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via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3초

쌍화음료에서 저열량화를 위한 감미료의 관능적 특성(II);쌍화음료에서 효소처리 스테비아, 아세로설팜 칼륨, 아스파탐의 병용에 따른 관능적 특성 (Sensory Properties of Low Calorie Ssanghwa Beverages Containing Sweetener(II);Sensory Properties of Ssanghwa Beverages Sweetened with Glucosyl Stevia, Acesulfame-K and Aspartame)

  • 백숙은;지옥화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97-203
    • /
    • 200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id the development of a reduced-calorie ssanghwa beverage, by using substitutes for high fructose com syrup(HFCS). Sensory scores were examined for ssanghwa beverages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glucosyl stevia, aspartame, and acesulfame-K(0, 50, and 100%, respectively) in place of HFCS. The results showed that sensory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the beverages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acesulfame-K, including aftertaste, ssanghwa taste, and overall eating quality. In contrast, the sensory scores of beverages containing 0 and 100% glucosyl stevi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ata were also gathered comparing the sensory scores of beverages according to the different types of sweeteners. Bitter taste and astringenc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beverages sweetened with HFCS, KP(containing 50% acesulfame-K and 50% aspartame), SP(containing 50% glucosyl stevia and 50% aspartame), and SK(containing 50% glucosyl stevia and 50% acesulfame-K), respectively. Finally, aftertaste and overall eating qual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HFCS and SP sweetened beverages.

스테비아 잎차의 제조 방법에 따른 품질 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evia (Stevia rebaudiana Bert) Leaf Tea according to Different Manufacturing Processes)

  • 이웅수;김근식;최원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6-163
    • /
    • 2014
  • In order to develop tea by using the leaves of stevia, which is a herbal plant, and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stevia dried leaf tea, we have manufactured the steamed tea, stir-fried tea and fermented tea by changing the manufacturing processes. As a result of the sensory tests, the steamed tea, stir-fried tea and fermented tea received higher evaluations than the dried leaf tea. In terms of efficiency, it is desired that the total number of steaming and stir-frying is only once, but the fermentation is found to be the most desirable for 2 days. There are no trends for changes in the general ingredients, mineral and free amino acid contents of stevia leaf teas by different manufacturing processes. As a result for the measur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the steamed tea and dried leaf tea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he stir-fried tea and the fermented tea show significantly low antioxidant activities as compared to the steamed tea. The contents of stevioside in both the stir-fried tea and the fermented tea were less than that in the dried leaf tea, but in the steamed te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ent of stevioside. Base on the present observations, this study supports high potentials of steaming process in order to produce new stevia leaf tea.

스테비아 추출물 발효액에서 분리된 유효 미생물들의 동정 및 항미생물 활성 (Identification of Effective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Fermented Stevia Extract and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 이태형;박수상;이용억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94-1000
    • /
    • 2006
  • 스테비아(Stevia rebaudiana Bertoni)는 남미가 원산지인 국화과의 감미식물이다. 스테비아추출물 발효액으로부터 세균 23균주와 효모 10균주를 분리하여 일반적인 분류학적 방법과 분자유전학적 방법으로 동정하였다. 스테비아추출물 발효액에서 분리된 균주들은 5속 10종의 세균과 1종의 효모균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6S와 18S rDNA 염기서열 분석에 근거하여 계통수를 작성하였다. 분리균들의 항미생물 활성을 여러 세균과 식물병원성 진균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분리균들 중에서는 Lactobacillus paracasei SB13이 광범위한 세균들에 대해서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는 토양개량을 위한 친환경적 미생물 제제를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Stevia rebaudiana Bertoni의 Steviol 생합성 효소 ent-Kaurenoic Acid 13-Hydroxylase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ent-Kaurenoic Acid 13-Hydroxylase in Steviol Biosynthesis of Stevia rebaudiana Bertoni)

  • ;김근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6호
    • /
    • pp.501-507
    • /
    • 1997
  • 파라과이 원산의 국화과 식물 Stevia rebaudiana Bertoni는 steviol (ent-13-hydroxy kaur-16-en-19-oic acid)을 기본 골격으로 하는 stevia 감미료를 건물 중량의 5-10%를 생합성하여 축적을 한다. 감미성분은 Gibberellin 생합성의 전구체로 알려진 ent-kaurenoic acid (ent-kaur-16-en-19-oic acid; ent-KA)의 7번과 13번의 어느 탄소에 hydroxylation을 시키느냐에 따라 gibberellin 대사와 steviol 대사로 나뉘어진다. ent-KA 13-hydroxylase를 stevia 엽록체의 stroma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했다. Stroma 분획 단백질 $100\;{\mu}g$으로 효소 반응의 cofactor 요구성을 조사해 본 결과, 반응 혼합액에 NADPH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는 85%의 효소활성의 감소를 보였고, NADPH 대신 NADH를 첨가해도 34%의 감소를 보였다. anaerobic 조건에서는 2.1%의 활성을 뛰었다. 이 결과로 ent-KA 13-hydroxylase는 NADPH와 $O_2$ 요구성임을 밝혔다. FAD, FMN, riboflavin을 첨가함으로써 FAD는 1.5배, riboflavin은 1.7배의 효소활성 증가 효과가 나타났다. 효소의 기질 특이성을 조사한 결과, t-cinnamic acid, 4-hydroxyphenyl acetic acid, choline과 resorcinol에는 전혀 활성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14)C]-methyl-KA$를 ent-KA 대신에 기질로 사용했을 때는 16.7% 의 활성이 검출되어 ent-KA 13-hydroxylase는 기질특이성이 높은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Effect of Stevia rebaudiana on the Bioactive Compounds from Agarwood Leaf (Aquilaria spp.) by Lactic Fermentation and Spray Drying

