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mach Content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3초

서식처 유형에 따른 배스 Micropterus salmoides 식성의 차이 (Study on Feeding Habits of Micropterus salmoides in Habitat Types from Korea)

  • 박종성;김수환;김현태;김재구;박종영;김형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9-53
    • /
    • 2019
  • 서식처 유형에 따른 배스의 식성을 비교하기 위해 하천과 저수지에서 2016년 4월부터 9월까지 306개체의 배스를 채집한 후 먹이생물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천과 저수지에 서식하는 배스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어류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저수지에 서식하는 배스의 소화관 내용물에는 어류뿐 아니라 갑각류와 곤충류의 비율도 높게 나타나 하천에 서식하는 배스와 섭식 차이를 보였다.

인후두 역류 질환: 진단 및 치료 (Laryngopharyngeal Reflux Disease: Diagnosis and Treatment in 2021)

  • 강정욱;은영규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56-63
    • /
    • 2021
  • Laryngopharyngeal reflux disease (LPRD) is an inflammatory condition of the upper aerodigestive tract mucosa induced by reflux content from stomach. Some of vocal cord diseases are associated with laryngopharyngeal reflux. Because of the pathophysiological features, proton pump inhibitor shows therapeutic effect on some vocal cord diseases. As like that, the gastric reflux contents can make macroscopic or microscopic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upper aerodigestive tract mucosa. Although the pathophysiology of LPRD is relatively clear, clinical diagnosis is still difficult. The diagnosis of LPRD includes objective tests such as 24-hours multichannel intraluminal impedance-pH metry and subjective tests such as questionnaire method. However, the objective verification of reflux is difficult due to invasiveness of the method, and the questionnaire methods have limitations because many symptoms are not specific for LPRD. Moreover, most methods are not fully standardized until now. Despite these limitations, many researchers are struggling to standardize diagnosis and treatment of LPRD, and there are several new achievements recent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recent literature on the clinical presentati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LPRD, and to systematize our knowledge.

한국 남해에 출현하는 가고시마샛멸(Argentina kagoshimae)의 섭식생태 (Feeding Ecology of Smallmouth Argentine Argentina kagoshimae in Coastal Waters of the South Sea, Korea)

  • 정재묵;이승종;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590-597
    • /
    • 2022
  • We analyzed the diet composition of smallmouth argentine Argentina kagoshimae, which were collected via bottom trawl in the South Sea during February, April, August, and October 2021. Their size range was 8.1-21.4 cm total length. A. kagoshimae are mesopelagic carnivores, mainly consuming benthopelagic Euphausiacea and Caridea crustaceans. Polychaetes were the second largest prey component in their diet, which also included small quantities of copepods, amphipods, and arrow worms. Stomach content compositions substantially differed among body size levels in A. kagoshimae. The results of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ordination and permutational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of dietary data revealed no significant dietary differences. The results of a graphical analysis of the diet composition showed that A. kagoshimae are specialized feeders characterized by strong individual feeding specialization.

고문헌을 바탕으로 한 건시죽(乾粥)의 개발과 표준화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Dried Persimmons Gruel on Books)

  • 조미숙;이은영;김잔디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5-120
    • /
    • 2008
  • The dried persimmon was effective in caring an inflammation, an ulcer and a burn and preventing hypertension and arteriosclerosis. At the Jejungsinpyun. dried persimmons gruel was beneficial to stomach and intestine and toned down voice. Based on Jejungsinpyuns and Sikryochanyo, dried persimmons gruel was developed for modern people. To standardize the dried persimmons gruel, physical properties and consumer acceptability was examined. The procedures of dried persimmons gruel was to make dried persimmons juice after soaking dried persimmons with same volume water during 24 hr and blending. To decrease the astringent taste of dried persimmons, dried persimmons juice and water with cinnamon (2%) was mixed and simmered during 3 min. Dried persimmons paste with cinnamon was added and the gruel was boiled more during 5 min. dried persimmons gruel was completed. The dried persimmons gruel were divided of 5 groups consisted of each 10, 15, 20, 25, 30 g dried persimmons. As dried persimmons content increased, lightness, apparent viscosity decreased. Acceptability test indicated the sample of dried persimmons : rice ratio at 2 : 5 had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and flavor. Considered to each, the sample of the dried persimmons : rice ratio at 2 : 5 met the purpose of the study.

