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wartia koreana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초

노각나무 잎과 가지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Stewartia koreana Nakai Leaves and Branch Extracts)

  • 김혜수;박민정;김수정;김부경;박준호;김대현;조수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29-23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고유 수종인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의 부위별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노각나무 잎과 가지를 70% 에탄올에 침지한 다음 부위별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노각나무 가지 추출물(53.18±0.2 mg GAEs/extract g)에 비해 잎 추출물(162.57±0.9 mg GAEs/extract g)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가지(4.7±0.1 mg QEs/extract g)에 비해 잎(59.1±0.9 mg QEs/extract g)에서 높게 나타났다. 노각나무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잎과 가지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가지보다는 잎에서 높게 나타났다. 노각나무 추출물 0.4 mg/ml의 농도에서 잎과 가지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91.85±0.01%, 29.93±0.2%였으며 노각나무 잎 추출물은 양성대조구로 사용한 ascorbic acid (1 mg/ml, 93.71±0.1%) 보다 낮은 농도에서 ascorbic acid와 유사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노각나무 추출물 0.4 mg/ml의 농도에서 잎과 가지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94.77±0.34%, 25.13±0.15%였다. 노각나무 잎과 가지의 ORAC 지수는 각각 104.13±0.48 μM TEs/extract g과 57.36±0.35 μM TEs/extract g으로 가지보다는 잎의 ORAC 지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노각나무 추출물의 세포 독성은 WST-1 assay를 이용하여 추출물이 섬유아세포 CCD-986sk에 미치는 영향으로 평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노각나무 잎 추출물은 가지에 비해 항산화 활성 지표인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고 항산화 활성이 높기 때문에 노각나무 잎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기능성 식의약품소재나 화장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소백산 국립공원 희방계곡의 삼림군집구조분석 (The Analysis of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Huibang Valley in Sobaeksan National Park)

  • 이경재;최송현;조현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3-126
    • /
    • 1993
  • 소백산국립공원 희방계곡의 삼림군집구조분석을 위하여 25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500$m^2$면적)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분석과 ordination기법의 일종인 DCA와 CCA를 적용하였다. DCA에 의해 군집은 4개로 분리되었고. 나뉘어진 군집은 소나무군집, 신갈나무-소나무군집, 신갈나무-노각나무-서어나무군집, 신갈나무-당단풍군집이었다. 환경인자와 조사지 및 수종과의 관계를 분석한 CCA에서는 토양환경이 변화되지 않은 2차 천이 초기단계를 나타내었다. 두 기법에 의해 추정된 천이과정에서 교목상층은 해발 800m이하에서 소나무$\longrightarrow$신갈나무, 졸참나무$\longrightarrow$서어나무(노각나무) 순이었고, 교목하층 및 관목층에서는 진달래, 철쭉, 개옻나무$\longrightarrow$쪽동백나무, 생강나무$\longrightarrow$함박꽃나무, 참개암나무 순으로 추정되었다. 환경인자의 ordination분석에서는 천이가 진행될 수록 수분과 유기물의 토양성질들이 양호하여졌다.

  • PDF

Porphyromonas gingivalis에 대한 노각나무 잎 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생물막 형성 억제 효과 (Antibacterial and Antibiofilm Activities of Leaf Extracts of Stewartia koreana against Porphyromonas gingivalis)

  • 김혜수;박민정;김수정;김부경;박준호;김대현;조수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30-33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유래 구강건강 개선소재로써 노각나무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노각나무 잎과 줄기를 에탄올에 추출한 다음 구강미생물에 대한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노각나무 잎과 줄기 추출물(1 mg/disc)은 구강미생물 중 P. gingivalis KCTC5352에 대해서만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줄기보다는 잎 추출물의 항균활성이 우수하였다. 시판되고 있는 구강케어제품에 사용되고 있는 항균제와 노각나무 잎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비교한 결과, P. gingivalis에 대한 노각나무 잎 추출물과 양성대조구로 사용한 triclosan의 항균활성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P. gingivalis에 대한 노각나무 잎 추출물의 MIC는 0.4 mg/ml이고 정균작용을 하였다. 노각나무 잎추출물이 0.2-2.0 mg/ml 농도로 처리된 배양액에서 P. gingivalis KCTC5352의 생물막 형성과 세균 생육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노각나무 잎 추출물(1 mg/ml) 처리가 P. gingivalis의 생물막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에 의하면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는 추출물 처리구에 비해 P. gingivalis가 군집을 이루며 모여 있었고 세포 주변에서 생물막이 관찰되었지만 추출물을 처리한 처리구의 세포 주변에서는 생물막을 관찰할 수 없었다. qRT-PCR을 이용하여 생물막 형성 초기 과정에서 치면 부착에 필수적인 섬모(fimbriae)관련 mRNA 발현 양상을 0조사한 결과, 노각나무 잎 추출물이 0.2-2.0 mg/ml의 농도로 처리된 배양액에서 fimA와 mfa1 유전자 발현은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노각나무 잎 추출물은 치주질환 원인균인 P. gingivalis에 대한 항균 활성과 생물막 형성 억제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천연물유래 구강건강 개선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백두대간 만복대.고리봉.수정봉 일대의 관식물상 (Vascular Plants of Manbokdae, Goribong and Suieongbong in the Baekdudaegan)

