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reo Lithography Apparatus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5초

투명 재료를 사용하는 광조형 방식 쾌속조형 장비의 성능 비교 시험 (A Benchmark Study on the Stereo-lithography-type Rapid Prototyping Apparatus using Transparent Materials)

  • 김기대;성주형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38-145
    • /
    • 2007
  • Among various rapid prototyping processes, stereo-lithography process which can manufacture transparent prototype is known to be the greatest in the form & dimensional accuracy and surface roughness. In this paper, bench mark tests of 4 stereo-lithography-type rapid prototyping apparatus were carried out using transparent materials. The test includes measurement of mechanical properties, form accuracy, building speed and manufacturing cost. It was observed that ViperPRO of 3D systems is advantageous i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building speed, RM600011 of CMET in sub-milli scale form accuracy and manufacturing cost, and relatively economical Eden500V of Objet is great in tensile strength at room temperature.

광조형을 이용한 마스크리스 패턴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astless Pattern Fabrication using Stereolithography)

  • 정영대;조인호;손재혁;임용관;정해도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03-507
    • /
    • 2002
  • Mask manufacturing is a high COC and COO process in developing of semiconductor devices, because of the mass production tool with high resolution. Direct writing has been thought to be one of the patterning method to cope with development or small-lot production of the device. This stud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direct, mastless patterning process using stereolithography tool for the easy and convenient application to micro and miso scale products. Experiments are utilized by three dimensional CAD/CAM as a mask and photo-curable resin as a photo-resist in a conventional stereo-lithography apparatus. Results show that the resolution of the pattern was achieved about 300 micron because of complexity of SLA apparatus settings, inspite of 100 micro of inherent resolution. This paper concludes that photo resist and laser spot diameter should be adjusted to get finer patterns and the proposed method is significantly feasible to mastless and low cost patterning with micro and miso scale.

  • PDF

RP를 이용한 고차압밸브 디스크의 시제품 제작 시스템 확립 (Establishment of Prototyping System for Drag-Valve Disk Using RP)

  • 최민식;박문선;강범수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61-67
    • /
    • 1998
  • Rapid prototyping becomes widely used in design and manufacturing of mechanical and aerospace engineering. Here a drag valve disk consisted of complicate configuration has designed by CAD, and prototyped by a stereolithography apparatus (SLA) to confirm the design configuration. Also the prototyped valve disk was used for checking if it could be applied for casting from the view point of accuracy, cost, and time. The rapid-prototyped disk by SLA was compared with a high-speed machined disk by MAKINO V55, and it is found that the prototyping of the disk by SLA appears more economical, more accurate and faster than by machining with MAKINO V55.

  • PDF

쾌속조형부품의 표면거칠기와 기계적 물성치에 관한 비교 (Benchmark Study on Surface Roughnes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Rapid Prototypes)

  • 김기대;김정윤
    • 한국공작기계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56-62
    • /
    • 2006
  • Various kinds of rapid prototyping processes are available, such as stereo-lithography apparatus(SLA), fused deposition modeling(FDM), selective laser sintering(SLS), 3 dimensional printing(3DP), and laminated object manufacturing(LOM). In this study, benchmark tests are carried out to obtain detailed informations about surface roughnes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ose parts. Although the patterns and roughness averages of part surface are dependent on the surface direction, the roughness of SLA part is the best and that of FDM or 3DP part is the worst. It is shown that FDM part has an advantage in impact strength, SLS(or EOS) part in compressive strength, and LOM part has an advantage in tensile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but the change of building direction in FDM and LOM processes severely weakens the tensile and impact strengths.

쾌속 조형품의 기계적물성치 비교에 관한 연구 (Benchmark Study on Mechanical Properties of Rapid Prototypes)

  • 김기대;성주형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1-192
    • /
    • 2006
  • In these days, various kinds of rapid prototyping processes are available, such as stereo-lithography apparatus(SLA), fused deposition modeling(FDM), selective laser sintering(SLS), 3 dimensional printing(3DP), and laminated object manufacturing(LOM). For detailed informations about mechanical properties of those parts, benchmark tests are carried out. SLS and EOS part has an advantage in compressive strength, SLA has in hardness, FDM part has in impact strength, and LOM part has an advantage in tensile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The change of building direction in layered manufacturing processes of FDM and LOM severely weakens the tensile and impact strength.

  • PDF

보물 제1925호 금강산 출토 이성계 발원 사리장 엄구 내 유리제 사리병의 복원 및 안정성 연구 (Restoration and Stability of the Glass Sarira Bottle (Treasure No. 1925) from the Sarira Reliquaries Commissioned by Yi Seonggye, Excavated from Geumgangsan Mountain)

  • 나아영;황현성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6권
    • /
    • pp.25-34
    • /
    • 2021
  • 문화재 복원 분야에서 3D 기술이 복원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유리제 문화재의 복원에 관하여 3D 기술이 활용되어 복원된 사례가 적으며 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보물인 금강산 출토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 일괄 중 유리제 사리병의 결손부를 복원하는 과정에 3D 기술을 이용하였다. 보존처리는 3D 프린팅 출력물을 직접적으로 복원제로써 적용하지않고 에폭시계수지로 복제한 복원편으로 결손부를 복원하였다. 보존처리 완료 후 3D 프린팅에 사용되는 재료와 기술방식에 관하여 기존 도자기의 복원재료 중 투명성을 지닌 재료를 선택하여 사용감과 안정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보존처리 완료 후 SLA(Stereo Lithography Apparatus)방식으로 출력한 광경화성 수지,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등 총 5개의 시편을 제작 한 후 96시간까지 자외선에 노출시켜 황변화를 조사하였고, 광경화성수지의 시편은 출력물에 UV차단제를 분무 여부에 따라 2종으로 나누어 자외선에 노출시켰다. 자외선 노출 결과, SLA방식 시편에 UV차단제를 분무한 시편, 에폭시계수지의 시편의 b*값의 변화값이 1 미만으로 황변화에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리제 문화재의 복원제로써 적용 가능한 재료로 보여진다. 유리제 문화재의 형태가 매우 다양하고 복원해야할 부분 또한 다양하고 복잡하여 접근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복원재료에 대해 여러 가지 재료를 염두해두고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의료 영상을 이용한 인체 골 모형 제작의 3차원 프린팅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3D Printing System for Human Bone Model Manufacturing Using Medical Images)

