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ipe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28초

감과피 첨가가 큰느타리버섯 자실체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upplementation of persimmon peels on mycelial growth of Pleurotus eryngii)

  • 김혜수;김수철;정종천;조수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71-374
    • /
    • 2014
  • 본 연구는 지역 특산물인 감과피를 이용한 버섯배지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감과피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감과피는 경상남도 진주시에 소재한 진주단감원예조합으로부터 건조된 것을 수집하여 사용하였고 공시균주는 큰느타리 2312를 사용하였다. 대조구는 시판혼합배지를 사용하였고 건조된 감과피 5%, 10%, 15%, 20%, 25%, 30%이 첨가된 시판혼합배지를 시험구로 사용하였다. 대조구인 시판혼합배지에 비해 시험구인 5%, 10%, 15%, 20%, 25%, 30%의 감과피가 첨가된 시판혼합배지의 총질소 함량은 감과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총탄소와 유기물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고 C/N율은 감과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감과피 첨가량에 따른 시험관 내에서의 균사생장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인 시판혼합배지보다 감과피가 첨가된 모든 배지에서 균사생장이 느리게 나타났다. 시험구의 혼합배지 중 5% 감과피가 첨가된 배지에서 균사 생장이 가장 빨라지만 감과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균사 생장속도는 느려지는 경향을 보였다. 감과피 첨가량에 따른 배양일수는 대조구인 시판혼합배지에 비해 감과피를 30%까지 첨가하여도 배양일수와 초발이 소요일수에는 뚜렷한 차이는 없었지만 감과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배양일이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시판혼합배지에 비해 감과피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갓의 직경과 두께는 감소하고 대의 길이는 짧아지고 굵기는 굵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감과피를 배지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감과피 첨가량에 따른 혼합배지의 조성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민자주방망이버섯(Lepista nuda )의 형태적 특성 및 교배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ybridization on Lepista nuda)

  • 정원순;김종봉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8
    • /
    • 2013
  • 본 연구에서 한국에 자생하는 12종의 민자주방망이버섯과 13종의 프랑스, 스위스, 포루투갈, 일본 등지에서 버섯을 수집하였다. 이들 한국, 외국 품종의 민자주방망이버섯은 단핵균사를 얻기 위해 이들 버섯으로부터 단포자를 얻어 YB배지에 배양하였다. 또한 민자주방망이버섯 육종을 위하여 자실체의 형태적 특성과 단핵균주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배 단핵균주를 선별하였다. 그 결과 선별된 11개의 교배계통($K1{\times}K2$, $K1{\times}K3$, $K1{\times}K4$, $K1{\times}K6$, $K1{\times}K5$, $K2{\times}K4$, $K2{\times}K3$, $K2{\times}K6$, $K3{\times}K4$, $K4{\times}K5$, $K4{\times}K6$)에서 clamp connection을 관찰하였으며, 또한 RAPD 패턴 분석을 통해 교배 여부를 판단하였다. 교배된 2핵균주를 다시 PDA 배지에 배양하여 교배균주의 양상을 관찰한 결과 선별된 11개의 국내 야생 민자주방망이버섯으로 이루어진 교배계통은 야생품종 2핵 균사 또는 외국 민자주방망이버섯 품종 보다 성장속도가 빠른 것을 확인 하였다. 이는 앞으로 민자주방망이버섯의 한국 고유 품종개발 시 우수 교배형 선택에 있어, 기초자료로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표고 중온성 품종 '산조708호' 육성 및 특성 (Breeding and characteristics of a low-temperature variety oak mushroom (Lentinula edodes) 'Sanjo 708 ho')

