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m wood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산 목본식물에 대한 계통분류학적 연구 (Systematic Studies on Some Korean Woody Plants -Anatomy of Lauraceous Stem Woods-)

  • Park, Sang Jin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7권2호
    • /
    • pp.81-94
    • /
    • 1984
  • Anatomical features and cell dimensions of the secondary xylem in the stem of the korean Lauraceas including 6 genera and 12 species were investigated under a light 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Key to identification among genera or species was made from the anatomical features and systematic correlation investigated. The stem woods of Lauraceae exhibit the following characters: (1) quite evenly distributed pores (diffuse-porous wood) (2) perforation plates simple or occasionally scalariform in the latewood vessels (3) almostly 2-seriate and heterocellular rays (4) abundant paratracheal-vasicentric parenchyma (5) oil cells. Especially, the appearance of simple perforation plates suggest the Lauraceae to be more or less advanced. It is considered that the series of specialization in the Lauraceae from the perforation plates and the height of rays is as LinderalongrightarrowNeolitsealongrightarrow(Machilus, Litsea, Iozoste)longrightarrowCinnamomum, and Lindera sericea is the most pribitive in the Lauraceae.

  • PDF

주요 수종별 재적의 상업적 이용율 추정 (Estimation of Merchantable Volume Ratio by Major Species)

  • 손영모;강진택;원현규;전주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3호
    • /
    • pp.330-335
    • /
    • 2016
  • 본 연구는 중부지방소나무 등 주요 5개 수종에 대하여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재적율인 조재율을 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이용한 자료는 최소 1,300여본 이상의 전국적인 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적용한 추정식은 임목재적 중 목질부 재적을 나타내는 목질부 재적율 추정식과 목질부 재적에 대한 이용재적을 나타내는 원목이용율 추정식이었으며, 이 두가지 추정식의 곱으로 조재율을 도출하였다. 흉고직경에 의한 목질부 재적율(W)은 $W=\frac{a_1}{1+a_2/D}+\frac{b_1}{1+b_2/D}$의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이 식의 적합도는 수종별로 99% 이상이었고 기타 검정통계량도 식의 적합성을 충분히 설명하고 있었다. 목질부 재적에 대한 원목이용율(M)은 $M=e^{a_1\(\frac{d}{D}\)^{a_2}}-(b_0+b_1D+b_2D^2+b_3D^3)$ 모형을 적용시켜 적합도는 수종별로 96% 이상이었다. 이 두가지 추정식을 이용하여 5개 수종별로 상업적 재적이용율인 조재율을 산정하고 조재율표를 작성하였다. 분석결과, 조재율은 침엽수와 활엽수 임상별로는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존 침엽수, 활엽수 조재율과의 차이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산부산물을 이용한 원예용 혼합상토 개발 (Utilization of Wood by-product and Development of Horticultural Growing Media)

  • 정지영;임기병;김지수;박한민;양재경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3호
    • /
    • pp.435-442
    • /
    • 2015
  • 본 연구는 임산부산물인 톱밥과 목질섬유를 원예작물용 혼합상토 원료로서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 및 배추 육묘를 위한 종자발아 단계부터 생육과 관련된 실험을 수행하였다. 톱밥 및 목질섬유를 기존 사용되고 있는 피트모스와 물리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총 탄수화물 함량은 톱밥과 목질섬유가 각각 58.9, 41.1%로 피트모스(33.9%)보다 높은 총 탄수화물 함량을 나타냈고, C/N비는 톱밥 425.1, 목질섬유 240.8로 피트모스(56.3)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또한 피트모스의 무기성분함량은 K($0.02mg{\cdot}100g^{-1}$), Ca($0.57mg{\cdot}100g^{-1}$), Mg($0.13mg{\cdot}100g^{-1}$) 성분만을 소량 함유하고 있으나, 톱밥 및 목질섬유는 작물 재배 시 무기영양보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K, Ca, Mg, P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톱밥은pH 4.8로 피트모스(pH 5.1)와 목질섬유(pH 5.9)에 비해 산성을 나타내었고, 생장저해물질인 페놀성 화합물 함량도 톱밥이 $181.8mg{\cdot}g^{-1}$으로 피트모스 $103.1mg{\cdot}g^{-1}$ 및 목질섬유 $29.8mg{\cdot}g^{-1}$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톱밥의 공극률 및 수분보유력은 각각 82.5, 47.1%, 목질섬유의 공극률 및 수분보유력은 각각 90.6, 56.2%로서 피트모스의 공극률(89.9%) 및 수분보유력(47.0%)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톱밥 및 목질섬유를 혼합한 상토에서 작물생육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배추를 육묘 하여 발아율, 엽면적 및 초장을 측정한 결과 목질섬유 혼합상토는 피트모스와 유사한 수준의 생육 특성을 나타내었고, 톱밥 혼합상토는 피트모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생육특성을 나타냈다. 이는 물리적인 특성보다 화학적인 특성, 특히 원료의 pH 또는 생장저해물질의 함량이 작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물리화학적 특성 및 생육 특성의 결과를 고려했을 때, 목질섬유는 피트모스를 부분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혼합상토 원료로서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천 의림지 소나무 연륜생장 쇠퇴도 분석을 통한 고사 연도 및 원인규명 연구 (Examination of Death Years and Causes by the Analysis of Growth Decline in Tree Rings of Pinus densiflora from the Euilimji Lake Park in Jecheon, Korea)

