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pwise dissociation constant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새로운 질소-산소(N3O2)계 다섯 자리 리간드의 합성과 중금속(II) 이온들의 착물 안정도상수에 대한 치환기효과 (Synthesis of New Nitrogen-Oxygen(N3O2) Pentadentate Ligands and the Substituent Effect on the Stability Constants of the Heavy(II) Metal Complexes)

  • 김선덕;이혜원;설종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7호
    • /
    • pp.849-860
    • /
    • 2010
  • A new $N_3O_2$ pentadentate ligand, N,N'-Bis(2-hydroxybenzyl)-ethylenetriamine(H-BHET 3HCl) was synthesized. The hydrochloric acid salts of Br-BHET 3HCl, Cl-BHET 3HCl, $CH_3O$-BHET 3HCl and $CH_3$-BHET 3HCl containing Br-, Cl-, H-, $CH_3O-$ and $CH_3-$ groups at the para-site of the phenol group of the H-BHEP were synthesized. The structures of the ligands were confirmed by C. H. N. atomic analysis and $^1H$ NMR, $^{13}C$ NMR, UV-visible and mass spectra. The calculated stepwise protonation constants(${\logK_n}^H$) of the synthesized $N_3O_2$ ligands showed six steps of the proton dissociation. The orders of the overall protonation constants($\log{\beta}_p$) of the ligands were Br-BHET < Cl-BHET < H-BHET < $CH_3O$-BHET < $CH_3$-BHET. The orders agreed well with that of para Hammett substituent constants(${\delta}_p$). The calculated stability constants($\logK_{ML}$) between the ligands and heavy metal ions (Co(II), Ni(II), Cu(II), Zn(II), Cd(II) and Pb(II)) agreed well with the order of the overall proton dissociation constants of the ligands but they showed a reverse order in para Hammestt substituent constants(${\delta}_p$). The order of the stability constants between the heavy metal ions with the synthesized ligands were Co(II) < Ni(II) < Cu(II) > Zn(II) > Cd(II) > Pb(II).

펜타에틸렌헥사아민 킬레이트수지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entaethylenehexaamine Chelating Resin)

  • 김선덕;박정은
    • 분석과학
    • /
    • 제6권5호
    • /
    • pp.443-451
    • /
    • 1993
  • 클로로메틸폴리스틸렌 수지에 펜타에틸렌헥사아민(penten)을 집게형으로 결합시켜 아민 킬레이트 수지($(P)_c$-penten)을 합성하였다. 이 합성된 수지의 단계적 상해리상수 및 금속이온과의 안정도상수를 Bjerrum의 방법으로 결정하였고, 자유 아민인 penten과 비교하였다. 또한 합성된 아민 수지를 이용하여 여러 전이금속을 흡착, 분리실험을 해본 결과 결정된 안정도 상수값과 일치함을 알았다.

  • PDF

치환기를 가진 일곱 자리 질소-산소(N4O3)계 리간드 합성과 전이금속(II) 이온 착물의 안정도상수 결정 (Synthesis of Heptadentate Nitrogen-Oxygen Ligands (N4O3) with Substituting Groups and Determination of Stability Constants of Their Transition Metal(II) Complexes)

  • 김선덕;이도협;설종민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541-550
    • /
    • 2010
  • 새로운 일곱 자리 질소-산소($N_4O_3$)계 리간드 N,N'-Bis(2-hydroxybenzyl)-1,3-bis[(2-aminoethyl)amino]-2-propanol(H-BAP 4HCl)를 합성하였다. H-BAP 4HCl의 페놀 수산기의 para위치에 브롬, 염소, 메톡 시기 및 메틸기를 가진 Br-BAP 4HCl, Cl-BAP 4HCl, $CH_3O$-BAP 4HCl 및 $CH_3$-BAP 4HCl 염산염을 합성 하였다. 각 리간드의 화학구조는 C, H, N 원소분석법, $^1H$-NMR 및 $^{13}C$-NMR 분광법, 적외선 분광법 및 질량분석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합성된 $N_4O_3$계 리간드의 전위차 적정 법을 이용하여 계산된 양성자 단계 해리상수는 여섯 단계의 해리상수(${\logK_n}^H$)값을 나타내었고, 각 리간드의 양성자 총괄 해리상수($log{\beta}_p$) 값은 Br-BAP < Cl-BAP < H-BAP < $CH_3O$-BAP < $CH_3$-BAP의 순서로 para Hammett 치환기상수($\sigma_p$) 값의 순서와 역순으로 잘 일치하였다. 각 리간드들과 전이금속(II) 이온들의 착물 안정도상수($logK_{ML}$) 값의 크기순서는 Co(II) < Ni(II) < Cu(II) > Zn(II) > Cd(II) > Pb(II)로 나타났다. 이때 각 리간드들과 전이금속(II) 이온들의 착물 안정도상수 값은 리간드의 총괄 해리상수 값의 크기순서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여러 자리 산소-질소계 시프염기 리간드 구리(II) 착물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Copper(II) Complexes with Multidentate N,O-Schiff Base Ligands)

