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wartia koreana community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6초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군락의 식생구조와 생태특성 (Vegetation Structures and Ecological Properties of Sterwartia koreana Community)

  • 권혜진;송호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3호
    • /
    • pp.296-304
    • /
    • 2008
  • 우리나라 노각나무 자생지 가운데 8개 지역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군락을 분류하고, 방형구법을 사용하여 구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노각나무군락은 고로쇠나무하위군락, 소나무하위군락, 사람주나무하위군락, 노각나무전형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노각나무는 주로 계곡 주변에 국지적으로 분포하였으며, 토양특성은 유기물, 전질소, 유효인산, 치환성 K, 치환성 Ca, 치환성 Mg, 양이온치환용량(CEC)의 함량이 14.31~34.27%, 0.33~0.77%, 7.83~22.88(mg/kg), 0.23~1.07(me/100g), 0.29~2.93(me/100g), 0.33~1.49(me/100g), 10.47~22.48(me/100g)이며, pH는 4.65~4.96으로 약산성토양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로쇠나무하위군락은 해발고가 가장 높고, 전질소, 치환성 Ca, Mg의 함량이 높은 입지에 분포하였으며, 소나무하위군락은 해발고가 가장 낮고, 전질소, 치환성 Ca, Mg의 함량이 가장 낮은 입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리산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림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s of Stewartia koreana Forest in Mt. Jirisan)

  • 권혜진;권재환;정혜란;이지혜;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25-735
    • /
    • 2011
  • 본 연구는 지리산지역의 노각나무림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군락을 분류하고, 식생과 토양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구배분석을 실시하였다. 노각나무림은 노각나무-졸참나무군락, 노각나무-신갈나무군락, 노각나무전형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노각나무-졸참나무군락은 서어나무아군락과 전형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노각나무는 해발고 409m에서 최고 1,604m까지 자생하였다. 노각나무군락의 중요치 분석결과 노각나무가 75.47%로 가장 높았으며, 졸참나무 21.83%, 신갈나무 18.65%, 당단풍나무 18.19%, 철쭉 10.56%, 때죽나무 10.36% 순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지의 토양분석 결과 평균적으로 유기물함량 3.15~39.1%, 전질소함량 0.37~11.7%, 유효인산함량 0.9~45.4mg/kg, 치환성 양이온 $K^+$ $0.09{\sim}1.48cmol^+/kg$, 토양 수분 19.28~55.47%, 토양 pH는 4.08~5.65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DCCA ordination을 이용한 노각나무군락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해발고에 의해 노각나무-신갈나무군락, 노각나무전형군락, 노각나무-졸참나무전형아군락, 서어나무아군락 순으로 분포하였다.

노각나무의 분포(分布)와 생태(生態)(I) 희방사(熹坊寺)와 속리산(俗離山)을 중심(中心)으로 (A Study of Distribution and Communities Stewartia koreana (I) - Temple Huibang and Mt. Sogri -)

  • 김지문;송호경
    • 농업과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11-17
    • /
    • 1981
  • 본(本) 조사(調査)는 1978년(年) 9월(月)과 1980년(年) 10월(月)에 노각나무 자생지중(自生地中) 희방사(熹坊寺)와 속리산(俗離山)의 식생(植生)을 조사(調査)한 것으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희방사(熹坊寺) 지역(地域)의 임상식물중(林床植物中) 상대(相對) 우점치(優占値)가 높은 종은 실새풀, 조릿대, 비목나무, 생강나무등이다. 2. 속리산(俗離山) 지역(地域)의 임상식물중(林床植物中) 상대(相對) 우점치(優占値)가 높은 종은 조릿대, 좁은단풍등이다. 3. 노각나무 자생지(自生地)의 임상식물중(林床植物中) 상대우점치(相對優占値)가 높은 종은 조릿대, 좁은단풍나무, 실새풀등이다. 4. 희방사(熹坊寺) 지역(地域)의 관목시하(灌木尸下) 임상식물(林床植物)은 조릿대, 실새풀이 73%를, 속리산(俗離山) 지역(地域)은 조릿대가 93%를 차지하고 있어 노각나무의 천연경신(天然更新)에 중요(重要)한 종(種)이다. 5. 희방사(熹坊寺) 지역(地域)에서 조릿대는 표고(標高) 700m 까지, 실새풀은 표고(標高) 800m 에서 우점종(優占種)을 이루었다.

  • PDF

소백산 국립공원 희방계곡의 삼림군집구조분석 (The Analysis of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Huibang Valley in Sobaeksan National Park)

  • 이경재;최송현;조현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3-126
    • /
    • 1993
  • 소백산국립공원 희방계곡의 삼림군집구조분석을 위하여 25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500$m^2$면적)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분석과 ordination기법의 일종인 DCA와 CCA를 적용하였다. DCA에 의해 군집은 4개로 분리되었고. 나뉘어진 군집은 소나무군집, 신갈나무-소나무군집, 신갈나무-노각나무-서어나무군집, 신갈나무-당단풍군집이었다. 환경인자와 조사지 및 수종과의 관계를 분석한 CCA에서는 토양환경이 변화되지 않은 2차 천이 초기단계를 나타내었다. 두 기법에 의해 추정된 천이과정에서 교목상층은 해발 800m이하에서 소나무$\longrightarrow$신갈나무, 졸참나무$\longrightarrow$서어나무(노각나무) 순이었고, 교목하층 및 관목층에서는 진달래, 철쭉, 개옻나무$\longrightarrow$쪽동백나무, 생강나무$\longrightarrow$함박꽃나무, 참개암나무 순으로 추정되었다. 환경인자의 ordination분석에서는 천이가 진행될 수록 수분과 유기물의 토양성질들이 양호하여졌다.

