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cked fish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8초

뱀장어 아기미 울혈증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f the congestion on the gills of eel)

  • 김영길;최민순;박성우;이근광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61-171
    • /
    • 1994
  • 뱀장어의 울혈증 발병 원인구명을 위하여 서해안 지역 5 개 양만장을 대상으로 아가미 울혈증 발병현황과 수질등 역학조사를 실시하였고, 한편으로는 스트레스(handling 과 수온차) 및 병어에서 분리한 아가미 마쇄액을 건강어의 복강에 주사하여 울혈증 발병률과 CHSE-214 에 접종하여 세포변성을 조사하였다. 조사한 양만장의 아가미 울혈증 발병률은 30-80%로서 사육시의 수온과 선별시의 수온차가 클수록 발병률이 높았으며, 수질환경과 본증의 발병과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또한 발병률이 높은 양만장의 뱀장어는 Ht, Hb, Tp, Alb, Mg 및 Glu 치등이 낮은 반면 GOT, GPT, Ca 및 Met-Hb 치등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나, 반드시 아가미 울혈증에 비례하여 증감되지는 않았다. 스트레스(handling 과 수온차)를 가함에 따라 아가미 울혈증이 실험적으로 유발되어졌으며, 발병률은 50-70% 이었다. 이러한 스트레스 조건하의 어류의 혈액학적인 성상은 울혈증 발병빈도에 비례하여 Ht, GOT, GPT, Met-Hb, Alb 및 Glu 치등은 증가되었으나, Tp, Hb 및 Mg 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온도차가 클수록 cortisol 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병어의 아가미 마쇄액을 복강주사 및 CHSE-214 에 접종하였던 바 각각 울혈증의 발병 및 세포변성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선별시 handling 과 수온의 급변이 혈중 cortisol을 상승시켜 혈액의 전해질 변화를 초래케하므로써 혈액의 흐름을 완만하게 되고 동정맥계로의 혈액유입량이 증가하게 되어 중심정맥동이 확장되므로써 울혈이 형성되는 것임을 시사한다.

  • PDF

순환여과양식 시스템 내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i) 치어에 미치는 질산성 질소의 만성적 영향 (Chronic Effects of Nitrate Nitrogen on Juvenile Blackhead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i in a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 서석;최태건;박정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474-481
    • /
    • 2019
  • This study evaluated the chronic effects of $NO_3-N$ on juvenile blackhead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i. The experiment used six identically configured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s (435 L), with three tanks (70 L) each. The $NO_3-N$ concentrations studied were 0 (control), 62.5, 125, 250, 500, and 1,000 mg/L $NO_3-N/L$. Thirty juvenile blackhead seabream ($18.8{\pm}2.2g$) were stocked in each tank. Growth and hematological changes were evaluated after 120 day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growth, survival, and cortisol levels indicated that blackhead seabream were healthy in 500 mg $NO_3-N/L$. However, insulin-like growth factor I (IGF-1) and the IGF-1 receptor were significantly lower at 250, 500, and 1,000 mg $NO_3-N/L$ than in controls (62.5 and 125 mg $NO_3-N/L$). Juveniles were likely affected at a much lower $NO_3-N$ concentration than 250 mg/L $NO_3-N/L$ in terms of IGF-1 and the IGF-1 receptor. Therefore, for the sake of long-term fish welfare, the $NO_3-N$ should be maintained at lower than 250 mg/L for blackhead seabream in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s.