  • 임동옥;김용식;박양규;유윤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87-403
    • /
    • 2003
  • 여원재에서 만복대 사이 백두대간에 해당되는 지역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104과 305속 439종 60변종 3품종 총 502종류로 확인되었다. 산림청이 지정한 회귀 및 멸종위기종은 구름송이풀, 구상나무 금마타리, 께묵, 눈향나무(식), 땅나리. 목련(식). 산작약. 뻐꾹나리. 금강제비꽃의 총 10종류와 환경부의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한 멸종위기 및 보호야생식물종은 보춘화 1종류가 조사되었다. 한국특산식물 종은 개나리(식), 구상나무, 금마타리, 꽃마리, 나비나물, 노각나무, 말채나무, 병꽃나무, 분취, 뻐꾹나리, 일월비비추, 할미밀망 등의 총 24종류가 확인되 었다.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식물에 대한 기후 및 환경변수 영향 (Climatic and Environmental Effects on Distribution of Narrow Range Plants)

  • 권혁수;류지은;서창완;김지연;도재화;서민환;박종화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17-27
    • /
    • 2012
  • Climate is generally accepted as one of the major determinants of plants distribution. Plants are sensitive to bioclimates, and local variations of climate determine habitats of pla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narrow-range plants in South Korea using National Survey of Natural Environment data. We developed species distribution models for 6 plant species using climate, topographic and soil factors. All 6 plants were most sensitive to climatic factors but less other factors at national scale. Meliosma myriantha, Stewartia koreana and Eurya japonica, distributed at southern and coast region in Korea, were most sensitive to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Meliosma myriantha was mostly effected by annual precipitation and precipitation of driest quarter, Stewartia koreana was effected by annual precipitation and elevation, and Eurya japonica was affected by temperature seasonality and precipitation of driest quarter. On the other hand, Spiraea salicifolia, Rhododendron micranthum and Acer tegmentosum, distributed at central and northern inland in Korea, were most sensitive to temperature and elevation. Spiraea salicifolia was affected by mean temperature of coldest quarter and annual mean temperature, Rhododendron micranthum and Acer tegmentosum were affected by mean temperature of warmest quarter and elevation. We can apply this result to future plant habitat distribution under climate change.

백두대간 덕유산 지역의 식물상 (Vascular Plants of Mt. Deog-yu Area in the Baekdudaegan)

  • 임동옥;김용식;박양규;유윤미;고명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7-123
    • /
    • 2004
  • 백두대간 덕유산지역 일대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91과 243속 353종 53변종 5품종 총 411종류가 확인되었다. 개비자나무, 생강나무, 대팻집나무 및 노각나무 등이 나타나 남부아구로 볼 수 있으나 거제수나무, 사스래나무, 처녀치마 및 금강애기나리 등 중부아구 식물도 확인되었으며, 해발 1,000m 이상인 곳에는 고산식물이 많이 분포하였다. 산림청이 지정한 희귀 및 멸종위기종은 솔나리와 산작약, 그리고 구상나무, 금강애기나리, 말나리, 뻐꾹나리, 누른종덩굴, 등대시호, 흰참꽃 및 꽃창포 등으로 총 10종이 확인되었다. 환경부지정 보호 야생 동ㆍ식물에 포함되어 있는 종은 솔나리 1종이 확인되었다. 한국특산식물종은 개비자나무, 구상나무, 일월비비추, 죽대, 뻐꾹나리 등 12과 21속 20종 1품종 1변종으로 총 22종류가 확인되었다.

