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imulus polarity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Influence of Stimulus Polarity on the Auditory Brainstem Response From Level-Specific Chirp

  • Dzulkarnain, Ahmad Aidil Arafat;Salamat, Sabrina;Shahrudin, Fatin Amira;Jamal, Fatin Nabilah;Zakaria, Mohd Normani
    • Journal of Audiology & Otology
    • /
    • 제25권4호
    • /
    • pp.199-208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s: No known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timulus polarity on the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elicited from level-specific (LS) chirp. This study is important as it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timulus polarity selection for ABR elicited from LS chirp stimulus. We explored the influence of stimulus polarity on the ABR from LS chirp compared to the ABR from click at 80 dBnHL in normal-hearing adults. Subjects and Methods: Nineteen adults with normal hearing participated. The ABRs were acquired using click and LS chirp stimuli using three stimulus polarities (rarefaction, condensation, and alternating) at 80 dBnHL. The ABRs were tested only on the right ear at a stimulus rate of 33.33 Hz. The ABR test was stopped when the recording reached the residual noise level of 0.04 μV. The ABRs amplitudes, absolute latencies, inter-peak latencies (IPLs), and the recorded number of averages were statistically compared among ABRs at different stimulus polarities and stimuli combinations. Results: Rarefaction polarity had the largest ABR amplitudes and SNRs compared with other stimulus polarities in both stimuli. There were marginal differences in the absolute latencies and IPLs among stimulus polaritie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averages required to reach the stopping criteria was found. Conclusions: Stimulus polaritie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BR to LS chirp. Rarefaction polarity is recommended for clinical use because of its larger ABR peak I, III, and V amplitudes than those of the other stimulus polarities.

Influence of Stimulus Polarity on the Auditory Brainstem Response From Level-Specific Chirp

  • Dzulkarnain, Ahmad Aidil Arafat;Salamat, Sabrina;Shahrudin, Fatin Amira;Jamal, Fatin Nabilah;Zakaria, Mohd Normani
    • 대한청각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99-208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s: No known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timulus polarity on the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elicited from level-specific (LS) chirp. This study is important as it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timulus polarity selection for ABR elicited from LS chirp stimulus. We explored the influence of stimulus polarity on the ABR from LS chirp compared to the ABR from click at 80 dBnHL in normal-hearing adults. Subjects and Methods: Nineteen adults with normal hearing participated. The ABRs were acquired using click and LS chirp stimuli using three stimulus polarities (rarefaction, condensation, and alternating) at 80 dBnHL. The ABRs were tested only on the right ear at a stimulus rate of 33.33 Hz. The ABR test was stopped when the recording reached the residual noise level of 0.04 μV. The ABRs amplitudes, absolute latencies, inter-peak latencies (IPLs), and the recorded number of averages were statistically compared among ABRs at different stimulus polarities and stimuli combinations. Results: Rarefaction polarity had the largest ABR amplitudes and SNRs compared with other stimulus polarities in both stimuli. There were marginal differences in the absolute latencies and IPLs among stimulus polaritie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averages required to reach the stopping criteria was found. Conclusions: Stimulus polaritie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BR to LS chirp. Rarefaction polarity is recommended for clinical use because of its larger ABR peak I, III, and V amplitudes than those of the other stimulus polarities.

지구 회전 각속도를 이용한 자이로센서의 방향코사인행렬 극성검증 (Polarity Verification of Direction Cosine Matrix of Gyro Sensor Using The Earth Rotational Rate)

  • 오시환;김진희
    • 항공우주기술
    • /
    • 제10권2호
    • /
    • pp.49-55
    • /
    • 2011
  • 인공위성에 사용되는 센서들의 장착 방향은 보통 방향코사인행렬로 구현되어 있다. 이 방향코사인행렬의 극성검증을 위해서는 센서에 알고 있는 외부 자극을 인가하여 출력되는 응답을 확인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자이로 센서의 경우에는 인위적인 외부 자극 없이 지구 자전에 의한 회전각속도가 방향코사인행렬의 극성검증을 위한 입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의 조립 및 시험 단계에서 여러 번 수행되는 자이로 센서의 상태점검 시험결과를 이용하여 자이로 센서의 방향코사인행렬 극성검증을 수행하였다.

