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ck Portfolio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6초

주식수익률, 위험, 장부가치 / 시장가치 비율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 among Stock Return, Risk, and Book-to-Market Ratio)

  • 감형규;신용재
    • 산업융합연구
    • /
    • 제2권2호
    • /
    • pp.127-147
    • /
    • 2004
  • This paper examines the time-series relations among expected return, risk, and book-to-market(B/M) at the portfolio level. The time-series analysis is a natural alternative to cross-sectional regressions. An alternative feature of the time-series regressions is that they focus on changes in expected returns, not on average returns. Using the time-series analysis, we can directly test whether the three-factor model explains time-varying expected returns better than the characteristic-based model. These results should help distinguish between the risk and mispricing stories. We find that B/M is strongly associated with changes in risk, as measured by the Fama and French(1993) three-factor model. After controlling for changes in risk, B/M contains littl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expected returns. The evidence suggests that the three-factor model explains time-varying expected returns better than the characteristic-based model.

  • PDF

Predicting the FTSE China A50 Index Movements Using Sample Entropy

  • AKEEL, Hatem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3호
    • /
    • pp.1-10
    • /
    • 2022
  • This research proposes a novel trading method based on sample entropy for the FTSE China A50 Index. The approach is used to determine the points at which the index should be bought and sold for various holding durations. The findings are then compared to three other trading strategies: buying and holding the index for the entire time period, using the Relative Strength Index (RSI), and using the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MACD) as buying/selling signaling tools. The unique entropy trading method, which used 90-day holding periods and was called StEn(90), produced the highest cumulative return: 25.66 percent. Regular buy and hold, RSI, and MACD were all outperformed by this strategy. In fact, when applied to the same time periods, RSI and MACD had negative returns for the FTSE China A50 Index. Regular purchase and hold yielded a 6% positive return, whereas RSI yielded a 28.56 percent negative return and MACD yielded a 33.33 percent negative return.

Is The Idiosyncratic Volatility Puzzle Driven By A Missing Factor?

  • Hanjun Kim;Bumjean Sohn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5권1호
    • /
    • pp.1-14
    • /
    • 2024
  • Purpose - We investigate whether a potential missing pricing factor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idiosyncratic volatility puzzle. Design/methodology/approach - We theoretically show how a missing pricing factor can affect the idiosyncratic volatility puzzle, and also show how to get around the problem empirically. We adopt the Fama-French five factor model for the estimation of the idiosyncratic risk and use randomly constructed portfolios as test assets. Findings - We find that a missing factor does not drive the idiosyncratic volatility puzzle. Thus, we conclude that the idiosyncratic volatility does affect the risk premium of its stock.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e Fama-French five factor model does a pretty good job in explaining the risk premiums of stocks, and it can be used to reliably estimate idiosyncratic risk of stocks.

Performance Analysis of Trading Strategy using Gradient Boosting Machine Learning and Genetic Algorithm

  • Jang, Phil-Si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1호
    • /
    • pp.147-15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그래디언트 부스팅 기계학습과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일별 주식 포트폴리오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트레이딩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종목들의 가격 데이터 및 투자자별 거래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처리 과정과 변수가공을 통해 학습-예측에 이용될 변수들을 생성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예측정확도와 정밀도, 재현율 및 F1 점수 등 네 가지 지표를 활용하여 그래디언트 부스팅 기법들(XGBoost, LightGBM, CatBoost)의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전 단계에서 선택된 LightGBM과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장 종목들의 일별 수익 여부를 학습-예측하였다. 그리고 예측된 수익 발생확률을 바탕으로 종목을 선별하여 트레이딩 시뮬레이션을 시행하고, CAGR, MDD, 사프지수 및 변동성 측면에서 코스피, 코스닥 지수와의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제안된 전략들 모두 네 가지 성능평가 지표상에서 시장 평균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래디언트 부스팅과 유전 알고리즘의 결합이 주식 가격 예측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Value at Risk의 사후검증을 통한 다변량 시계열자료의 차원축소 방법의 비교: 사례분석 (Comparison of Dimension Reduction Methods for Time Series Factor Analysis: A Case Study)