  • 서정욱;박원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0
    • /
    • 2011
  • Six pine trees (Pinus densiflora S. et Z.) at the Euilimji Lake Park in Jecheon were collected to investigate tree ages, growth decline pattern and the years of death. Tree-ring measurement was carried out using the Lintab with a resolution of 0.01mm. Tree age were 80-176 years. Cross-dating between the tree-ring series of each tree and the local chronology from Worak Mountain resulted that four and two trees died in 1998 and 1999, respectively. Three dead trees had only formed earlywood in the outermost tree ring and the others had incomplete latewood. Therefore, it was proven that the former trees died between spring and early summer, whereas the later ones died during late summer and/or autumn. The simultaneous deaths of trees suggest the insect damage and/or drought may be the crucial reason of the death, but frequent reaction woods, which were formed by leaning stem, and scars formed by physical damage may also contribute to the death.

Secondary Metabolites with Anti-complementary Activity from the Stem Barks of Juglans mandshurica Maxim

  • Li, Zi-Jiang;Chen, Shilin;Yang, Xiang-Hao;Wang, Rui;Min, Hee-Jeong;Wu, Lei;Si, Chuan-Ling;Bae, Yo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2호
    • /
    • pp.118-124
    • /
    • 2018
  • Juglans mandshurica is a fast growing hard species, which is a tree in family of Juglandaceae and has a wide distribution in China, Korea and eastern Russia. Plant materials from J. mandshurica have extensively been used in folk medicines to prevent or cure gastric, esophageal, lung and cardiac cancer. As one chain of our searching for anticomplementary agents from natural sources, two epimeric ellagitannins, [2,3-O-4,4',5,5',6,6',-hexahydroxydiphenoyl (HHDP))-(${\alpha},{\beta}$)-D-glucose] (I) and pedunculagin (II) were purified from 70% acetone extracts of the stem barks of J. mandshurica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approaches.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isolated compounds were characterized by MS, NMR, and a careful comparation with published literatures. The epimeric ellagitannins I and II exhibited inhibitory properties against a classical pathway of complementary system with 50 % inhibitory concentrations ($IC_{50}$) values of 65.3 and $47.7{\mu}M$, respectively, comparing with riliroside ($IC_{50}=104{\mu}M$) and rosmarinic acid ($IC_{50}=182{\mu}M$), which were used as positive controls. Thus, the work indicated both the two secondary metabolites possess excellent inhibitory activity and might be developed as potential anticomplementary chemicals.

Steam Treated Sawdust as Soilless Growing Media for Germination and Growth of Horticulture Plant

  • Jung, Ji Young;Ha, Si Young;Yang, J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6호
    • /
    • pp.857-871
    • /
    • 2017
  • The major substrates used in soilless growing media are peat moss and perlite, where peat moss is a limited and expensive natural resource. Determination of appropriate substrates based on technical and economic feasibility is the vital aspect of research and the key to success in any soilless production system. This research work was performed to evaluate different low-cost and sustainable alternative substrate as soilless growing media for horticulture pla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sawdust species and steam treatment, f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growth of horticultural plant. This study involves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growth test of four substrate (pine sawdust, oak sawdust, steamed pine sawdust and steamed oak sawdust) in order to evaluate their use as components of growing media. Steamed oak sawdust ($121^{\circ}C$, 30 min) showed adequat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compared to peat moss for their use as growing media. The growing media were prepared using different mixture proportion to grow Brassica campestris L., Festuca arundinacea and Lespedeza cyrtobotrya Miq. The highest germination, stem length and leaf area of Brassica campestris L., Festuca arundinacea and Lespedeza cyrtobotrya were observed in 30 minute steamed oak sawdust mixture growing media. The steam treatment condition of sawdust used in the growing media significantly positive affected the germination, the stem length and the leaf area.