Effects of Electric Current on Flowering in Pharbitis and Floral Stimulus activity in the Phloem Exudate of Cotyledons

  • Jueson Maeng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2호
    • /
    • pp.159-166
    • /
    • 1994
  • Direct current (DC) applied to cotyledons during a 16 h inductive dark period inhibited the flowering in the short-day plant, Pharbitis nil Choisy cv. Violet. The inhibitory effect of DC was more profound when the current flowed from roots to cotyledons, showing its polarity-dependent action. The second half on the inductive dark period was more sensitive to DC stimulus. The flowering was significantly depressed only when DC stimuli were applied to the translocation path of the floral stimulus from the induced cotyledon to the apex, suggesting that the transport of floral stimulus was damaged by the DC treatment. The vegetative apex culture bioassay system showed that a significant level of the floral stimulus activity existed in the phloem exudate from the cotyledons which would fail to form their own floral buds. These results strongly support the hypothesis that DC partially impede, at least temporarily,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floral stimulus from florally-induced cotyledon to the apex, rather than depressing in situ synthesis of the floral stimulus.

  • PDF

외상 후 병리에서 성장으로: 외상 후 성장 시계 (From Trauma To growth: Posttraumatic Growth Clock)

  • 이홍석
    • 인지과학
    • /
    • 제27권4호
    • /
    • pp.501-539
    • /
    • 2016
  • 인간 정신은 외상 자극에 역동적으로 반응하여 다차원적 위계를 따라 진화적으로 발전하는 시스템이다. 평형상태에서 일원화되어 있는 정신 내에 외상 자극이 유입되면 그에 반대 쌍이 되는 반응 극성이 형성되어 이원화된다. 그 반대 쌍 사이에 초월적 상호작용이 일어나면 상위 차원에 제3의 극성이 출현하게 되어 정신은 삼위구조로 변형된다. 삼위 구조화된 정신에서는 비평형 상태가 극대화되어 가소성이 최대화됨에 따라 삼위 요인이 같은 기능을 하게 되는 동기화가 가능해지며 이로 인해 정신은 상위차원에서 다시 일원화된다. 만약 정신이 또 다시 새로운 자극을 받아들이게 되면 정신은 위의 위계적 변형과정을 따라 성장하게 된다. 이를 정신의 기본삼위체계의 동기화를 통한 순환적 성장과정이라 한다. 이번 이론 연구에서는 이 개념을 외상 후 성장 과정에 적용하여 외상 후 성장 시계를 제안하였다. 외상 후 성장 시계는 7개의 위계적 단계로 구성되어있으며 처음 6개의 단계들은 충격 대 마비, 공포 대 침습, 편집 대 회피, 강박 대 폭발, 불안 대 우울, 허무 대 의미추구 단계 등의 12분기로 구성되어 있고 마지막 7번째 단계에서는 이들 모든 단계들의 기능들이 동기화되는 거대 동기화 단계가 나타나게 된다. 거대 동기화 단계에서는 이전의 6 단계들로 구성된 개인 내의 생리-사회-실존 차원들 뿐 아니라 자아와 타아도 동기화를 통해 일원화됨으로써 자신의 외상경험 뿐 아니라 타인의 고통도 자신의 실제적 외상경험으로 작용하게 되어 정신은 상위 차원에서 또 다른 성장과정을 반복한다. 이 논문에서 제안된 외상 후 성장 시계의 변형과정에 대한 타당성을 Horowitz의 외상반응과정과 비교하여 논의하였다.

2축 아날로그 태양센서 극성시험장치 개발 및 검증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ASS(Bi-axis Analogue Sun Sensor) Stimuli Equipment for FM Polarity Test)

  • 박영웅;이상섭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5권7호
    • /
    • pp.594-599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GK2 위성의 최종 조립시험단계의 극성시험 과정에서 태양센서에 전기자극을 주어 자세오차를 다양하게 모사하는 지상시험장치(Test-aid)의 개발과 검증에 관한 내용을 정리한다. 본 논문에서 GK2 위성에 사용되는 태양센서 Test-aid는 2축 아날로그 태양센서를 대상으로 시험하는 것으로 고장으로 인한 백업을 고려하여 Test-aid의 국산화를 진행하였다. 또한, 시험을 통해 천리안위성에 사용되었던 Test-aid 특성과 국내업체를 통해 제작된 Test-aid의 특성이 기존 장비를 대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국내 제작된 Test-aid는 기존의 천리안위성에 사용되었던 Test-aid와 달리 차이점이 생길시 제어기의 튜닝 기능을 이용하여 기존장비와 동일한 성능을 구사할 수 있음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