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mach Contents

검색결과 303건 처리시간 0.021초

미성숙 미니돼지에서 방사선과 초음파를 이용한 복부장기의 평가 (Evaluation of Normal Abdominal Organs by Diagnostic Imaging in the Premature Miniature Pig)

  • 장진화;정주현;오선경;최민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17-421
    • /
    • 2009
  • 4, 8, 12, 20 주령의 미성숙 미니돼지에서 방사선과 초음파를 이용하여 복부 주요 장기의 형태학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방사선 검사는 전반적인 장기의 형태를 확인하는 데 이용되는 가장 기본적이고 단순한 방법이다. 기본 복부방사선 사진에서 이용되는 평가해야 할 항목들은 우선 전반적인 복부세부음영의 정도, 간, 위, 비장, 신장, 방광, 장들의 위치, 크기, 형태, 변연, 후복강 평가이다. 초음파 검사는 이러한 주요 장기들의 내부 실질을 평가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미니돼지는 개와 고양이와 비교했을 때 유사한 소견을 가진 것을 확인하였다.

역류증상지수와 역류소견점수의 타당성과 신뢰도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Reflux Symptom(RSI) Index and Reflux Finding Score(RFS))

  • 이병주;왕수건;이진춘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6-101
    • /
    • 2007
  • Laryngopharyngeal reflux (LPR) is the retrograde movement of gastric contents into the larynx, pharynx, and upper aero-digestive tract. LPR differs from gastroesophageal reflux in that it is often not associated with heartburn and regurgitation symptoms. Otolaryngological manifestations of acid reflux include a wide range of pharyngeal and laryngeal symptoms. Belafsky et al. developed a useful self-administered tool, the reflux symptom index (RSI), for assessing the degree of LPR symptoms. Patients are asked to use a 0 to 5 point scale to grade the following symptoms: 1) hoarseness or voice problems; 2) throat clearing; 3) excess throat mucus or postnasal drip ; 4) difficulty swallowing; 5) coughing after eating or lying down; 6) breathing difficulties ; 7) troublesome or annoying cough; 8) sensation of something sticking or a lump in the throat; 9) heartburn, chest pain, indigestion or stomach acid coming up. A RSI score greater than 13 is considered abnormal. As there is no validated instrument to document the physical findings and severity of LPR, Belafsky et al. developed an eight-item clinical severity scale for judging laryngoscopic finding, the reflux finding score (RFS). They rated eight LPR-associated findings on a scale from 0 to 4 : subglottic edema, ventricular obliteration, erythema/hyperemia, vocal-fold edema, diffuse laryngeal edema, posterior commissure hypertrophy, granuloma/granulation tissue, and thick endolaryngeal mucus. A RFS score of greater than 7 was found to suggest LPR-associated laryngitis. Although both indices (RSI and RFS) are widely used, there is some controversy about their validity (sensitivity and specificity) and reliability (intra-rater and inter-rater) in LPR diagnosis and treatment. We discus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RSI and RFS with literature review.

  • PDF

부산 주변 해역에 출현하는 황돔(Dentex tumifron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Yellowback Seabream, Dentex tumifrons, in the Coastal Waters of Busan, Korea)

  • 김하원;박주면;백근욱;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5-40
    • /
    • 2012
  • 부산 연안해역에서 2004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1회 채집된 황돔($Dentex$ $tumifrons$) 317개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황돔의 표준체장(SL)은 10.2~27.8 cm 범위였다. 황돔의 위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새우류(Macrura)를 주로 섭식하는 육식성어종(carnivore)이었다. 새우류 다음으로 어류(Pisces)가 중요한 먹이생물이었다. 그 다음으로 집게류(Anomura), 단각류(Amphipoda), 게류(Brachyura), 극피동물(Echinodermata), 두족류(Cephalopoda) 순으로 섭식하였다. 그 외, 갯지렁이류(Polychaeta), 갯가재류(Stomatopoda), 이매패류(Bivalivia), 패충류 (Ostracoda), 곤쟁이류 (Mysidacea) 등을 섭식하였지만 그 양은 매우 적었다. 가장 작은 크기군인 10~13 cm의 크기군에서는 새우류가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로 나타났다. 13~16 cm 크기군에서는 새우류의 비율이 감소한 반면, 집게류, 극피동물, 게류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새우류, 집게류, 극피동물, 게류의 비율이 감소한 반면, 어류의 비율은 계속 증가하였다. 어류는 체장 25 cm 이상의 크기군에서는 위내용물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불갑천에 서식하는 큰납지리 $Acheilognathus$ $macropterus$ (Pisces: Cyprinidae)의 개체군 생태 (Population Ecology of Deep Body Bitterling, $Acheilognathus$ $macropterus$ (Pisces: Cyprinidae) in the Bulgapcheon Stream, Korea)