국내 양식 뱀장어(Anguilla japonica, Anguilla bicolor and Anguilla marmorata)의 JEECV (Japanese Eel Endothelial Cell-infecting Virus)와 AnHV (Anguillid Herpesvirus 1) 감염 현황 및 특성 연구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JEECV (Japanese Eel Endothelial Cell-infecting Virus) and AnHV (Anguillid Herpesvirus 1) Infections in Domestic Farmed Eels Anguilla japonica, Anguilla bicolor and Anguilla marmorata)

  • 장문희;이남실;조미영;송준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668-675
    • /
    • 2021
  • The infection status of domestic farmed eels Anguilla japonica, Anguilla bicolor and Anguilla marmorata with Japanese eel endothelial cell-infecting virus (JEECV) and anguillid herpesvirus 1 (AnHV) was examined at the major eel farming areas in Korea. These viruses were detected in all areas examined, regardless of the eel species or age. Any farm with a history of viral infection in adult fish confirmed the infection to be transmitted to stocked fry within 3 to 5 months. It is proposed that both viruses are horizontally transmitted within a given farm. The primary symptoms and histopathological lesions produced by the two viral infections are similar, making it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two diseases through clinical symptoms. Both viruses displayed 100% detection in the gills, suggesting that the gills are an optimal tissue for JEECV and AnHV monitoring. This study concluded that JEECV and AnHV were prevalent on eel farms across the country and caused very high mortality when the two viruses co-infected fry. Additional studies, including experimental infections, are needed to clearly understand the pathogenicity of each virus and the risk of co-infection.

무여과순환수 탱크 이용 Tilapia의 고밀도 사육실험 (High Density Tilapia Culture in a Recirculating Water System without Filter Bed)

  • 김인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59-67
    • /
    • 1983
  • 1982년 5월 18일부터 10월21일까지 부산수산대학 양어장에서 Tilapia를 여과조가 없는 순환사육시설에 고밀도로 수용하고 그 성장도, 사료효율, 수질 등 이에 관련되는 문제점 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또 이 실험결과에 입각하여 사업적 생산타당성을 아울러 제시하였다. 수질에 있어서는 수온 $22.8{\sim}29.1^{\circ}C$의 범위였고, 암모니아는 일반적으로 10ppm을 약간 넘는 수준이었다. 사육탱크내에서 녹색 plankton을 유지할려고 수차에 걸쳐서 녹색수를 주수하였으나 그때 마다 $2{\sim}3$일 내로 투명해졌다. 이것은 아마 Tilapia의 plankton포식에 의한 것 같고, Tilapia의 고밀도 수용하에서는 녹색수유지는 곤란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사료효율은 처음의 쇠약기를 제외하고는 F.C. $0.9{\sim}l.2$의 범위였고, 평균은 1.1이었다. 이 때 사용한 사료는 일부는 단백질함량 $25\%$의 연구실제조 사료였고 대부분은 동 $39\%$의 시중상품잉어사료였다. 성장중 자체 번식은 완전히 억제되었다. 이것은 밀도효과라고 인정되었으며, 사육중 밀도는 최하 $1m^2$당 10kg 최고 40.7 kg 범위였다. 공간이용효과는 대단히 높았다. 1일순생산이 가장 높았던 제3실험구의 경우는 1일평균 6.206kg 였으므로 연간 1ha당 3235톤의 순생산에 해당된다. 이 때의 평균수온은 $28.4^{\circ}C$였고 암모니아농도는 10ppm정도였다. 총 6개의 실험구중 실험초 $1m^2$당 15kg이상 실어서 사육한 것을 대상으로 사업적 경제성검토를 하였다. 이번 실험에 사용한 시설전부(8탱크 총면적 $56m^2$)를 이용했다고 가정하면 200일 사육에 평균 5,639kg 생산된다고 계산되어 경영적 측면에서도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결론지어졌다.