  • PDF

지리산 자연생태계보전구역의 식생 (The Actual Vegetation of Nature Ecology Con-servation Area in Mt. Chiri)

  • 김준선;김갑태;주혜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9-24
    • /
    • 1991
  • 지리산 국립공원중 반야봉을 중심으로 피아골과 심원계곡을 포함하는 자연생태계보전구역의 현존식생을 파악하기 위하여 총 43개 조사지의 종조성 및 식생상관에 의하여 삼림군집을 구분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지리산 자연생태계보전구역의 식생은 냉온대남부에서 아한대에 이르기까지 13개의 삼림군집이 형성되었으며 확인된 삼림군집은 다음과 같다. 1. 졸참나무군집 2. 서어나무군집 3. 졸참나무-서어나무군집 4. 노각나무군집 5. 고로쇠나무군집 6. 까치박달나무군집 7. 들메나무군집 8. 개서나무군집 9. 소나무군집 10. 신갈나무군집 1) 신갈나무-철쭉 하위군집 2) 신갈나무-조록싸리 하위군집 11. 분비나무군집 12. 구상나무군집 1) 구상나무-신갈나무 하위군집 2) 구상나무-잣나무 하위군집 13. 철쭉군집 확인된 삼림식생중에서 졸참나무군집은 해발 700m에서 1,000m에 분포하였으며 서어나무군집, 개서나무군집은 동지역의 계곡부에 분포하였다. 해발 1,000m에서 1,400m에는 신갈나무군집이 그 이상 1,700m까지에는 구상나무군집, 분비나무군집등 아고산대림이 발달하였다.

  • PDF

지리산국립공원의 산림식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of Jirisan National Park)

  • 권재환;신민경;권혜진;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93-118
    • /
    • 2013
  • In this study, the forest vegetation of Jirisan National Park were classified into 20 communities, 3 subcommunities by the Z-M method. In the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the organic matter and total nitrogen had the highest correlation on the subalpine forests. among them Picea jezoensis community showed the highest, Betula ermanii community, Taxus cuspidata community, Pinus koraiensis community, Abies nephrolepis community and Abies koreana community were represented in order. the K, Mg, Ca had correlation on th montane forests;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uercus serrata community, Stewartia pseudocamelli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were in order. the total nitrogen, electrical conductivity and organic matter had the highest correlation of the montane ravine forests; 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Abies holophylla community, Betula costata community, Cornus controversa community and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were in order.

금정산(金井山) 일대(-帶)의 삼림식생분석(森林植生分析) (The Analysis of Forest Vegetation in Mt. Kumjeong)

  • 윤충원;배관호;홍성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3권
    • /
    • pp.31-44
    • /
    • 1995
  • 난대림과 온대남부림의 경계를 구분할 수 있는 식생단위를 찾아내기 위하여 난대림과 온대남부림의 경계지역에 속한다고 추정되는 금정산(북위 $35^{\circ}$03' ~$35^{\circ}$17', 동경 $129^{\circ}$01'~$129^{\circ}$05')의 현존삼림식생을 중심으로 ZM 방식으로 식생분류를 하였고, 아울러 군락의 안정성을 구명하였던 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1. 금정산 일대의 상림식생은 10개군락, 9개군, 2개소군으로 분류되었다. I. 개서어나무군락(群落) (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I-A. 노각나무군(群) (Stewartia koreana group) I-B. 쥐똥나무군(群) (Ligstrum obtusifolium group) I-C. 초피나무군(群) (Carex humilis group) II. 굴참나무군락(群落)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III. 졸참나무군락(群落) (Quercus serrata community) III-A. 거북꼬리군(群) (Boehmeria tricuspis group) III-B. 전형군(典型群)(Typical group) IV. 등나무군락(群落) (Wisteria floribunda community) V. 신갈나무군락(群落) (Quercus mongolica community) V-A. 조릿대群(Sasa borealis group) V-B. 그늘사초군(群) (Carex lanceolata group) V-B-1. 족도리소군(小群) (Asarum sieboldii subgroup) V-B-2. 해변싸리소군(小群) (Lespedeza ${\times}$ maritima subgroup) VI. 소나무군락(群落) (Pinus densiflora community) VI-A. 사스레피나무군(群) (Eurya japonica group) VI-B. 전형군 (Typical group) VII. 떡갈나무군락(群落) (Quercus dentata communty) VIII. 소사나무군락(群落) (Carpinus coreana community) IX. 해송군락(群落) (Pinus thunbergii communily) X. 상수리나무군락(群落)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2. 16개 식생단위중 소나무군락의 사스레피나무군 (Eurya japonica group)이 난대림과 온대남부림을 경계하는 지표식생군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3. 노각나무군은 치묘와 치수가 나타나지 않는 점으로 미루어 상충임관아래에서는 천연갱신이 어려운 종으로 사료되었다. 4. 분류된 식생단위와 해발과의 관계에서 개서어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등나무군락 소나무군락의 사스레피나무군 해송군락은 주로 해발 500m이하에서,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의 전형군 떡갈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은 주로 해발 500m 이상에 분포하고 있었다. 5. 식생단위와 지형과의 관계에서는 개서어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등나무군락 소나무군락의 사스레피나무군은 사면중부이하에서,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의 전형군 떡갈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해송군락, 상수리나무군락은 사면중부이상에 분포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