  • 김형수;김익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7-34
    • /
    • 2012
  • 큰납지리 $Acheilognathus$ $macropterus$를 대상으로 2006년 3월~11월과 2008년 4월에 전남 영광군 불갑천 일대에서 생태적 특징을 밝히고자 조사하였다. 큰납지리는 물의 흐름이 느리고 바닥이 모래와 뻘로 이루어진 수역에서 대부분 서식하였다. 체장 48 mm 이하는 만 1년생, 48~58 mm는 만 2년생, 58~64 mm는 만 3년생, 66mm 이상은 만 4년생 이상으로 추정되었고 암컷과 수컷은 체장에 있어서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다. 성비는 1 : 0.99 (female : male)이었고, 산란시기는 4~6월로 추정되었으며 이 시기의 수온은 $15{\sim}20^{\circ}C$이었다. 평균 포란수는 $680{\pm}209$개였으며 난경은 $1.92{\times}1.60mm$으로 나타났다. 소화관 내용물을 조사한 결과 규조류의 $Navicula$, $Cymbella$, $Fragilaria$와 같은 식물플랑크톤이 주로 관찰되었다.

거문도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달고기($Zeus$ $faber$)의 식성 (Feeding Habits of John dory, $Zeus$ $faber$ in the Coastal Waters of Geomun-do, Korea)

  • 안영수;박주면;예상진;정재묵;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0-26
    • /
    • 2012
  • 거문도 연안해역에서 채집된 달고기($Zeus$ $faber$) 462개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달고기의 표준체장(SL)은 7.8~40.2 cm 범위였다. 달고기의 위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달고기는 갈치 ($Trichiurus$ $lepturus$), 고등어 ($Scomber$ $japonicus$), 노랑벤자리($Callanthias$ $japonicus$), 전갱이($Trachurus$ $japonicus$)와 같은 어류(Pisces)를 주로 섭식하는 어식성어류였으며, 어류 중에서 갈치를 가장 선호하였다. 어류 다음으로 두족류 (Cephalopoda), 새우류 (Macrura), 난바다곤쟁이류 (Euphausiacea)를 섭식하였지만 그 양은 많지 않았다. 체장 15 cm 이하의 개체에서는 어류와 두족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두족류의 비율은 체장 증가에 따라 감소한 반면, 어류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어류는 체장 15 cm 이상의 개체에서는 위내용물 중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통영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별망둑(Chaenogobius gulos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Chaenogobius gulosus in the Coastal Waters of Tongyeong, Korea)

  • 백근욱;박찬일;정재묵;김무찬;허성회;박주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1-48
    • /
    • 2010
  • 통영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별망둑 (Chaenogobius gulosus)의 식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2008년 10월에서 2009년 9월까지 채집된 333개체의 별망둑의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별망둑의 체장범위는 표준체장 (SL) 2.0 ~ 12.6cm 이다. 별망둑의 위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별망둑은 잡식성 어류로 구멍갈파래 (Ulva pertusa) 같은 해조류 (Seaweed)와 게류 (Brachyura)와 복족류 (Gastropoda)를 주로 섭식하였다. 그 외 이매패류 (Bivalvia), 갯지렁이류 (Polychaeta), 곤충류 (Hexapoda), 새우류 (Macrura), 곤쟁이류 (Mysideacea), 단각류 (Amphipoda) 등도 섭식하였지만 그 양은 많지 않았다. 체장 6cm 미만의 작은 개체는 복족류를 많이 섭식하였다. 그러나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복족류의 비율은 감소하였고, 해조류의 섭식이 증가하였다. 별망둑 위내용물은 계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해조류는 다른 계절에 비하여 봄과 여름에 더 많이 섭식되었다.