  • PDF

광물미립자와 포말분리장치를 이용한 사육수 재사용시스템에서의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사육실험 (Rearing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a Water Reuse System with Mineral Particles and foam Fractionator)

  • 민병서;강필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23-230
    • /
    • 2000
  • 사육수에 광물미립자를 현탁시켜 노폐물을 흡착, 분해시킨 후 이를 분리, 배출시킴으로서 사육수를 정화시켜 재 사용할 수 있다는 가설 하에 사육수조와 포말분리장치로만 구성된 사육수 재사용 시스템에서 광물미립자를 현탁시켜 넙치를 실험사육 하였다. 두 종류의 가공황토 (processed residual reddish soil, 50 $\mu$ 이하)와 돌로마이트 (dolomite, 50 ${\mu}$이하) 미립자를 사육수에 현탁시키고 포말분리장치로 이를 분리, 배출시킴으로서 사육수를 정화하였다. 직경 4.8 m의 원형사육수조(사육수량 10 $m^2$), 사육수 순환을 시간당 2회전, 재사용을 90%, 수온 17${\pm}$1$^{\circ}C$에서 평균체중 23.1 g의 넙치 치어(5,555마리, 총중량 128 kg)를 75일간 사육하여 평균체중84.6 g (5,532마리, 총중량 468 kg)으로 육성하였다. 최종수용밀도는 26.0 kg/$m^2$였다. 실험기간 동안 어병은 관찰되지 않았다. 사육수에 광물입자를 현탁시켜 사육수 중의 노폐물을 흡착, 분해시킨 후 포말분리장치로 이를 배출시킴으로서 사육수를 정화하여 재사용하는 방법은 새로운 사육수 재사용 어류양식시스템으로서 가능성이 있다.

  • PDF

Physical and Chemical Management Practices for Improving Water Quality in Channel Catfish Ictalurus punctatus Aquaculture

  • Seo, Jin-Won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9-60
    • /
    • 2002
  • Research on practices for improving water quality in channel catfish Ictalurus punctatus ponds was conducted at the Auburn University Fisheries Research Station, Auburn, Alabama, in 1998 and 1999. The objective of this two-year study was to determine better management practices to enhance water quality and improve production efficiency. In the first year, oxidation of bottom soil by drying, tilling, and applying sodium nitrate was performed (dry-till and dry-till with sodium nitrate treatments). The second year,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during the first year, precipitation of phosphorus (P) from water by applying gypsum was compared to the dry-till treatment (dry-till and dry-till with gypsum treatments). Control ponds were not subjected to bottom drying, tilling, sodium nitrate, or gypsum treatment. Channel catfish fingerings were stocked at 15,000/ha. In the first year, water in ponds from dry-till and dry-till with sodium nitrate treatments had lower concentrations (P < 0.01) of soluble reactive P, nitrate ($NO_{3} ^{-}) and nitrite ($NO_{2} ^{-}) nitrogen (N), total ammonia ($NH_3$) nitrogen, total suspended solids and turbidity, and higher values of pH, Secchi disk visibility, total alkalinity, total hardness, and calcium ($Ca^{2+}) hardness than water in control ponds. Ponds of the dry-till treatment also had lower concentrations (P < 0.01) of total P and total N than control ponds. Total fish production and survival rate did not differ among the treatments (P > 0.05). The findings suggested that drying and tiling pond bosoms between crops could achieve water quality improvement. Applying sodium nitrate to dry, tilled pond bosoms did not provide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the second year, the treatment with the best results from the first year, dry-till, was compared with a dry-till with gypsum treatment. Enough gypsum was applied to give a total hardness of about 200 mg/L, and gypsum was reapplied as needed to maintain the hardness. Compared to the control, dry-till and dry-till with gypsum treatments had lower concentrations (P < 0.01) of total and soluble reactive P, total N, and total $NH_3$-N, and higher concentrations (P < 0.01) of dissolved oxygen. Ponds of the duty-till with gypsum treatment also had lower concentrations (P < 0.01) of chlorophyll $\alpha$, chemical oxygen demand, and total alkalinity than the control. Total fish production and survival rate did not differ (P > 0.05) among the treatm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rying and tilling pond bosoms between crops and treating low hardness waters with gypsum could achieve water Quality improvement.

