 연도측정지표인 전단력($kg/cm^2$)에서는 거정석, 포도박 추출물 처리군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거정석과 포도박 추출물을 혼합 첨가한 경우 유의적인 연도 개선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5). 유리아미노산 함량에서는 전체적인 함량과 각각의 아미노산 함량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지방산조성에도 처리구 간에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p>0.05). 등심에 대한 관능평가에서 거정석과 포도박 추출물 처리군이 다른 처리군 보다 높은 평가결과를 얻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거정석과 옥돌, 포도박 추출물을 사료첨가제로써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 거정석 첨가군은 다른 첨가군에 비해 높은 보수력을 유지하고, 거정석과 포도박 추출물을 동시에 사료에 첨가 사용하였을 때에는 연도 개선을 통한 육질의 개선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맥반석(麥飯石)(휘록분암)에 대(對)한 광물학적(鑛物學的) 특성(特性)과 농업적(農業的) 활용(活用) 가능성(可能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and its Agricultural Use of Barley Stone (Diabase Porphyrite))

  • 최대웅;정필균;엄기태;박노권;박선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99-204
    • /
    • 1987
  • 최근(最近) 맥반석(麥飯石)이란 돌이 신비(神秘)의 광물(鑛物)로 일명(一名) Health Stone이라고 불려 각종(各種) 의학적(醫學的)인 특효(特效)와 함께 농작물(農作物)에도 미량요소(微量要素)의 공급(供給), 병충해(病蟲害) 방제(防除), 보비력(保肥力) 증대등(增大等)의 효과(效果)가 있다고 선전된바 있어 본광물(本鑛物)에 대(對)한 정체(正體)를 밝히고 토양개량(土壤改良)에 대(對)한 실증시험(實證試驗)을 실시(實施)한바 그 결과(結果)가 다음과 같다. 1. 맥반석(麥飯石)은 x-선(線) 회절분석(回折分析) 화학적(化學的) 조성(組成) 및 현미경적(顯微鏡的) 관찰(觀察)에 의(依)하여 휘록분암(Diabase porhyrite)으로 추정(推定)되며 본광물(本鑛物)이 맥반석(麥飯石)이란 이름으로 불린것은 광물(鑛物)의 외관(外觀)이 백색(白色) 사장석(斜長石)의 휘석반정(輝石班晶)이 암록색(暗祿色)의 석기중(石基中)에 산재(散在)해 있어 마치 돌에 맥반(麥飯)이 붙어있는 형상(形狀)으로 보였기 때문인것으로 생각(生覺)된다. 2. 맥반석(麥飯石)은 화학적(化學的) 특성(特性)이 pH가 8.7로 약간 높은 편(便)이나 CEC가 9.0me/100g로 일반토양(一般土壤)보다 낮고 타광물개량제(他鑛物改良劑)인 Zeolite나 Bentonite 보다 현저히 낮아서 토양개량(土壤改良) 물질(物質)로는 부적(不適)한 재료(材料)로 생각된다. 3. 수도(水稻)에 대(對)한 개량효과(改良效果)로서 Zeolite 및 Bentonite의 증수효과(增收效果)가 108~109%인데 비(比)하여 맥반석(麥飯石)은 증수효과(增收效果)가 없었으며 시용량(施用量)을 5ton/10a까지 증시(增施)하여도 증수효과(增收效果)는 102~103%로 극(極)히 미미(微微)하였다. 한편 땅콩 고추 배추등(等)에서도 시용효과(施用效果)를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 PDF

중국 사합원의 평면유형과 공간구성의 특징에 관한 개괄적 연구 (A Study on the Feature of Plan Type and Space Composition of the Siheyuan Housing in China)

  • 최장순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9-2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nd analyse the features of plan type and space composition of the Siheyuan(courtyard house) which is one of the most remarkable types of the traditional dwellings in China. With the passage of time this house developed into one of the chinese house style. The technique of Siheyuan's spatial composition goes so far back in the New Stone Age. The relics of this are the colony layout, the system of four sides, the layout type of a palace, the picture of lacquered ware, the pictured brick, the earthenware of house type, the cave painting, the paintings of painters and others. The fundamental spatial conception of it arranges one or more courtyards to compose, sometimes in a very complex way, a general walled compound. The main longitudinal axis is mainly north-south, but the chief buildings, or halls are always placed transversely to it. These rectangular buildings mayor may not connect, by means of open galleries variously planned, with rows of smaller buildings flanking the courtyards on both sides. On this system, enlargement is never carried out by adding to height, but by continual duplication of existing units, and growth in breadth or preferably depth. The need for family security is thought to have led to the development of this rectangular houses with walls mainly blank on the outside, defensible entrances, and public service facilities in the center of the houses.

봉화 북지리 석조반가상의 보존 및 받침대 안정성 평가 (Conservation and Pedestal Stability Estimation of the Bukji-ri Stone Pensive Bodhisattva of Bonghwa)

  • 채우민;장민경;이용희;황현성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7권
    • /
    • pp.85-100
    • /
    • 2016
  • 경북대학교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봉화 북지리 석조반가상은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고대불교조각대전 <불상, 간다라에서 서라벌까지>'의 전시를 위해 운송과정을 거쳐 보존처리를 수행하였다. 석조반가상에는 표면에 오염물, 입상분해, 균열 등이 발생한 상태였으며 특히, 하단부가 사선으로 파손되어 단독으로 세울 수 없었으므로 전시 시 직립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받침대를 제작하였다. 또한 암석의 구성광물을 동정하고 오염물을 확인하기 위해 편광현미경 및 실체현미경 관찰, SEM-EDS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봉화 북지리 석조반가상은 흑운모 화강암으로 구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새로 제작한 받침대에 원형의 우레탄수지로 만든 봉을 여러 군데 박아 넣었고 이에 대한 마찰력 실험으로 받침대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우레탄수지 및 에폭시수지의 마찰력 비교실험에서는 에폭시수지보다 우레탄수지가 높은 마찰계수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봉화 북지리 석조반가상은 우레탄봉을 사용한 받침대를 받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전시가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