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nosis of coronary artery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7초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을 가진 환자에서 심장 CT의 역할 (The Potential Role of Cardiac CT in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 이상현;추기석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1호
    • /
    • pp.28-41
    • /
    • 2022
  •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은 관상동맥 경화반의 갑작스러운 파열과 관련된 3가지 유형의 관상동맥 질환을 의미하며 임상적으로는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에서 비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 또는 불안정성 협심증 등으로 표현된다. 심장 CT의 기술 발전을 통해 심장 CT는 관상동맥 내 죽상동맥경화반의 정량화 및 특성을 평가할 수 있게 되었으며, 현재까지 낮은 감쇠의 경화반, 냅킨 반지 표시, 양성 리모델링, 점상 석회화 및 증가된 혈관 주변 지방 감쇠가 심장 CT에서 경화반 파열을 의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심장 CT는 관상동맥의 혈관협착정도를 진단하는 것을 넘어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을 진단하는데도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관상동맥 질환 판독과 자료 체계와 CT 혈관조영술에서의 경계성 관상동맥 병변 (Visualization of Borderline Coronary Artery Lesions by CT Angiography and Coronary Artery Disease Reporting and Data System)

  • 박혜원;오유환;이기열;용환석;김채리;황성호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297-307
    • /
    • 2024
  • 관상동맥 질환은 죽상동맥경화(atherosclerosis)로 인해 혈관의 내강이 좁아지면서 심근허혈 또는 경색까지 유발할 수 있는 질병이다. 이런 관상동맥 질환은 조기에 진단해서 치료하면 그만큼 예후가 좋기에 정확한 진단이 환자 관리에서 매우 중요하다. 전산화단층촬영 혈관조영술(CT angiography; 이하 CTA)은 높은 해상도와 대조도를 통해 혈관의 구조 및 협착 정도를 세밀하게 평가할 수 있는 비침습적 영상 진단법이다. 여러 임상시험들이 관상동맥 질환에 대한 조기 진단과 평가에 있어 관상동맥 CTA의 유용성을 보고하였다. 최근에 관상동맥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들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처치를 위해 CTA에 기반한 관상동맥 질환 진단 분류 체계인 관상동맥 질환 판독과 자료 체계(coronary artery disease-reporting and data system; 이하 CAD-RADS)가 만들어졌다. 이런 CAD-RADS는 관상동맥 CTA를 기반으로 하지만 CAD-RADS는 CTA 결과만으로 관상동맥의 정확한 상태를 해석하는 것이 어려운 경계선 범주를 포함하고 있다. 본 종설은 침습적 관상동맥 조영술 진행 여부를 결정하기에 앞서 추가검사가 필요한 경계선상 CAD-RADS범주들의 CTA의 소견과 이들에 대한 대처를 논하고자 한다.

선천성 대동맥 판막 이상과 무명동맥 협착이 동반된 미만성 대동맥 판막상부 협착증 치험 1례 (Diffuse Supravalvar Aortic Stenosis Associated with Congenital Anomaly of the Aortic Valve(Williams Syndrome) -1 case report-)

  • 김수철;전순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9호
    • /
    • pp.748-751
    • /
    • 2000
  • The diffuse form of supravalvar aortic stenosis represents a surgical challenge when the ascending aorta, aortic arch, proximal descending thoracic aorta and arch arteries are involved. It can be treated by a variety of surgical approaches. We report a case of severe diffuse supravalvar aortic stenosis combined with an aortic valve anomaly and occlusion of the right coronary artery ostium in a 14-year-old boy with Williams syndrome. We enlarged the aortic root(Nick's procedure), ascending aorta, aortic arch, proximal descending thoracic aorta, and innominate artery with patches and replaced aortic valve with 19 mm St. Jude valve. Deep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and retrograde cerebral perfusion were used during repair of the arch and arch artery.