마우스위장관(胃腸管) 점막(粘膜)의 점액분비세포(粘液分泌細胞)에 대(對)한 조직화학적(組織化學的) 및 전자현미경적(電子顯微鏡的) 연구(硏究) (Histochemical and Ultrastructural Investigation of the Mucus Containing Cell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 the Mice)

  • 김두규;김우갑
    • Applied Microscopy
    • /
    • 제6권1호
    • /
    • pp.9-20
    • /
    • 1976
  • 성숙한 정상마우스 ( 체중 약 20gr)의 위장관 점막 내에 출현하는 점액함유 세포의 점액질의 화학적 조성을 구명하고자 PAS, AB pH 2.5-PAS, AB pH 1.0-PAS 염색법을 이용하여 중성점액질, 황화점액질 및 산성점액질의 염색반응의 유무 내지 강약으로서 비교 검토하였고, 또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이들 세포의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위체부 표면상피에 출현하는 점액함유 세포는 주성분이 중성점액질이고, 약간의 약산성 점액질도 존재하였다. 위소와에 있는 점액세포와 점액경세포는 중성점액질을 함유하고 있었다. 소장의 점막상피에 출현하는 배상세포에서는 약산성, 강산성, 황화점액질이 주성분이었고, 약간의 중성점액질을 함유하고 있었다. 한편, 장선의 장상세포는 비황화 약산성 점액질을 갖고 있다. 대장의 점막상피에 출현하는 배상세포는 표면상피에서는 소장과 대동소이 하였으나 은와부에서는 중성 및 약산성점액질이 주성분이었다. 위체부 표면상피에 있는 점액세포의 과랍은 전자밀도가 높은 것이 대부분이었고, 전자밀도가 낮은 것이 소수 출현하였다. 점액경세포의 점액과립은 전자밀도가 낮았으나, 그 속에 dense core 가 있는 것이 출현하였다. 대 소장 점막상피에 출현하는 배상세포는 모두 전자밀도가 낮은 과립이 존재하였다. 위장관의 점액세포들은 모두 부분분필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 PDF

금강에 서식하는 참몰개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Cyprinidae)의 생태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Cyprinidae) in Geum River, Korea)

  • 변화근;윤민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88-895
    • /
    • 2016
  • 참몰개(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의 개체군 생태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2013년 3월부터 11월까지 금강에서 조사하였다. 본 종은 하천 중류에 분포하며 하상구조는 주로 큰 돌과 모래로 이루어져 있었다. 서식지 수심은 30~60 cm이었고 유속은 2.27~4.88 cm/sec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암수의 성비는 1 : 0.86 이었고 산란시기는 6~7월로 수온은 $20{\sim}26^{\circ}C$이었다. 만 2년생 이상부터 성적 성숙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전장이 40~69mm의 집단은 만 1년생, 71~89mm의 집단은 만 2년생, 90mm 이상은 만 3년생으로 추정되었다. 포란수는 평균 2,219개 이었고 성숙란의 직경은 0.64~0.98(평균 $0.85{\pm}0.042$)mm 이었다. 전장과 체중 관계식은 $BW=0.0002TL^{2.81}$로 상수 a는 0.0002을, 매개변수 b는 2.81이었고, 건강도는 평균 1.06 이었다. 먹이생물은 남조류(Cyanophyta), 녹조류(Chlorophyta), 규조류(Bacillariophyta), 갑각류(Crustaceae), 요각류(Copepoda), 선충류(Nematota), 구두동물(Actithocephala), 수서곤충(Aquatic insect)에 속하는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노린재목(Hemiptera), 파리목(Diptera), 날도래목(Trichoptera), 태형동물(Brtozoa) 피후강(Phylactolaemata)에 속하는 큰빛이끼벌레(Pectinatella) 등 이었다. 식성은 잡식성이었으며 식물성은 부착성이며 사상체를 형성하는 조류(Algae)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동물성은 깔다구(Chironomidae) 유충을 주로 섭식하였다.

번행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lvent Extracts from Tetragonia tetragonioides)

  • 이민아;최혜정;강점순;최영환;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20-22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예로부터 위장병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뛰어난 작물로 알려진 번행초(Tetragonia tetragonioides)의 각종 용매 추출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를 명확히 하기 위해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비타민 E함량,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 Superoxide 음이온 소거활성, 과산화물생성 억제 활성, 환원능력 그리고 금속 킬레이트 효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총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DCM 분획, EA 분획에서 높게 나타났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HX 분획, EA 분획 순으로 나타났다. 비타민 E의 함량은 HX 분획, DCM 분획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활성 효과는 DCM과 EA 추출 분획에서 $IC_{50}$ 값이 각각 $554.25{\mu}g/ml,\;394.96{\mu}g/ml$으로 산화방지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BHT의 $784.7{\mu}g/ml$보다 우수하게 측정되었다. 과산화물 생성 억제 활성에서 번행초 분획은 지질단백질을 산화로부터 보호한다고 알려진 ${\alpha}$-tocopherol과 유사한 능력을 보였으나, 페놀계 합성 항산화제인 BHT, BHA에 비해서는 억제능이 다소 낮음이 확인되었다. 환원능력을 통한 항산화 활성 측정에서는 1.5 mg/ml농도에서 EA 분획의 활성이 ${\alpha}$-tocopherol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좋은 항산화 소재임이 확인되었다.