순환여과식 양식 시스템에서 나일 틸라피아(Oreochromis niloticus)의 사육 (Culture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in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 서근학;김병진;조재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7-34
    • /
    • 2002
  • Package 형태로 설계하고 제작된 pilot scale 순환 여과식 양식 시스템의 실제 어류 사육 성능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틸라피아를 설계 기준인 $5\%$ (A, B)의 사육 밀도에서 30일간 사육하였고 $7\%$ (C)의 과잉 사육밀도에서 33일간 사육하여 어류 성장과 사육조의 각종 수질을 측정하고 시스템의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초기 사육 밀도 $5\%$인 실험 A와 B, $7\%$의 사육밀도인 실험 C에서 각각 1.62, 1.79, 1.80의 사료계수와 $0.452\%$, $0.445\%$, $0.423\%$의 일간 성장률을 보였다. 총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는 설계 기준 사육밀도인 $5\%$로 수용한 실험 A와 B의 경우, $1g/m^3$ 이하로 유지하여 어류 사육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7\%$로 수용한 실험 C에서는 $2{\~}4g/m^{3}$의 농도를 나타내어 최대 $40\%$ 정도는 초과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칼리도의 부족은 질산화 반응을 저해하여 높은 암모니아 및 아질산성 질소의 농도를 유발하였으며 질산화 반응기의 숙성이 완전하지 않을 경우 아질산의 농도가 암모니아 농도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질산화 반응기의 완전한 숙성은 70일 정도 소요되었다. 시스템 내부에서 자연적인 탈질반응이 일부 발생하였고 이와 더불어 보충수의 공급에 따른 희석효과로 설계 사육 밀도보다 높은 $7\%$의 사육 밀도에서도 $60g/m^3$ 이하의 질산성 질소 농도를 유지할 수 있어 별도의 탈질 장치는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처리 장치를 통과하지 않고 사육조 수면으로 공급되는 우회량이 많을 경우 용존산소는 증가하였으나 수처리 장치로 공급되는 유량이 작아 부유 고형물, 유기물 등의 수질 인자가 악화되는 현상을 보였다.

어린 숭어 (Mugil cephalus)의 염분별 삼투조절 능력 (Osmoregulation Capability of Juvenile Grey Mullets (Mugil cephalus) with the Different Salinities)

  • 이영춘;장영진;이복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6-224
    • /
    • 1997
  • 숭어, Mugil cephalus의 염분별 삼투조절 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장 $13.6{\pm}0.2cm$, 체중 $20.0{\pm}0.5g$ 크기의 재료를 해수 (SW)에 담수를 첨가하여 만든 $0\%SW\~100\%SW$에 수용한 다음, 60일간 사육하면서 염분별 혈액의 이온 농도와 삼투질 농도 변화를 조사하고, 아가미와 염세포의 조직학적 변화 및 근육의 수분함량을 비교하였다. $0\%SW\~25\%SW$에서 숭어 혈장의 $Na^+$$K^+$ 농도는 실험개시후 8일째부터 안정되었다. $0\%SW$에서의 혈장 $Cl^-$ 농도는 실험개시후 0.5일째 가장 낮았으며 2일 이후부터 안정되었다. 실험종료시에 있어서 숭어 혈장의 삼투질 농도는 저염분 일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100\%SW$부터 $0\%SW$까지 각각 340, 334, 322 및 316 mOsm/kg 수준으로 안정됨으로써, 저염분에서는 저삼투 조절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hematocrit도 염분이 낮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0\%SW\~50\%SW$에 10일째 노출된 숭어의 아가미에서는 2차새변이 손상되었으며, 특히 $0\%SW$에서는 2차새변의 박리, 유착 및 괴사 등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손상된 아가미는 이후부터 회복되기 시작하여 사육 15일째에 정상적인 조직상을 나타냈다. 염분에 따른 각 염분구별 어체 근육의 수분함량에는 차이가 없었다.