지리산(智異山) 물박달나무림(林)의 식생구조(植生構造)와 동태(動態) (Vegetation Structure and Dynamics of a Betula davurioa Forest in Mt. Chiri)

  • 안현철;이정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3호
    • /
    • pp.445-458
    • /
    • 1998
  • 본 연구는 지리산 국립공원 오봉리 지역에서 집단적으로 분포하는 물박달나무림의 식생구조와 동태를 분석하여 물박달나무림의 경영과 분포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물박달나무림의 구조는 교목층(18종류), 아교목층(29종류), 관목층(43수종) 그리고 초본층(68종류)으로 구성되어 있다. 층위별 중요치는 교목층에서 물박달나무가 129.97%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물오리나무(49.04%), 밤나무(25.58%), 졸참나무(25.02%), 노각나무(14.49%), 아교목층에서 물박달나무(70.81%), 졸참나무(37.47%), 물푸레나무(25.35%), 비목나무(24.52%) 및 노각나무(18.86%)가 높은 우점을 보였고, 관목층에서는 조릿대(28.28%), 비목(24.94%), 개윷나무(20.42%), 국수나무(19.90%), 그리고 초본층에서는 오미자(18.51%), 참취(12.26%), 애기나리(10.63%)로 우점하고 있었다. 30개 조사방형구에서 전층을 대상으로 출현 비출현에 의한 17수종에 대한 $x^2$ 검정결과 굴참나무-상수리나무, 노각나무-검노린재나무, 당단풍-신갈나무간에는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또 밀도에 의한 Pearson 상관에서는 $x^2$ 검정에서 보다, 많은 7개 쌍의 유의성이 인정되었고, Spearman 상관에서는 모두 18개의 상관이 있는 쌍이 인정되었다. 물박달나무림에 대한 직경급의 분포는 물박달나무림의 지속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치수 발생량이 거의 없어 앞으로 졸참나무, 노각나무 등 교목층과 아교목층을 형성하고 있는 활엽수종과 경쟁에 의하여 천이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천관산 지역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of Mt. Cheon-gwan)

  • 임동옥;임형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96-308
    • /
    • 2002
  • 천관산 지역에서 채집된 표본을 동정한 결과, 관속식물 전체 종수는 117과 366속 519종 76변종 4품종으로 총 599종류로 나타났다. 본 지역은 봉의꼬리, 족제비고사리, 비자나무, 개비자나무, 참식나무, 붉가시나무, 송악, 팔손이, 동백나무, 사스레피나무, 차나무, 석창포, 이대 및 조릿대 등의 상록성 수종과 소사나무, 푸조나무, 상산이나 실고사리 등 낙엽성 난대성 식물이 혼재하고 있다. 구실사리, 히어리, 노각나무, 족도리풀, 노랑 제비꽃, 끈끈이주걱 등이 분포하는 것도 특기할 만하다. 환경부에서 지정한 평가단위별 특정식물은 5 등급이 1 분류군, 4등급은 1 분류군, 3 등급은 5 분류군, 2등급이 1 분류군 그리고 1등급이 37분류군으로 총 45 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지리산 자연생태계보전구역의 식생 (The Actual Vegetation of Nature Ecology Con-servation Area in Mt. Chiri)

  • 김준선;김갑태;주혜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9-24
    • /
    • 1991
  • 지리산 국립공원중 반야봉을 중심으로 피아골과 심원계곡을 포함하는 자연생태계보전구역의 현존식생을 파악하기 위하여 총 43개 조사지의 종조성 및 식생상관에 의하여 삼림군집을 구분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지리산 자연생태계보전구역의 식생은 냉온대남부에서 아한대에 이르기까지 13개의 삼림군집이 형성되었으며 확인된 삼림군집은 다음과 같다. 1. 졸참나무군집 2. 서어나무군집 3. 졸참나무-서어나무군집 4. 노각나무군집 5. 고로쇠나무군집 6. 까치박달나무군집 7. 들메나무군집 8. 개서나무군집 9. 소나무군집 10. 신갈나무군집 1) 신갈나무-철쭉 하위군집 2) 신갈나무-조록싸리 하위군집 11. 분비나무군집 12. 구상나무군집 1) 구상나무-신갈나무 하위군집 2) 구상나무-잣나무 하위군집 13. 철쭉군집 확인된 삼림식생중에서 졸참나무군집은 해발 700m에서 1,000m에 분포하였으며 서어나무군집, 개서나무군집은 동지역의 계곡부에 분포하였다. 해발 1,000m에서 1,400m에는 신갈나무군집이 그 이상 1,700m까지에는 구상나무군집, 분비나무군집등 아고산대림이 발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