  • 김선덕;장기호;김준광;이승우;정재정
    • 분석과학
    • /
    • 제9권4호
    • /
    • pp.345-354
    • /
    • 1996
  • 산소-질소를 포함하는 여러 자리 시프염기 리간드인 비스-살리실알데히드-에틸렌디이민(SED), 비스-살리실알데히드-프로필렌디이민(SPD), 비스-살리실알데히드-디에틸렌트리이민(SDT), 비스-살리실알데히드-트리에틸렌테트라이민(STT) 및 비스-살리실알데히드-테트라에틸 렌펜타이민(STP) 등을 합성하고 이들 리간드들을 에탄올과 70% 디옥산 수용액에서 전위차법으로 넷, 다섯 및 여섯 단계의 양성자 해리상수값을 구하였다. 구리(II)-시프염기 착물의 안정도상 수값의 크기는 Cu(II)-SPD${\leq}$Cu(II)-SED~STT${\leq}$Cu(II)-STP 순서로 음전위쪽으로 이동하였다. Cu(II)-시프염기 착물의 산화-환원 과정은 일전자 반응이었다.

  • PDF

폴리아민류를 작용기로 하는 킬레이트수지의 합성 및 분석적 응용 (Synthesis and Analytical Application of Chelating Resins Containing Polyamines)

  • 김선덕;박정은;박면용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652-660
    • /
    • 1992
  • 폴리아민 리간드인 diethylenetriamine(dien), triethylenetetramine(trien), tetraethylenepentamine(tetren), 및 pentaethylenehexamine(penten)을 Chloromethylated Polystyrene $({\circledP}-) 수지에 반응시켜 각기 {\circledP}_L-Dien, {\circledP}_L-Trien, {\circledP}_L-Tetren 및 {\circledP}_L-Penten 수지를 합성한 후 Bjerrum법으로 pH를 측정하여 산해리상수 및 금속과의 안정도상수를 결정하였으며, Van't Hoff 식에 의해 {\Delta}H와 {\Delta}G도 구하였다. 이들 수지의 안정도상수(log k1)는 금속이온의 종류에 따라 Cu(Ⅱ) > Ni(Ⅱ) > Cd(Ⅱ) > Zn(Ⅱ) > Co(Ⅱ)의 순으로 감소하였으며, 수지중 주게 원자인 질소수가 증가함에 따라 {\circledP}_L-Dien < {\circledP}_L-Trien < {\circledP}_L-Tetren < {\circledP}_L-Penten의 순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pH 변화에 대한 금속이온의 흡착량 및 분리도를 시험해 본 결과 이들 금속이온과의 안정도 상수값의 순서와 일치하였다.

  • PDF

거대고리 리간드와 금속이온과의 착물에 관한 반응속도론적 연구 (Kinetic Study of Macrocyclic Ligand-Metal Ion Complexes)

  • 조문환;김진호;박휴범;김시중
    • 대한화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66-370
    • /
    • 1989
  • 새로운 거대고리 리간드 1,15,18-triaza-3,4 : 12,13-dibenzo-5,8,11-trioxa-cycloeicosane(NdienOdien$H_4$=$N_3O_3$)를 합성하여 $25^{\circ}C$ 95% 메탄올 용액에서 전위차계를 이용하여 양성자 첨가반응의 평형상수를 구한 결과 log $K_1$ ; log $K_2$ ; log $K_3$는 9.1; 8.1; 3.6이었다. 또한 위의 리간드와 이미 합성된 리간드 1,12,15-triaza-3,4;9,10-dibenzo-5,8-dioxa-cycloheptadecane(NdienOen$H_4$=$N_3O_2$)를 각각 Ni(II), Cu(II)의 금속이온과의 착물을 합성하여 수용액에서 산을 가해 착물의 산해리반응 속도 상수를 여러온도에서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활성화에너지($E_a$)와 활성화파라메타 ${\Delta}H^{\neq}$, ${\Delta}S^{\neq}$를 구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자료로부터 이 반응계의 타당한 해리메카니즘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