  • 오왕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3호
    • /
    • pp.433-441
    • /
    • 2017
  • 골 모델제작에 사용되는 3차원 프린팅 선택적 레이저 소결(selective laser sintering; SLS) 방식과 광 경화 조형(stereo lithography apparatus; SLA) 방식은 정밀도와 해상도는 좋으나 프린터가 고가이며 운용에 전문지식이 필요하고, 전산화단층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영상을 STL(stereolithography)로 변환하는 프로그램도 고가여서 3차원 프린팅 업체에서 모델을 제작하여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므로 일반적으로 골절수술에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골절환자의 골 모델을 제작하려면 3차원 영상변환프로그램과 3차원 프린팅시스템의 사용이 편리하고 구입 및 운용비용이 저렴해야 하며 큰 골 모델제작이 가능하여야 수술에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ICOM Viewer OsiriX와 와이어형태의 열가소성 재료를 사용하는 용융적층조형(Fused Deposition Modeling; FDM) 방식의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하여 출력 크기에 제한이 없고 적은 비용으로 유지와 제작을 할 수 있도록 일반화하여 많은 병원에서 골절수술에 사용할 수 있도록 골절수술환자의 맞춤형 골 모델을 제작할 수 있는 3차원 프린팅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정형외과학의 교육, 연구, 진료의 전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응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대학병원뿐 아니라 일반병원에서도 편리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UV-경화 폴리머 마이크로 구조물의 응력-변형률 관계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ress-strain relation measurement for micro scale UV-curable polymer structure)

  • 정수정;김재현;이학주;박상후;양동열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92-497
    • /
    • 2005
  • In this study, we propose an advanced nanoindentaion test, Nano Pillar Compression Test (NPCT) to measure a stress-strain relation for micro scale polymer structures. Firstly, FEM analysis is performed to research behavior of micro polymer pillars in several specimen aspect ratios and different friction conditions between specimen and tip. Based on the FEM results, micro scale UV-curable polymer pillars are fabricated on a substrate by Nano Stereo Lithography (NSL). To measure their mechanical properties, uniaxial compression test is performed using nanoindentation apparatus with flat-ended diamond tip. In addition, the dependency of compression properties on loading condition and specimen size are discussed.

  • PDF

응급실 침대 위 흉부전후방향 엑스선 검사를 위한 상의고정장치 개발 (Development of the Upper Wear Fixation Device for Chest AP X-ray Imaging on the Emergency Stretcher Bed)

  • 임우택;홍동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5권3호
    • /
    • pp.205-211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3D printing in the medical health field by developing upper wear fixation device (UWFD), an auxiliary device for shortening chest AP examination time on emergency room beds and non-contact with patients. The standard of hooks was modeled according to the bed frame using the Autodesk Fusion 360. It was printed with Form2 (Formlabs, Somerville, MA, USA), as SLA (stereo lithography apparatus) method, and was washed and hardened using Form Wash and Form Cure. The completed UWFD conducted an online survey on 4 items of stability, convenience, availability, preferenc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 total stability average was 3.93±0.80, the total convenience average was 3.93±0.68, the total availability average was 4.01±0.89, and the total preference average was 3.80±1.08.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suggesting improvements in the general X-ray examination process in the emergency room by designing and making aids to easily fixing the patient's top to the frame of the emergency bed while meeting promptness and non-contact with the patient.

SLA 3D 프린팅 소재의 후처리에 따른 표면특성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in Surface Properties According to Post-treatment of SLA 3D Printing Materials)

  • 배서준;임도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1호
    • /
    • pp.132-13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광경화 3D 프린팅 방식인 SLA (Stereo Lithography Apparatus) 방식 출력물의 후처리 방법에 따른 표면 특성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비교하고, 용도에 맞는 후처리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SLA 방식 출력물은 연마를 통해 표면의 불규칙한 미세구조를 규칙적으로 변화시켜 투명도를 일부 개선할 수는 있었으나, 유리와 같은 충분한 투명도를 확보하기는 어려웠다. 연마에 따른 접촉각 특성 변화는 연마 시간이 증가할 수록 그리고 사용된 사포의 입도가 작을 수록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샘플 간 편차가 크고 평균 77~90°의 접촉각을 나타내어 대부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연마 이외 다양한 방법을 통한 표면처리 방법이 시도되었으며, 시판되는 차량용 흠집제거제나 실리콘 오일 등을 도포하여 쉽고 간단하게 투명도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입도 사이즈를 줄이며 순차적으로 연마한 후 흠집제거제를 사용함으로써 유리와 같은 높은 투명도를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연마와 다양한 방법을 통해 표면처리를 하더라도 접촉각은 90° 이상을 확보하기 어려웠으며 소수성의 특성을 필요로 하는 경우, 본 연구에서 사용된 다양한 방법 외 소수성 코팅과 같은 추가적인 처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