  • 이대수;송성주
    • 응용통계연구
    • /
    • 제24권4호
    • /
    • pp.597-607
    • /
    • 2011
  • 금융자산에의 투자에서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리스크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서 Value at Risk (VaR)가 널리 각광을 받고 있다. Value at Risk는 주어진 신뢰수준에서 목표기간 동안 발생 가능한 최대손실로 정의되는데 몇 가지 한계점이 있지만 비교적 간단하게 계산되고 이해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리스크 측정 및 관리의 기본적인 측도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포트폴리오에 포함되는 자산의 숫자가 많아지는 경우 VaR을 계산하는 데에 필수적인 변동성 추정이 매우 어려워지게 된다. 이때 차원축소의 방법을 생각할 수 있는데, 전통적인 인자분석은 시계열자료에 적합한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직접 적용할 수 없고 자료의 자기상관성을 제거하는 방법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자분석의 확장 형태인 시계열인자분석을 활용하여 시계열자료의 차원축소과정을 간결하게 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시계열인자분석으로 차원을 축소할 때 기존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실제 금융자료를 이용한 VaR의 사후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The Time-Varying Coefficient Fama - French Five Factor Model: A Case Study in the Return of Japan Portfolios

  • LIAMMUKDA, Asama;KHAMKONG, Manad;SAENCHAN, Lampang;HONGSAKULVASU, Napo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0호
    • /
    • pp.513-521
    • /
    • 2020
  •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a Fama - French five factor model (FF5 model) from Fama & French (2015) by using concept of time-varying coefficient. For a data set, we have used monthly data form Kenneth R. French home page, it include Japan portfolios (classified by using size and book-to-market) and 5 factors from July 1990 to April 2020. The first analysis, we used Augmented Dickey-Fuller test (ADF test) for the stationary test, from the result, all Japan portfolios and 5 factors are stationary. Next analysis, we estimated a coefficient of Fama - French five factor model by using a generalized additive model with a thin-plate spline to create the time-varying coefficient Fama - French five factor model (TV-FF5 model). The benefit of this study is TV-FF5 model which can capture a different effect at different times of 5 factors but the traditional FF5 model can't do it. From the result, we can show a time-varying coefficient in all factors and in all portfolios, for time-varying coefficients of Rm-Rf, SMB, and HML are significant for all Japan portfolios, time-varying coefficients of RMW are positively significant for SM, and SH portfolio and time-varying coefficients of CMA are significant for SM, SH, and BM portfolio.

과잉 재고자산투자의 시장반응에 대한 실증연구 (Do Stock Prices Reflect the Implications of Unexpected Inventories for Future Earnings?)

  • 김창범;박상봉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2권1호
    • /
    • pp.63-85
    • /
    • 2013
  • 본 논문은 변화하는 기업환경 하에서 중요성을 더해가는 재고자산 중에서 비정상적인 과잉 재고자산투자를 추출하고, 이러한 비정상적인 과잉 재고자산투자와 미래성과간의 관계를 이용하여 시장에서의 주가반응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먼저 과잉 재고자산투자와 미래성과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후 과잉 재고자산투자에 대한 시장반응을 분석하였다. 또한 추가검증으로 제로-투자 포트폴리오전략을 이용하여 초과수익률의 획득여부를 검증하였다. 실증결과, 과잉 재고자산투자와 미래 주식수익률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 변수들을 통제한 후에도 과잉 재고자산투자와 미래 주식수익률간의 음(-)의 관계는 유지되었다. 또한, 시장에서 투자자들은 이러한 과잉 재고자산투자를 과대평가하고 있었다. 아울러, 전술한 실증결과에 기초한 추가실증, 즉 제로-투자포트폴리오전략에 의해서도 유의적인 양(+)의 초과수익률의 획득이 가능함에 따라 전술한 실증결과를 뒷받침하고 있었다. 한편, 본 논문은 이러한 실증을 통하여, 과잉 재고자산 투자에 대하여 시장에서 투자자들이 과잉반응을 하고 있음을 실증하였다. 또한, 이러한 실증결과는 과잉 재고자산투자의 척도가 미래 주식수익률에 대한 예측지표로서 주식시장 등에서 활용이 가능함에 따라 회계정보로서의 유용성을 제고시키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해운선사 주가와 해상운임지수 사이의 위험 전이효과 (Risk Spillover between Shipping Company's Stock Price and Marine Freight Index)