Variations in Growth Characteristics and Stress-wave Velocities of Zelkova serrata Trees from Eight Half-sib Families Planted in Three Different Initial Spacings

  • Prasetyo, Agung;Endo, Ryota;Takashima, Yuya;Aiso, Haruna;Hidayati, Fanny;Tanabe, Jun;Ishiguri, Futoshi;Iizuka, Kazuya;Yokota, Shins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1권3호
    • /
    • pp.235-240
    • /
    • 2015
  • Zelkova serrata is an important hardwood species for the timber industry in Japan. Tree breeding programs for this species have mainly focused on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stem diameter (D), tree height (TH), stem form, and branching. In order to fulfill timber industry needs, wood quality improvement should be included in the tree breeding program of this species. In the present study,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D and TH, and the stress-wave velocity (SWV), which is highly correlated with Young's modulus of wood, were measured for 20-year-old Z. serrata from eight half-sib families planted in a progeny test site with three different initial spacings.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measured characteristics were found among the eight half-sib families. The variance components of the half-sib families for D, TH, and SWV were 27.2%, 47.3%, and 33.5%,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ll the measured characteristics of this species could be improved by tree breeding programs. In addition, only low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obtained betwee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SWV, indicating that extensive selection on SWV in tree breeding programs may not always lead to a reduction in yield volume.

간척지에서 재배된 양마(kenaf)의 해부학적 특성(II) - 구성 비율 및 세포의 치수 -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Kenaf Grown in Reclaimed Land - Volumetric Composition and Cell Dimension -)

  • 이선화;권성민;엄기증;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4호
    • /
    • pp.11-18
    • /
    • 2008
  • 국내 간척지에서 생장한 양마(kenaf)의 생장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전보(이 등, 2007)와 동일한 시료를 이용하여 생장기간과 높이에 따른 조직 및 구성 세포의 비율, 섬유 길이 및 도관 직경을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세포벽 중의 셀룰로오스 상대결정화도와 결정 폭을 X선회절법으로 측정하였다. 양마의 구성 비율은 사부 10~15%, 목부 66~82%, 수 7~19% 정도였는데, 줄기 높이와 생장기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사부내에서는 사부방사조직이 약 50%, 인피섬유가 약 20%, 피층, 사관 등 기타 요소가 30%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목부의 구성 비율은 목부섬유가 약 75%, 방사조직이 약 15%, 도관이 약 10%를 차지하였다. 양마목부의 세포벽 비율은 기부 30.92%, 최상부 46.40%로 최상부가 기부보다 높게 나타났다. 인피섬유의 길이는 줄기 기부에서 약 2.8 mm이고 높이가 증가할수록 감소되며 생장기간이 길어지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목부섬유 길이는 생장기간과 줄기 높이에 관계없이 약 0.9 mm의 안정된 값을 나타내었다. 도관의 방사 및 접선방향 직경은 생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고, 줄기 높이가 높아질수록 감소하였다. 상대결정화도는 사부에서 70~79%, 목부에서 50~56%로 사부가 높았고, 줄기 기부가 상부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셀룰로오스 결정 폭은 사부와 목부에서 약 3 nm로 거의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각 조직과 조직 구성 요소의 비율 및 세포의 치수는 양마의 줄기 높이와 생장기간에 따라 차이를 보였지만 셀룰로오스의 결정구조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남 산청지역 리기다소나무림의 지상부 바이오매스와 순생산량 추정 (Estimation of Aboveground Biomass and Net Primary Production for Pinus rigida in Sancheong, Gyeongnam Province)

  • 서연옥;이영진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2호
    • /
    • pp.15-2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남 산청 지역에 분포하는 40년생 리기다소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지상부 바이오매스와 순생산량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지상부 바이오매스량은 $127.7Mg\;ha^{-1}$으로 나타났고, 줄기 $103.1Mg\;ha^{-1}$, 가지 $17.2Mg\;ha^{-1}$, 잎 $7.4Mg\;ha^{-1}$으로 나타났으며, 바이오매스 함량은 줄기목질부 (71.1%) > 가지 (13.5%) > 줄기 수피 (9.6%) > 잎 (5.8%)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상부 순생산량은 $10.4Mg\;ha^{-1}$로 나타났고 줄기 $3.6Mg\;ha^{-1}$, 가지 $2.2Mg\;ha^{-1}$, 1년생 소지 $1.3Mg\;ha^{-1}$, 잎 $2.8Mg\;ha^{-1}$로 나타났다. 순생산량 함량은 줄기 목질부 (34.6%) > 잎 (26.9%) > 가지 (21.2%) > 소지 (12.5%) > 줄기 수피 (4.8%) 순으로 나타났다.

잣나무의 재질(材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2보(報)) -수간(樹幹)의 구조적(構造的) 형질(形質)- (Studies on Wood Quality of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II) -On the Gross Structural Features of Stem -)

  • 이원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7-22
    • /
    • 1973
  • 잣나무 인공단순림(人工單純林)에서 수간(樹幹)의 세장도(細長度)와 편심도(偏心度)를 조사(調査)한바, 우세목(優勢木)의 수간직경(樹幹直徑)과 지상고(地上高)는 대략 평행적 관계이고 지상고(地上高)가 낮은 부위(部位)는 편심(偏心)의 정도(程度)가 $R_1$방향(方向)으로 심하고 수목(樹木)의 심재(心材)는 비대생장(肥大生長)이 심(甚)할수록 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