  • PDF

제4형 이중 좌전하행 관상동맥: 드문 선천성 관상동맥 기형에 대한 증례 보고 (Type 4 Dual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A Case Report of a Rare Congenital Coronary Anomaly)

  • 장선웅;김기환;이병훈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428-433
    • /
    • 2024
  • 이중 좌전하행 관상 동맥은 일반 인구에서 약 1%의 유병률을 보이는 드문 선천성 기형이다. 지금까지 이중 좌전하행 관상동맥 기형은 10가지 유형으로 보고되었다. 그중 제4형 이중 좌전하행 관상동맥은 가장 희귀한 유형 중 하나이다. 이중 좌전하행 관상동맥에 대한 지식과 인식은 정확한 진단과 관상동맥 우회 수술 및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을 계획하는 데 중요하다. 저자들은 수개월 동안 소화불량과 발한을 주소로 내원하였고 짧은 좌전하행 관상동맥의 주요 대각분지에 약 50%-70% 협착이 있었던, 제4형 이중 좌전하행 관상동맥 기형을 가진 59세 남성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관상동맥 우회술후 관상동맥 조영검사 소견 (Coronary Angiography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최진호;박계현;전태국;이영탁;박표원;채헌;이종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3호
    • /
    • pp.182-187
    • /
    • 2002
  • 배경: 그간 관상동맥 우회수술후의 관상동맥 조영술 결과는 주로 우회도관의 개존률에 초점을 맞추어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수술후의 관상동맥 조영술 검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유용한 정보의 폭은 훨씬 넓으며, 이는 수술 전략 설정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1월부터 1999년 3월까지 관상동맥 우회수술을 시행받고 퇴원한 환자 448명중 1개월 이상 경과후 관상동맥 조영술 추적이 이루어진 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후 평균 10.6개월 경과시 관상동맥 조영술 검사가 시행되었고 검사 이유는 협심증의 잔존이나 재발이 54명, 심근관류검사나 초음파검사상의 이상이 13명, 단순한 추적목적이 6명이었다. 결과: 우회도관 개존률은 단순추적검사 환자들에서는 80.9%(내흉동맥 100%, 복재정맥 75.0%), 심근 허혈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환자들에서는 61.6%(내흉동맥 81.1%, 복재정맥 55.3%)였다. 50명(68.5%)의 환자에서 우회도관 조성 근위부의 관상동맥 내경협착이 20% 이상 진행한 곳이 한 군데 이상 나타났다. 수술 전 완전 폐쇄되지 않았던 201개의 관상동맥 분지중 95개(47.3%)에서 협착 정도가 20%이상 진행하였고 이중 64개(31.8%)는 완전 폐쇄로 진행하였다. 협착이 진행하는 빈도는 수술후 경과한 시간이나 수술전의 협착정도와는 연관이 없었고 우회도관이 폐쇄된 경우(36.3%)보다 개통되어 있는 상태(56.5%)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p<0.05). 내흉동맥과 복재정맥의 비교시 개존률(83.3% vs 56.6%) 뿐만 아니라 경피적 중재술이 필요한 경우 성공적으로 시행될 확률도 큰 차이를 보였다(100% vs 62%, p<0.05). 결론: 관상동맥 우회술 후 비교적 조기에 우회도관 조성 근위부의 관상동맥 협착이 진행하는 빈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난 만큼 복재정맥의 불량한 장기 개존률을 고려할 때 중등도 이하의 협착을 가진 관상동맥 분지의 우회로 조성에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 결과 관상동맥 우회수술시 좌전하행지 우회로의 중요성과 함께 내흉동맥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양한 비죽상경화 관상동맥 질환의 CT 영상 소견 (CT Imaging Findings in Non-Atherosclerotic Coronary Artery Disease)

  • 박종민;박병건;강은주;이종민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1호
    • /
    • pp.70-83
    • /
    • 2022
  • 급성 관동맥 증후군(acute coronary syndrome)은 대부분 죽상경화 관상동맥 질환(atherosclerotic coronary artery disease)에 의해 발생하지만, 비죽상경화 관상동맥 질환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고식적 관상동맥 혈관조영술은 동맥 내강의 협착이나 확장 등의 형상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고, 동맥경화반이나 동맥벽에 대한 평가가 어려워 관상동맥 이상의 원인 질환의 진단에 낮은 특이도를 보인다. 반면, 관상동맥 전산화단층촬영 혈관조영술은 혈관경화반의 특징, 혈관벽의 조영증강뿐 아니라 연접한 대동맥이나 폐동맥의 변화 등도 함께 관찰할 수 있어, 비죽상경화 관상상동맥질환의 진단 및 다양한 원인 감별에 도움이 된다. 따라서 이종설에서는 다양한 비죽상경화 관상동맥 질환들을 소개하고, 이의 병태생리 및 대표적인 관상동맥 전산화단층촬영 혈관조영술의 영상 소견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Hemodynamics of a Connecting conduit Between the Left Ventricle and the Left Decending Coronary Artery