효모에서 발현된 유전자 재조합 탈메치오닌 인간 성장호르몬의 일반 약리작용 (General Pharmacology of Recombinant Human Growth Hormone without N-Terminal Methionine Expressed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이은방;신국현;김운자;윤기영;천선아;채윤정
    • 약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7-25
    • /
    • 1992
  • The general and some other pharmacological actions of growth hormone without N-terminal methionine(rhGH) were investigated in animals. The hormone had no influences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on body temperature at a high oral dose of 40 IU/kg in animals. It had neither analgesic nor antiepileptic actions at the high doses. In the isolated ileum and trachea of guinea-pig and isolated stomach fundus and uterus of rat, it showed neither contractive nor relaxing effects at a concentration of $1{\times}10^{-3}\;IU/ml$ in bath, and no inhibitory action at a dose of $1{\times}10^{-3}\;IU/ml$ against the contractions produced by histamine ($5{\times}10^{-5}\;g/ml$), serotonin($1{\times}10^{-5}\;g/ml$), acetylcholine($1{\times}10^{-5}\;g/ml$) and oxytocin($5{\times}10^{-3}\;IU/ml$). Furthermore, the intravenous injection of 20 IU/kg rhGH had no influences on the normal blood pressure and respiration in rabbits. These negative results in pharmacological profile are thought that the hormone may not elicit serious side effects. On the other hand, the rhGH exhibited a weak inhibitory action of glucose tolerance in normal rats, significantly lowered the blood glucose contents in adrenalectomized rats 20 min after i.v. administration of 80 IU/kg, and showed a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n in vitro glycerol release in epinephrine-stimulated epididymal fat pad segments of rats.

  • PDF

한국 남해안에 출현하는 태평양참다랑어 Pacific bluefin tuna, Thunnus orientali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Pacific bluefin tuna, Thunnus orientali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윤상철;유준택;이성일;김장근;최광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1권4호
    • /
    • pp.553-560
    • /
    • 2015
  • The feeding habits of the Pacific bluefin tuna, Thunnus orientalis were examined based on the stomach contents of 330 specimens caught by offshore large purse seine fishery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2011. The size of Pacific bluefin tuna used in this study ranged from 34.1 to 67.3 cm in fork length (FL). The percentage of empty stomachs was 41.8%. The main prey items were Pisces and Cephalopoda based on percentage IRI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The main fish preys were Trachurus japonicus, Bregmaceros japonicus, Engraulis japonicus, and Cephalopoda were Todarodes pacificus, Loligo edulis, Watasenia scintillans. T. orientalis showed ontogenetic change in diet composition. Although Pisces dominated the diet of all length classes the portion of Cephalopoda was relatively higher in size between 40 and 50 cm other than length classes. In terms of seasonal variation in feeding habits, Pisces was the main prey group in all seasons, but Cephalopoda was also frequently consumed during spring and autumn based on %IRI.

국립공원(國立公園) 변산반도(邊山半島) 백천(白川)의 어류상(魚類相)에 관(關)하여 (On the Ichthyofauna of Paikchon streams, Puan, Cholla-bukdo, Korea)

  • 최충길;이종빈;황영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3-71
    • /
    • 1992
  • 1990년 8월부터 1991년 3월까지 백천수계(白川水系)에서 채집(採集)된 어류(魚類)는 11과 19속 22종이었으며 담수역(淡水域)에서 7과 12속 14종이었고 기수역(汽水域)에서 5종 8속 9종이었다. 이 가운데 한국특산종(韓國特産種)은 Squalidus gracilis majimae, Cobitis koreensis pumilus, Pseudobagrus koreanus, Silurus microdorsalis, Odonto-butis obscurus interrupta 등 5종이었다. S. gracilis majimae, Zacco temmincki, Z. platypus, C. koreensis pumilus가 우점(優占)하고 있었으며, S. gracilis majimae는 부착조류(付着藻類)인 Bacillariophyceae를 주로 서식(攝食)하고 있었다.조사 결과 금강(錦江) 이북(以北)의 하천에 분포하는 O. obscurus interrupta, 동해안(東海岸)과 남해안(南海岸)에 분포하는 Luciogobius guttatus, 전국 대부분의 하천에 분포하는 Macropodus chinensis가 서식(棲息)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체적인 종(種) 구성(構成)은 S. gracilis majimae가 40.8%, Zacco temmincki가 24.2%, Z. platypus가 13.3%였고 C. koreensis pumilus는 7.7%로 나타났다.

  • PDF

부산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살살치(Scorpaena neglecta)의 식성 (Feeding Habits of Scorpaena neglecta in the Coastal Waters off Busan)

  • 허성회;박주면;남기문;박세창;박찬일;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7-122
    • /
    • 2008
  • 2006년 1월에서 12월까지 부산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살살치 478개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살살치의 표준체장은 9.0~23.5 cm의 범위를 보였다. 살살치의 주요 먹이생물은 반딧불게르치, 줄비늘치, 도화망둑 등과 같은 어류였으며, 그 다음으로 새우류, 게류가 중요한 먹이생물이었다. 그외 두족류, 갯가재류 등도 위내용물에서 발견되었으나 그양은 많지 않았다. 표준체장 16 cm 이하의 살살치는 게류와 새우류를 주로 섭식하였으며, 16 cm 이상에서는 어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살살치의 먹이생물크기를 살살치의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