  • 최기홍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15-129
    • /
    • 2023
  • 본 연구는 2010년 1월 4일부터 2022년 10월 31일까지의 일별 자료를 기반으로 Copula-CoVaR 방법을 통해 해운선사 주가에 미치는 BDI의 위험 전이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실증분석 결과와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pula 결과에 따르면, BDI와 해운선사 주가 사이는 약한 의존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AN, KOR, YEN은 동적 Student-t copula가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 선정되었으며, HMM은 rotated Gumbel copula, KSS는 Gumbel copula가 선정되었다. 둘째, CoVaR의 결과에서, 모든 해운선사에서 상·하방 CoVaR가 상·하방 VaR과 크게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BDI가 해운선사에 상당한 위험 전이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위험 전이효과는 일반적으로 하방 위험이 상방 위험보다 낮으므로, 하방과 상방 위험 전이효과는 비대칭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책입안자들은 BDI 충격으로 인한 체계적인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 위험 감독을 강화하고, 국내 여건에 맞는 차별화된 정책을 수립해야한다. 그리고 투자자들은 BDI 변동으로 인한 외부 위험을 투자 결정에 반영하고 위험을 피하기 위해 최적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 한다. 한편, 투자자들은 투자를 결정할 때 상·하방 위험의 비대칭적 특성을 고려하여 투자 포트폴리오를 조정해야 할 것을 제안한다.

시장조성위험(市場造成危險)과 주식가격(株式價格)의 형성(形成) (Market Created Risk and the Formation of Stock Price)

  • 장대홍
    • 재무관리연구
    • /
    • 제8권1호
    • /
    • pp.123-137
    • /
    • 1991
  • 국내외에서 주식가격의 과잉변동현상에 대한 실증적 연구결과가 보고되어 왔다. 이에 대한 이론적인 설명은 대체로 두가지 접근방법에 의해 시도되어 왔다. 그 하나는 거품현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자본시장의 미시적 구조를 규명함으로써 전통적인 왈라스 균형가격 형성과정을 수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Kraus 와 Smith[1989]는 시장상태에 대한 불완전정보와 이의, 해결과정이 균형주식가격의 과잉변동과 위험을 초래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그들의 논문에서 지적되고 있는 시장정보 즉, 위험중립적 및 위험회피적 투자자집단의 증권보유상태에 대한 불완전한 정보는 그 속성상 지속적으로 보기 어렵고, 베이지안 과정(Baeysian Process)에 의해 해소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시장의 거래행위자체가 시장상태에 대한 불완전정보를 영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형성된 주식가격이 과잉변동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논문에서 사용된 모형은 평균-분산 구조하의 복수거래 모형으로서, 위험증권의 수요 및 가격을 유도하고, 이를 구성하는 모수 즉 총괄적 효용특성이 거래행위에 따라 변동함을 보여준다. 이와같은 총괄적 모수에 대한 불완전정보는 거래행위를 반복함으로써도 해소될 수 없으며, 주식수익을 과잉변동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해 준다. 또한, 불완전시장정보와 완전시장정보하에서의 주식수익율에 대한 상대적 분산을 비교하여 구한 과잉변동계수를 비교해 보면, 과잉변동이 자기실현적(Self-justifying)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한국 건설주가의 동태적 국내외 연계성에 관한 실증분석 (Dynamic Linkages : Stock Markets, Construction Industries, and Construction Firms)

  • 유태우;장원기
    • 재무관리연구
    • /
    • 제20권1호
    • /
    • pp.125-162
    • /
    • 2003
  • 본 논문은 한국건설 주가의 동태적 특성 -장단기 국내외 연계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 한. 미. 일 증시 및 건설지수간의 상호 가격전이 메카니즘을 분석하여 국내 건설업 주가가 해외로부터 받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또한, 국내 주요 건설기업과 해외건설 지수와의 연계성을 살펴보고, 건설기업간의 주가변화의 상호작용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장기적 관계의 존재 및 미국과 현대건설의 리더십을 중심으로 한 일곱 가지 가설을 선정하였다. 장기적 균형가설 검정을 위해서는 Johansen and Juselius(1990)의 다변량 공적 분기법을 사용하고, 단기적 인과관계 추론을 위해서는 VAR 모형의 오차분산분해, 충격반응함수, 그랜저 인과관계검정을 일별 자료에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의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한. 미. 일 증시, 건설업지수, 국내 5대 건설사 간에는 각각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장기적 균형관계가설이 기각되었다. 둘째, 미국증시는 한. 일증시를 선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건설업지수를 선행하지 않아 미국의 시장리더십을 건설업에는 파악할 수 없었다. 셋째, 현대건설주가도 국내 타 건설주가를 선행하는 것으로 나타나 현대건설의 시장리더십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증적 분석 결과를 통해 한. 미. 일 증시, 건설업지수, 국내 건설주가는 단기적으로는 특정 국가 및 기업의 리더십이 발휘되지만 장기적으로는 상호 연관성 없이 독립적으로 움직인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