  • Shim, Eun-Bo;Sah, Jong-Yub
    • International Journal of Vascular Biomedical Engineering
    • /
    • 제1권2호
    • /
    • pp.20-29
    • /
    • 2003
  • A new treatment for coronary artery occlusive disease is being developed in which a shunt or conduit is placed directly connecting the left ventricle with the diseased artery at a point distal to the obstruction. To aid in assessing and optimizing its benefit, a computational model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was developed and used to explore various design conditions.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in complete LAD occlusion, flow can be returned to approximately 65% of normal if the conduit resistance is equal for forward and reverse flow, increasing to 80% in the limit in which backflow resistance is infinite. Increases in flow rate produced by asymmetric flow resistance are considerably enhanced in the case of a partial LAD obstruction since the primary effect of resistance asymmetry is to prevent leakage back into the ventricle("steal") during diastole. Increased arterial compliance has little effect on net flow with a symmetric shunt, but leads to considerable augmentation when the resistance is asymmetric.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LV-LAD conduit will be beneficial when stenosis resistance(Rst) > 27 PRU if resistance is symmetric.

  • PDF

체외순환을 사용하지 않은 관상동맥 우회술 -2례 보고- (Coronary Revascularization without Extracorporeal Circulation -Two Case Reports)

  • 홍종면;전용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1호
    • /
    • pp.1132-1135
    • /
    • 1997
  • 충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는 좌전행지에 99%, 제2대각지에 90%, 우측 관상동맥에 50% 이하의 협착과 경피적 관상동맥 풍선 성형술 시행도중 동정지와 계속적인 서맥, 심방 및 심실조기박동의 부정맥을 보인 63 세의 여자 환자와 좌전행지의 근위부에서 원위부위까지 95% 정도의 협착과 제1대각지의 분지부위에 95% 이상의 협착을 가진 75세의 남자환자를 인공심폐기를 사용하지않고 심장이 박동되는 상태에서 정중 흉골절개를 통해 얻은 좌측 내유동맥과 우측 복재정맥을 이용해 좌전행지와 대각지에 성공적으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였다.

  • PDF

Rastelli 수술법을 이용한 활로씨 4 증후군-치험 4예- (The Rastelli operation for tetralogy of Fallot)

  • 임승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5권4호
    • /
    • pp.394-401
    • /
    • 1982
  • Recently, 4 cases underwent successful surgical correction of tetralogy of Fallot combined with pulmonary atresia in 2 cases, with abnormal coronary artery in another 2 cases. The operation consisted of a patch repair to the ventricular septal defect. The pulmonary atresia and stenosis were corrected with the method of external connection, from the right ventricle to the pulmonary artery using the valved conduits.

  • PDF

기능적 단일폐 환자에서 심폐체외순환 없이 시행한 관상동맥우회술 - 치험 1예 -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in a Patient with a Functional Single Lung - A case report-)

  • 윤영철;위진홍;한일용;전희재;황윤호;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4호
    • /
    • pp.492-495
    • /
    • 2008
  • 이전의 폐질환이나 전폐절제슬로 인해 기능적 단일폐를 가진 환자는 해부학적 혹은 생리학적으로 큰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이 환자를 대상으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국내에서는 아직 보고된 바 없는 극히 드문 경우이다. 환자는 71세 여자로 과거력상 13년 전 폐결핵으로 좌측폐가 완전히 소실되었으며 2주전부터 흉통이 점차 심해져 입원하였다. 관상동맥 조영술상 좌주관상동맥 개구부 80%, 좌전하행지 $90{\sim}95%$, 좌측 회선지 90%, 우측 관상동맥 90% 협착을 보여 관상동맥우회술을 계획하였다. 정중 흉골절개를 통해 정맥 이식편을 이용하여 심폐체외순환 없이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별다른 합병증 없이 호전된 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