식이섭취 빈도수가 흰쥐의 성장 및 각 기관의 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eeding Frequency on the Growth and Composition of Individual Organs in Rats)

  • 정은희;이연숙;전승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8권1호
    • /
    • pp.14-22
    • /
    • 1985
  • 동물의 성장정도에 따라 식이섭취양식이 성장및 각 기관의 DNA와 RNA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경토하기 위하여 , 성장기와 성장완료기의 흰쥐에게 ad-lib. feeding과 1일 3회 급여 그리고 1일 1회 급여등 3가지 섭취 양식으로 정제 식이를 급여하여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다음과 같다. 1 ) 모든 실험동물에서 3희 식이군은 ad-lib. 군과 비슷한 증체량을 나타냈으나, 1회 식이군은 다른 군보다 낮은 증체량을 나타냈으며, 식이섭취량도 더 적었다. 2) 성장기 쥐의 경우. 1회 식이군은 ad-lib.군에 비해 간, 신장, 비장 등 내장기관의 DNA, RNA, 단백질 함량이 강소되었으나, DNAmg당 각 조성은 다른군과 차이가 없었다. 한편, 성인쥐의 경우는 1회 식이군에서, 간의 크기가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DNAmg당 각 조성은 증가하였으나, 간의 DNA함량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신장과 비장은 식이섭취양식에 의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성장기 쥐와 성인쥐의 위와 소장은 meal-feeding에 의해 크기가 증대된 경향을 나타냈으며, 혈청콜레스테롤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본 결과는 식이섭취양식이 성장기 동물에서는 내장기관의 세포수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성장완료기 동물에서는 내장기관중 특히 간의 세포크기에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 PDF

가막만 해역에 방류된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치어의 초기 먹이섭취 패턴과 어체성분 변화 (Initial Feeding Habits and Changes in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Released into the Gamak Bay)

  • 지승철;이시우;유진형;김양수;정관식;명정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0-95
    • /
    • 2007
  • 전라남도 여수시 가막만에 방류한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li 치어의 초기 먹이섭취 및 먹이조성 그리고 체성분 변화에 대해 1개월간 추적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류 감성돔은 방류 후 1일째부터 먹이섭취가 이루어졌으며, 포식율은 조사기간 동안 80% 이상을 보였다. 먹이조성은 방류 후 15일째까지 낚시미끼와 가두리에서의 사료 유출물 등 인공먹이를 주로 섭취하였으나, 그 후 20일 이후부터 자연먹이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방류 후 5일 그리고 10일째의 A 정점(SA) 방류 감성돔의 전어체 조지방 함량이 방류전, B 정점(SB) 그리고 양식어(CUL)보다 낮은 값을 보였으며, 방류 30일째의 전어체의 n-3 HUFA 조성 및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방류어에서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가막만에 방류된 감성돔은 빠른 먹이섭취가 이루어졌으며, 초기 먹이섭취 및 먹이조성은 어체성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린천에 서식하는 새코미꾸리 Koreocobitis rotundicaudata (Cobitidae)의 생태 (Ecology of Koreocobitis rotundicaudata (Cobitidae) in the Naerin Stream, Korea)

  • 변화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99-305
    • /
    • 2007
  • 새코미꾸리(Koreocobitis rotundicaudata)의 생태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2006년 4월부터 2007년 3월까지 강원도 홍천군 내린천 중 상류에서 조사하였다. 서식지의 하상 구조는 주로 큰돌과 작은 돌로 구성되었으므로 유속은 0.3~0.8 m/sec이었고 수심은 30~80 cm이었다. 성비는 1 : 0.78로 암컷이 수컷보다 많았다. 산란시기는 5~6월로 추정되었고 이때의 수온은 $20.1{\sim}23.1^{\circ}C$이었으며 성적 성숙은 만 2년 이상 개체에서 나타났다. 체장이 40~69 mm의 집단은 만 1년생, 70~109 mm의 집단은 만 2년생, 110~142 mm은 만 3년생으로 추정되었다. 포란수는 평균 1,365개 이었다. 먹이생물은 주로 수서곤충에 속하는 하루살이목(Ephemeroptera)과 깔다구 유충(Chironomidae)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