  • Dong, Lieu My;Nam, Doan Trung;Phuong, Tran Thi;Thuy, Dang Kim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01-209
    • /
    • 2021
  • Agarwood (Aquilaria spp) has high economic value. However, essential oil production from agarwood is a time-consuming process. Additionally, agarwood leaves have not been utilized even though they contain various bioactive ingredients. In this study, agarwood leaves were fermented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ATCC 8014 with or without Stevia (4, 8, and 12%; v/v). The fermented fluid was mixed with maltodextrin (15%; w/v) and subjected to spray drying (inlet temperature, 120℃; outlet temperature, 65-70℃). The contents of polyphenols, polysaccharides, saponins, and flavonoids and the viability of L. plantarum were determined. Fermentation enhanced the levels of bioactive compounds. The contents of polyphenol (69.19 ± 4.05 mg GAE/g of sample), polysaccharide (20.75 ± 0.98 mg GE/g of sample), saponin (305.23 ± 4.21 mg OAE/g of sample), and flavonoid (7.86 ± 0.72 mg QE/g of sample), and the viability of L. plantarum (8.72 ± 0.17 log CFU/ml) were markedly upregulated in the samples containing Stevia (12%; v/v). This indicated that the supplementation of Stevia during fermentation decreases the fermentation time (9 h), upregulates bioactive compound production in agarwood leaves, enhances microencapsulation during spray drying, and increases the viability of L. plantarum under simulated gastric digestion conditions.

우유와 커피 모델 시스템에 적용된 저열량 감미 소재의 감미도와 감미질 (Relative Sweetness and Sweetness Quality of Low Calorie Sweeteners in Milk and Coffee Model System)

  • 최지혜;김광표;정서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754-762
    • /
    • 2013
  • 본 실험에서는 바나나향 우유와 커피시스템에 저칼로리 감미료를 첨가할 때 설탕 대비 상대감미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바나나향 우유와 커피시스템에서 유지방과 식물성크림이 각 시스템의 관능적 특성에 끼치는 영향을 함께 보고자 하였다. 감미료의 종류는 설탕과 더불어 대체감미료로 tagatose, xylose, erythritol, sucralose, 그리고 효소처리 stevia를 분석하였다. 바나나향 우유의 경우 설탕 5% 첨가 수준을 기준으로 이전 연구에서 도출된 수용액상의 상대감미도를 적용하여 각 대체 감미료의 농도를 이에 맞게 첨가하였으며 커피시스템의 경우 설탕 5.9% 농도 수준으로 적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 감미료 별 적용된 설탕 대비 상대감미도는 다음과 같다: Tagatose 0.83배, xylose 0.63배, erythritol 0.60배, sucralose 556배, 그리고 stevia 64배이다. 각 감미료가 바나나향 우유시스템과 커피시스템에서 발현되는 단맛강도와 기타 관능적인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묘사분석 전문 패널 10명을 활용하여 묘사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바나나향 우유시스템의 경우 stevia를 제외하고는 일반수용액상의 상대감미도와 동일하였으며 stevia는 상대감미도가 감소하였다. 식물성크림 첨가 커피도 동일한 경향을 보였으나 블랙커피의 경우 stevia 외에 xylose와 tagatose의 상대감미도 또한 감소하였다. 바나나향 첨가 우유시스템의 경우 설탕 첨가 시료와 감미질이 유사한 시료는 tagatose와 sucralose 첨가 시료였던 반면 커피시스템의 경우 tagatose와 erythitol첨가 시료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함량에 따라 바나나향 우유와 커피시스템의 관능적 특성은 매우 달라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수용액상 도출된 감미도가 적용되는 식품시스템에 따라 새롭게 조정되어야 하며 설탕을 대체할 최적 감미료는 적용되는 식품시스템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스테비아 잎 추출물을 첨가한 그릭 요거트의 항산화 활성 변화 (Antioxidant Activity of Greek-style Yogurt with Stevia Leaf Extracts)

  • 윤지우;김하나;하태준;박서희;이세미;안성일;주진우;김거유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4호
    • /
    • pp.263-270
    • /
    • 2016
  • 본 연구는 열수 추출과 에탄올 추출법으로 추출한 스테비아 추출물을 그릭 요거트에 당으로 0.5%, 1% 비율로 첨가하여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과 FRAP 측정법을 통해 환원력을 측정하여 항산화능을 비교하고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대조군에 비해 스테비아 잎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항산화능이 증가하였고 열수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더 항산화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 또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그릭 요거트 에스테비아 잎 추출물을 첨가하여 항산화 기능성이 함유된 발효유로서 에탄올 추출법이 효과적이라 사료된다.