  • PDF

순환여과식사육장치에서 틸라피아의 성장을 위한 최적용존산소량 (Optimum Dissolved Oxygen Level for the Growth of Tilapia in the Recirculating Water System)

  • 김인배;우영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7-73
    • /
    • 1988
  • 부산수산대학 어류양식실험실 순환여과장치에서 1986년 2월 4일부터 3월 5일까지 용존산소양에 대한 틸라피아의 성장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 수행되었다. 6개의 순환여과장치를 이용하여 동일조건에서 DO농도 1.5, 2.0, 2.5, 3.0, 3.5 및 4.0mg/$\iota$로 조절하여 실험했고, 실험어는 평균 65g 정도로 각 탱크에 90kg씩 방양 사육하였다. 방양 후의 사육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전기간동안 용존산소농도 3.5, 3.0, 2.5, 2.0 mg/$\iota$ 군은 사료계수 1.05$\~$1.11 사이에서 거의 비슷한 좋은 성장결과를 나타낸 반면, 4.0, 1.5mg/$\iota$ 군에서는 1.39, 1.61로 저조했다. 그리고, 사료섭취양은 용존산소양의 증가에 따라 꾸준히 증가했으나, 성장률은 용존산소 1.5mg/$\iota$, 2.0mg/$\iota$을 제외하면 거의 비슷했다. 따라서, 용존산소양을 3$\~$3.5mg/$\iota$까지 올려도 성장률에 큰 증가가 없었다. 실험 기간동안 용존산소 1.5mg/$\iota$ 군에서는 사료섭취가 활발하지 않았으며 사료를 먹고난 후 대부분이 주수구에 몰려 심한 산소결핍현상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평균수온 $22.5^{\circ}C$ 정도의 순환여과장치에서, 용존산소농도 2.5, 3.0 mg/$\iota$ 및 3.5 mg/$\iota$ 농도군에서 거의 같은 좋은 성장률과 사료효과을 나타냈으므로 용존산소농도를 2.5mg/$\iota$와 3.5mg/$\iota$ 사이에 유지시키면 에너지 효과면에서 경제적이 된다고 사료된다.

  • PDF

잉어 3품종의 성장비교 (COMPARISON OF THE GROWTH RATES OF THREE STRAINS OF COMMON CARP, CYPRINUS CARPIO)

  • 김인배;조재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22-224
    • /
    • 1975
  • 3종의 잉어 품종계통, 즉 이스라엘잉어, 홍백계 및 황금계의 치어성장에 관하여 비교한 바는 다음과 같은 결과였다. 1975년 $8\~11$월에 걸쳐 수면적 $316m^2$, 평균수심 55 cm, 바닥에는 부식질 진흙이 $20\~30cm 정도 깔린 못에서 상기 3품종의 치어를 혼합해서 약 $0.5g(2\~3cm)$의 치어로부터 길렀다. 공급란 사료는 어분과 정맥을 반반씩하고, 생초를 상기량의 $10\%$, 식염을 $1\%$첨가하였다. 조단백질함량은 건조상태로써 $34.9\%$였다. 총생산량은 20.588 kg(방양치어중량은 무시), 사료 공급량은 건조상태로 30.08kg였으므로 사료계수는 1.51이였다. 품종별개체중량은 이스라엘잉어는 $98\~311g$, 평균 172.6g, 홍백계는 $15\~268g$, 평균 104.1g였으며, 황금계는 $30~268g$, 평균 128.7g으로 성장했다. 이것을 백분율로 비교해 보면 이스라엘잉어를 $100\%$로 할때, 홍백계는 $60.3\%$, 황금계는 $74.6\%$의 성장을 한 것으로 된다, 그간의 수온은 평균 $20.7^{\circ}C$였으며, 평균수온이 $15^{\circ}C$ 이상인 10월 하순까지의 80일간을 주성장기간으로 보고 검토하였다. 주성장기간중의 평균 1일성장도(1일후의 체중)는 이스라엘잉어 1.075786배, 홍백계 1.06901배, 황금계는 1.07185배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