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chastic Discount Factor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CONSUMPTION AND INVESTMENT STRATEGIES WITH HYPERBOLIC DISCOUNTING AND LABOR INCOME

  • Lim, Byung Hwa
    • 충청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15-224
    • /
    • 2019
  • We investigate the optimal consumption and investment decision problem of an agent whose time preference is time-inconsistent. Specifically, for a time-separable utility function, the agent's subjective discount factor is supposed to be changed randomly in the future. We provide closed-form solutions in the presence of income process. The method can be extended into the case with a stochastic income process.

장기소비 위험을 이용한 통화포트폴리오 수익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ng-Run Consumption Risk in Foreign Currency Risk Premia)

  • 유원석;손삼호
    • 유통과학연구
    • /
    • 제11권10호
    • /
    • pp.55-62
    • /
    • 201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risk factor that significantly explains foreign currency risk premia. In recent years, some studies have foun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simultaneous consumption risk model improves considerably when tested on foreign currency portfolios, which are constructed based on the international interest rates differentials. However, this paper focuses on the long-run consumption risk factor. In our empirical research, we found that the real excess returns of high interest rate currency portfolios depreciate on average, when the future American long-run consumption growth rate appears low. This makes the high interest rate currency portfolios have relatively high risk premia. Meanwhile, the real excess returns of low interest rate currency portfolios appreciate on average, under the same conditions, which results in relatively low risk premia for these portfolios. Therefore, this long-run consumption risk factor might explain why low interest rate currencies do not appreciate as much as the interest rate differential, and why high interest rate currencies do not depreciate as much as the interest rate differential.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In our explanation, we provide new evidence on the success of long-run consumption risks in currency risk premia by focusing on the long-run consumption risks borne by American representative investors. To uncover the hidden link between exchange rates and long-run consumption growth, we set the eight currency portfolios as our basic assets, which have been built based on the foreign interest rates of eighty countries. As these eight currency portfolios are rebalanced every year, the first group always contains the lowest interest rate currencies, and the last group contains the highest interest rate currencies. Against these basic eight currency portfolios, we estimate the long-run consumption risk model. We use recursive utility framework and the stochastic discount factor that depends on the present value of expected future consumption growth rates. We find that our model is optimized in the two-year period of constructing the durable consumption expectation factor. Our main results surprisingly surpass the performance of the existing benchmark simultaneous consumption model in terms of R2, relatively risk aversion coefficient γ, and p-value of J-test. Results - The performance of our model is superior. R2, relatively risk aversion coefficient γ, and p-value of J-test of our long-run durable consumption model are 90%, 93%, and 65.5%, respectively, while those of EZ-DCAPM are 87%, 113%, and 62.8%, respectively. Thus, we can speculate that the risk premia in foreign currency markets have been determined by the long-run consumption risk. Conclusions - The aggregate long-run consumption growth risk explains a large part of the average change in the real excess returns of foreign currency portfolios. The real excess returns of high interest rate currency portfolios depreciate on average when American long-run consumption growth rate is low, and the real excess returns of low interest rate currency portfolios appreciate under the same conditions. Thus, the low interest rate currency portfolios allow investors to hedge against aggregate long-run consumption growth risk.

Use of Markov Chain Monte Carlo in Estimating the Economy Model

  • Lee, Seung Moon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권2호
    • /
    • pp.127-132
    • /
    • 2008
  • This project follows the heterogeneous agent market segmented model of Landon-Lane and Occhino (2007) with using Korean data, M1 and GDP deflator from 1882:I to 2007:II. This paper estimates parameters with Monte Carlo Markov Chain. The fraction of traders, ${\lambda}$, in Korea is 15.64%. The quarterly preferences discount factor's, ${\beta}$, posterior mean is 0.9922. The posterior mean of the inverse of the elasticity of the labor supply to the real wage, ${\varphi}$, is 0.0316. The elasticity of the labor supply to the real wage has a very large value. By Hansen (1985) and Christiano and Eichenbaum (1992) and Cooley and Hansen (1989), models having large elasticity of the aggregate labor supply better match macroeconomic data.

  • PDF

도심 통신기반시설용지의 개발을 위한 재무타당성 분석에 관한 연구 (Financial Feasibility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Urban Telecommunication Facility Purpose Site)

  • 박경용;정문오;이상엽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31-41
    • /
    • 2015
  • 통신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에 따라 국가기간시설로서 관리 운영되던 대규모 통신시설부지는 토지이용 효율성과 가치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대체방안의 모색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유휴 사회기반시설부지 활용을 위한 민간주도의 복합용도 개발수요에 부합하여 도심기반시설로 용도지정이 되어 있는 통신용지를 대상으로 기부채납 및 입체지정 방안에 따른 개발사례의 재무적 타당성 분석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재무적 타당성 분석을 위해 확률론적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순현가(NPV)와 내부수익률(IRR)을 도출하고 이를 사업방안별로 분석하였다. 사업수지 분석 결과, 기부채납과 입체지정 방안 모두 충분한 사업성을 지닌 순현가와 내부수익률을 도출되었으며 확률 역시 모두 50%를 넘는 것으로 예측되어 사업의 요구수익률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뮬레이션 결과, 임대료 상승률, 임대료, 공실률, 공사비, 할인율, 자본환원률 등의 변수 가운데 임대료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토네이도 분석결과에서도 가장 민감도가 높은 관리대상 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도심기반시설의 지정용도 폐지를 통한 개발사업 도입에 대한 효율적 토지이용과 유사 사회기반시설의 활용을 위한 사업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교통량 위험을 고려한 도로 민간투자사업 적정 관리운영기간 산정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Model for Optimal Concession Period in PPPs Considering Traffic Risk)

  • 구석모;이승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21-436
    • /
    • 2016
  • 민간투자사업은 많은 프로젝트 개발 비용이 투입되며, 관리운영기간 동안의 미래 수입을 통하여 투자비를 회수하는 구조로 추진된다. 일반적으로 긴 관리운영기간은 민간사업자의 더 많은 수입을 가져가게 하고 짧은 관리운영기간은 민간사업자의 수입회수 기간이 짧아져 더 적은 수입을 가져가게 된다. 관리운영기간의 설정은 민간투자사업의 중요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으로 정부가 사전에 결정하거나 민간이 제안한 기간으로 결정되고 있다. 특히 교통분야 사업에서 관리운영기간의 설정은 정확한 교통량 예측이 전제되어야 하나, 교통량 예측은 실제 교통량과 차이가 발생하는 등 위험 및 불확실성이 뒤따른다. 따라서 정부 및 민간사업자는 관리운영기간 설정시 교통량 예측 위험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도로사업에 있어 교통량 위험을 고려한 적정 관리운영기간을 설정하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과정에서 교통량 위험은 확률 분포(single probability distribution)와 확률 과정(stochastic process)을 함께 고려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 및 시뮬레이션 모형을 바탕으로 모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모의 분석 결과 기대수익률 7%인 경우, 평균 관리운영기간은 21.2년으로 산정되었으며, 정부의 할인율 5.5%를 적용한 경우 관리운영기간은 평균 17.2년으로 산정되었다. 그 밖에 도출된 통계량은 다각적인 해석을 통해 민간투자사업 관련 의사결정자들이 관리운영기간을 설정함에 있어 직관에 의존하거나 동일한 운영기간을 적용하기보다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관리운영기간 설정하도록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