고콜레스테롤혈증 ApoE Knockout Mice에서 기능성 수정과의 간지질 축적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Functional Sujeonggwa Drinks on Hepatic Lipid Accumulation in Hypercholesterolemic ApoE Knockout Mice)

  • 백아란;김미정;정고운;김슬기;이지현;송영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648-1657
    • /
    • 2014
  • 기능성 수정과의 대량생산을 위하여 전통 수정과로부터 계피, 생강 및 설탕을 사용하는 수정과 레시피를 개발하고, 감미료인 stevia와 scFOS를 첨가하여 기능성 수정과 레시피를 개발하였다. 수정과 레시피 개발은 수정과의 특성에 대해 전문 교육을 받은 관능 평가원 10명(총 50회)이 참여하였다. 수정과와 기능성 수정과의 간지질 축적 억제 효과 및 관련 기전 연구를 위해 유전적으로 변형된 마우스에서 4주간 콜레스테롤 식이로 고콜레스테롤혈증(총 콜레스테롤 >1,000 mg/dL)을 유발한 후 6주간 수정과를 경구로 섭취시켰다. 수정과 섭취량은 한국인의 1일 음료 섭취량을 기준으로 산출하였다. 간의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농도는 설탕물을 섭취한 대조군에서 물을 섭취한 정상대조군에 비해 31.4%, 21.2%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동일한 농도의 설탕을 함유한 수정과 섭취에 의해 중성지방 17.9%(P=0.044) 그리고 콜레스테롤 12.6%(P=0.027) 감소하여 수정과의 지질 저하 효과를 확인하였고, 이러한 수정과의 효과는 설탕 함량의 일부를 stevia와 scFOS로 대체한 기능성 수정과군에서 더욱 낮았다. 그러나 시판 수정과의 간지질 농도는 설탕물만 섭취한 대조군과 유사하여 지질 축적 억제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는데, 이는 낮은 생강, 계피 추출물의 양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수정과군들의 FAS, HMGCR 및 SREBP-1, 2의 단백질 발현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특히 기능성 수정과의 효과가 매우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수정과의 기능성은 계피, 생강 및 당 함량의 모든 요인이 함께 작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동일 농도의 설탕을 사용하였을 때 계피 및 생강의 효과는 유의적이었으며, 계피와 생강의 농도를 동일하게 하고 설탕 함량의 일부를 stevia와 scFOS로 대체한 기능성 수정과의 효과는 설탕만 사용한 수정과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간지질 축적 및 관련 효소 및 전사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매우 높았다.

신(新) 감미(甘味) 자원(資源) Stevioside의 안전성(安全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afety of Stevioside as a New Sweetening Source)

  • 이상직;이갑랑;박정융;김광수;채범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24-231
    • /
    • 1979
  • 감미(甘味) 식물(植物) stevia의 추출물(抽出物)(주(主) 감미(甘味) 성분(成分),stevioside)을 흰쥐에 투여함으로써 본 감미 성분의 안전성(安全性)을 검토하였다. 복강내(腹腔內) 주사(注射)로 치사(致死)를 $LD_{50}$를 측정한 결과 추출물(抽出物)로 보아서는 3,400 mg/Kg이고 stevioside로 보면 1,700 mg/Kg이었으며, stevia 추출물의 56일간에 걸친 다량(多量) 구광(口腔) 투여(投與)$(2.5{\sim}5.0\;g/Kg{\cdot}day)$에도 실험 동물의 성장(成長)에 아무 장애(障碍)가 초래되지 않았다. 56일간 구강 투여 후의 전혈(全血) 검사(檢査)(RBC, WBC, Hb 및 Hct), 혈청(血淸) 성분(成分) 분석(分析)(총 단백질, 혈당(血糖), 콜레스테롤 및, GOT 등 17개 조사 항목) 및 간(肝) 조직(組織) 검사(檢査)(간 세포 핵퇴폐(核頹廢)), Kupffer 세포의 증식(增殖), 문맥성(門脈城) 섬유화(纖維化) 등 11개 소견(所見))는 총 33개 항목인데, 그 중 lactate dehydrogenase (LDH) 활성을 제외하고는 모두 대조군(對照群)과 시험군(試驗群) 사이에 유의차(有意差)를 볼수 없었다. 상기한 실험 결과에 입각하여 stevia 추출물 및 stevioside는 흰쥐에 대하여 급성(急性) 및 아급성(亞急性) 독성(毒性)을 발현(發現)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