  • 노종현;김인엽;이원호;김선철;최선규;고한규;박흥수;구창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07-210
    • /
    • 2016
  • 톱밥재배용 표고 품종 '산조708호'의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균사생장 적온은 $25^{\circ}C$, 균사생장은 51.6 mm/7일으로 조사되었으며, 버섯 발생형태 조사에서 산발형, 버섯발생온도 범위는 $5{\sim}20^{\circ}C$로 중온성의 특성을 보였다. 갓의 크기는 65.8 mm로 중대엽형으로 나타났으며, 두께 16.1 mm, 갓형태는 반구형의 형태를 보였다. 대의 길이 42.6 mm, 굵기 19.6 mm로 나타났다. 버섯생산성은 8월부터 2월까지 동절기를 포함한 기간에 생산된 버섯발생량이 310.7 g/bag로 우수하였다. 버섯발생량이 60 g/bag이상으로 우수한 발생주기의 일별 최소온도는 $6.2^{\circ}C$, 최대온도는 $22.1^{\circ}C$로 나타났다. 표준 재배방법은 톱밥배지의 생산시기는 3~4월, 배양 환경 및 기간은 배양온도 $20{\pm}1^{\circ}C$, 이산화탄소농도 3,000~5,000 ppm의 범위로 120일간 배양하고, 배양기간 30-40일은 암배양을 진행하고 이후 명배양으로 전환한다. 배양이 완성된 배지는 재배사로 이동하여 개봉하고 이후 7~9월의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후숙관리(습도 70-80%이상, 살수 2-3회/일, 온도 $27^{\circ}C$이하)를 진행하고, 10월에서 이듬해 3월까지 버섯발생 및 생육온도 범위를 $5{\sim}20^{\circ}C$로 관리하면서 버섯을 생산할 수 있다.

다수성 병재배용 산느타리 신품종 '산타리'의 균사배양 및 생육특성 (Mycel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a new high-yield Pleurotus pulmonarius cultivar 'Santari' for bottle culture)

  • 최종인;이윤혜;전대훈;권희민;지정현;신평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90-194
    • /
    • 2017
  • 생육이 균일하고 다수성인 산느타리버섯 신품종 '산타리'의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26{\sim}29^{\circ}C$이고 버섯발생온도는 $22^{\circ}C$, 버섯생육온도 $18^{\circ}C$로 '호산'과 유사하며, 발생형은 다발형태를 나타내었다. 병재배시 배양기간은 28일, 초발이 소요일수는 3일, 생육일수는 3일로 총재배기간은 34일이 소요되었다. 갓크기는 35.9 mm이며, 갓색도(L)는 53.7로 회갈색을 나타내었고, 대는 직경 10.1 mm, 길이 79.7 mm로 '호산' 에 비하여 굵고 긴형태이며, 대색택은 L=93으로 백색을 나타내었다. 수량은 생산력 검정시 1,100 ml병에서 172 g을 나타내었으며, 농가실증재배시 A(여주1) 120.8 g/900 ml, B (여주2) 165.2 g/900 ml, C(용인) 141.7 g/900 ml으로 대조구 대비 24% 이상 증수되었다. 대의 물리성은 탄력성, 응집성, 씹읍성, 깨집성이 각각 87%, 82%, 193 g, 16.8 kg을 나타났다. DNA다형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URP3, URP10, URP12의 primer에서 교배 모본인 '호산'과 'GMPO20404'의 DNA의 밴드가 혼합되어 있었으며 품종간, 균주간의 밴드 차이가 있었다. 저장 기간에 따른 신선도는 저온저장시 7, 상온보관시 6 을 나타내어 대조품종인 '호산' 보다 상온보관시 신선도가 우수하였다.

Bipolaris coicis의 완전세대인 Cochliobolus nisikadoi의 배양기내 형성 (In vitro Formation of Cochliobolus nisikadoi, the Perfect State of Bipolaris coicis)

  • 김성기;김기우;박은우;강위수;양장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2호통권85호
    • /
    • pp.287-292
    • /
    • 1998
  • 율무 잎마름병을 일으키는 Bipolaris coicis의 완전세대를 배양기내에서 형성하도록 유도하였다. 국내 17개 지역에서 1994년부터 1996년까지 89개의 균주를 수집하였다. 이들을 $25^{\circ}C$에서 볏짚을 위에 올려놓은 Sach's nutrient agar 배지에서 대치배양하였다. 위자낭각은 특정 친화적인 균주의 조합일 때만 형성되었다. 위자낭각은 대체로 배양 2주 후에 볏짚 위에 형성되었으나, 일부 위자낭각에서만 자낭과 자낭포자가 관찰되었다. 위자낭각은 흑색이며 구형이었고, 돌출한 ostiolar beak을 가지고 있었다. 그 내부는 무색이고, 사상형민 위측사로 채워져 있었다. 자낭은 원통형내지 곤봉형이었고, 직선형이거나 약간 굽은 것도 있었다. 자낭벽은 이중격막으로 둘러싸여 있었고 짧은 stipe가 있었다. 자낭포자는 사상형이고 무색이었으며, 자낭의 장축과 평행하거나 약간 나선형으로 굽어 있었다. 자낭포자의 크기는 $146-166.4{\times}2.6-3.8\;{\mu}m$이었다. 이러한 형태적 특징에 기초하여 이 곰팡이의 완전세대는 Cochliobolus nisikadoi (Tsuda, Ueyama & Nishihara Alcorn)으로 동정되었다.

  • PDF

원형질체(原形質體) 융합(融合)에 의한 노랑느타리버섯과 사철느타리버섯의 종간(種間) 교잡(交雜)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Pleurotus cornucopiae and Pleurotus florida Following Protoplast Fusion)

  • 유영복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8-125
    • /
    • 1992
  • 노랑느타리 Pleuroltus cornucopiae와 사철느타리 Pleurolus florida의 영양요구주(營養要求株)로부터 나출(裸出)한 원형질체(原形質體)를 polyethylene glycol로 융합(融合)하여 종간(種間) 체세포잡종(體細胞雜種)을 얻었다. 이들은 핵융합주(核融合株) nuclear hybrid 또는 이질이배체(異質二倍體) allodiploid, 이핵체(異核體) heterokaryon, 자연적(自然的) 분리성이핵체(分離性異核體) spontaneous segregated heterokaryon로 나누어졌으며, 6융합조합(融合組合)중에서 1조합(組合)에서만 꺽쇠연결체 clamp connection를 가진 것이 나타났다. 총 59 융합주 중에서 꺽쇠연결체를 가진 2균주와 가지지 않은 10균주가 완전한 자실체(子實體)를 형성하였는데 거의 사철느타리 형태(形態)와 유사(有似)하였으나 버섯의 갓 색택(色澤)이 양친(兩親)인 노랑느타리가 어릴때 yellow, 사철느타리가 orange white 인데비해 체세포 잡종은 light blond-greyish brown 으로 다양한 혼합색(混合色)으로 나타났다. 꺽쇠연결체가 없는 융합주로부터 발용(發茸)된 자실체는 두균주를 제외하고 모두 꺽쇠연결체를 가졌으며, 이 자실체(子實體) 조직(組織)을 완전배지(完全培地)에 배양(培養)한 결과 균사생장(菌絲生長)이 빠르고 균사도 꺽쇠연결체를 가져 본래(本來)의 융합주와는 다른 형태로 변하였다.

  • PDF

Study on the Genetic Diversity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ld Agaricus bisporus Strains from China

  • Wang, Zesheng;Liao, Jianhua;Chen, Meiyuan;Wang, Bo;Li, Hongrong;Lu, Zhenghui;Guo, Zhongjie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3-13
    • /
    • 2009
  • 90 wild Agaricus strains from China, including 44 Agaricus bisporus strains identified preliminarily by isozyme electrophoresis, were studied by the techniques of SRAP and ISSR. 18 special SRAP bands and 12 special ISSR bands were analyzed, the strains were clustered and a demdrogram was obta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rains were divided into 2 groups, wild A. bisporus group and the other Agaricus group. It is similar to the result of isozyme electrophoresis. 41 wild A. bisporus strains from Sichuan and Tibet were divided into 4 groups based on their growing places, suggesting the regionally difference of the strains to be quite obvious. Some white wild A. bisporus strains from Xinjiang and Tibet had special patterns, resulting in lower coefficient values with other wild A. bisporus strains.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ree wild A. bisporus strain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showed: 1. The wild strains grew slowly on PDA medium with weak appressed mycelia, and grew normally in kernel or fermented cottonseed shell substrate. 2. They grew faster than control strain As2796 under lower temperature of $16^{\circ}C$, and higher temperature of $32^{\circ}C$, with optimum growing temperature of $20-24^{\circ}C$, which was $4^{\circ}C$ lower than that of control strain. 3. In the cultivation with manure compost via twice fermentation, the mycelia grew normally in compost and quite slowly in casing soil, and the fruitbodies occurred less and late with easily opening and low production. 4. The fruitbody was off-white with flat and scaled cap, long stipe and dark gill. The bisporus basidia occupied 70-80% and trisporus basidia 20-30% of the total basidia. 5. Heterokaryotic monospore isolates could fruit in cultivation, and the homokaryotic isolates could cross with those derived from overseas wild A.bisporus strains. 6. The electrophoresis phenotype of isozymes such as esterase etc. belonged to high production type (H type). 7. The RAPD patterns made much difference from those of high production, good quality or hybrid strains, which indicated that the wild strains produce a new kind of RAPD type.

  • PDF

잣뽕나무버섯과 곤봉뽕나무버섯의 생태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 (Ec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rmillaria solidipes and A. gallica in Korea)

  • 김진건;이화용;박용우;이희수;구창덕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55-269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에 자생하는 형태적으로 식별이 어려운 잣뽕나무버섯(Armillaria solidipes)과 곤봉뽕나무버섯(Armillaria gallica)의 형태적 특성, 자실체 발생지의 환경특성, 목재분해효소를 알아보았다. 잣뽕나무버섯은 해발고도 107~1,396 m에서 소나무, 졸참나무, 밤나무 등 8종에서 발생하였고, 곤봉뽕나무버섯은 해발고도 119~556m에서 소나무, 물푸레나무 등 3종에서 발생하여 잣뽕나무버섯이 곤봉뽕나무버섯보다 분포와 기주의 범위가 넓었다. 형태는 잣뽕나무버섯의 자실체는 주름살이 빽빽하고 대에 갈색~검은색 털이 있으나, 곤봉뽕나무버섯은 대에 황색 털이 있고, 기부모양이 곤봉형이었다. 목재분해효소 cellulase의 활성은 두 종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laccase의 활성은 잣뽕나무버섯($12.94{\pm}0.4U/mL$)이 곤봉뽕나무버섯($9.14{\pm}0.3U/mL$)보다 높았다. 따라서, 잣뽕나무버섯은 주름살이 빽빽하고 대에 갈색~검은색 털이 있으며, 곤봉뽕나무버섯과 구분하여 다양한 고도에서 넓은 기주범위를 보이고, 수목을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이 크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에 적응한 것으로 생각된다.

Penicillium crustosum에 의한 감 푸른곰팡이병 발생 (Blue Mold of Persimmon (Diospyros kaki) Caused by Penicillium crustosum)

  • 권진혁;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9권4호
    • /
    • pp.217-220
    • /
    • 2003
  • 저장 및 유통중인 과실이 약간 함몰되면서 부패되고 그위에 푸른곰팡이가 심하게 발생하였다. MEA배지에서 균총의 색깔은 처음 흰색에서 푸른색을 띄며 분생포자를 아주 많이 형성하였다. 분생포자의 모양은 타원형 또는 아구형이고 크기가 2.6${\sim}$3.8${\times}$2.4${\sim}$3.8 ${\mu}m$이었다. 분생포자병은 균사표면으로부터 형성되고, Stipes의 크기가 86${\sim}$320${\times}$2.8${\sim}$4.3 ${\mu}m$로 가늘고 길며, Rami의 크기가 7.5${\sim}$32.6${\times}$2.6${\sim}$4.2 ${\mu}m$, Ramuli의 크기가 12.4${\sim}$14.8${\times}$3.2${\sim}$3.8 ${\mu}m$, Matulae의 크기는 8.9${\sim}$13.6${\times}$2.8${\sim}$4.6 ${\mu}m$이고, Phialide는 침상이고 크기가 8.2${\sim}$12.4${\times}$2.3${\sim}$3.6 ${\mu}m$이었다. 균사생육적온은 $25^{\circ}C$였다. 분리된 병원균을 건전한 감에 접종한 결과 동일한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이 병을 Penicillium crustosum에 의한 감 푸른곰팡이 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여름철 표고 톱밥재배의 고온환경조절이 버섯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ductivity of Lentinula edode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high-temperature environment in summer)

  • 김인엽;김선철;노종현;최선규;이원호;고한규;박흥수;구창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88-293
    • /
    • 2015
  • 재배사 시설구조 조사결과 2~3중 구조로 재배하는 임가가 96%로 외부의 환경변화에 대비한 안정적인 재배시설 구조를 갖추고 재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여름철 재배환경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재배기간 온습도 변화를 조사한 결과 외부 백엽상의 온도는 $20.2{\sim}29.9^{\circ}C$, 습도는 66.2~99.9%로 나타났다. 재배시설 내부의 고온 환경조절 결과 시험재배사 2에서 $19.3{\sim}25.7^{\circ}C$, 습도변화 81.6~99.9%로 온도제어에 효과적이었다. 자실체 특성조사에서 시험재배사 2에서 갓직경이 66.2 mm, 대길이 54.1 mm로 품질이 우수하였으며, 배지당 수확량도 312 g/봉, 개체중 26.6 g으로 개선되었다. 냉방시설 사용에 따른 일간 전력소비량은 56 kwh로 조사되었으며, 전력비용은 2,195원/일로 산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