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m dry weight

검색결과 454건 처리시간 0.021초

Effects of Photoperiod and Shading on Growth and Yield of Licorice

  • Han, Sang-Sun;Kim, Yeon-Bok;Lee, Sang-Yong;Chang, Kwang-Jin;Lee, Han-Bum;Lee, Ki-Cheol;Park, Cheol-Ho
    • Plant Resources
    • /
    • 제4권1호
    • /
    • pp.13-25
    • /
    • 2001
  • Growth and yield of licorice were investigated under the different conditions of photoperiod and shading in order to establish its cultural practice for the domestic production with the aim to substitute the import. The photoperiod was adjusted to 8,10, and 12 h by shielding plants from the light with blackout curtain. Large seedlings(11-20g) appeared to be affected by photoperiod since around 65 days. Most of growth parameters, including plant height, number of leaf, fresh and dry weight of plant and root, were the highest in 12 h photoperiod among all the photoperiod levels, excepting stem diameter which was the highest in 10 h photoperiod(4.5mm). Each photoperiod was similar to each other in root length and diameter. Small seedlings(4-l0g) showed a similar trend to large seedlings. The results from field photoperiod experiment demonstrated that 12 h photoperiod was also the best among three photoperiod treatments in plant height, stem diameter, number of leaf, root length, fresh and dry weight of plant and root. The effect of shading was tested under the three levels of control (0%), half-shading (55%), and full shading (90%). Shading remarkably suppressed the growth and yield, compared to no-shading. Although plant height and root length were little affected by the shading, stem and root diameters were heavily reduced.

  • PDF

남부지방에서 형개의 파종기가 주요형질과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wing Date on Growth and Yield of Schizonepeta tenuifolia Briquet in Southern Part of Korea)

  • 김상곤;권병선;박희진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0년도 제7차 국제 심포지움(생약자원개발에 관한연구) 및 추계정기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53-59
    • /
    • 2000
  • 남부지방에 형개의 직파 재배의 적정 파종기를 구명하여 재배기술을 개선, 보완하고 수량을 증대시켜 안정 생산에 기여하고자 실시한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기가 빠른 시험구일수록 출현일수도 빠르고 개화기도 빨랐으며 출현 소요일 수와 개화 소요일수도 길었는데 반해 파종기가 늦은 시험구일수록 출현일수는 늦고 개화기간도 늦었으며 출현 소요일수와 개화일수는 짧았다. 2.수량구성 형질에서 경장, 분지수, 수장, 직경, 절수 및 수수는3월 30일 파종에서부터 4월 30일 파종까지는 높았으나 이보다 늦은 5월 10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파종구에서는 낮았다. 3. 10a당 생경수량은 3월 30일 파종부터 4월 30일 파종까지가 2, 107kg 이상의 높은 수량을 올렸고 건경수량 역시 1, 111.9kg 이상의 높은 수량성을 나타내 보였다.

  • PDF

생장 조절제(B995.CCC) 산포가 대두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owth Retardants B995 and CCC on the Growth arid Yield of Soybean)

  • 위성옥;최원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85-290
    • /
    • 1984
  • 대두에 왜화제인 B 995와 CCC를 살포시기별(본엽 4, 5, 6 매), 농도별 (500, 1000, 2000, 3000 ppm)로 엽면살포하여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약제별로는 경장에서만, 살포시기별로는 결협율에만, 그리고 농도별로는 경장, 분지수, 결협율, 주당협수와 수량에서만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2. 견장의 단축은 CCC보다는 B 995가 더 효과적이었으며 결협율은 본엽4 매시의 살포에서 가장 높았다. 3.농도별효과를 보면 저농도보다는 고농도인 3,000ppm에서 경장의 단축, 분지수, 결협율 그리고 주당협수의 증가와 수량의 증대를 나타냈다. 4. 주경절수, 경건중, 엽록소와 100입중은 약제살포시기 및 농도별로 유의성이 없었다. 5. 수량은 경장과는 부의 상관이었고 분지수, 주당협수, 결협율과는 정의 상관이었다. 6. 왜화제의 엽면살포는 주요수량구성 요소증대에 상당히 효과적이었다.

  • PDF

생태형이 다른 대두품종의 생육 및 건물축적 (Growth and Dry Matter Accumulation in Different Ecotypes of Soybeans (Glycine max. L.))

  • 정길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4-181
    • /
    • 1988
  • 하대두형 및 추대두형 콩품종에 대하여 파종기를 달리 했을 때 생육상의 차를 구명하고, 또한 건물축적양상 비교하기 위하여 1987년 천안시 안서동에 위치한 단국대 농대 실습포장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극조반(4월 15일파종)나 그후 파종(5월 15일 및 6월 15일)에서 하ㆍ추대두형품종간 출현율의 차가 관찰되지 않아 포장에서 저온발아성의 차를 검정한다는 것은 어렵다고 판단되었고, 또한 하ㆍ추대두형간 개화일수단축정도의 차도 없었으나, 하대두형인 DN82029-3이나 ES18085-1의 조ㆍ만파기 생육일수의 차가 추대두형인 장엽콩이나 팔달콩에 비하여 크지 않아, 생육후기 고온에 의한 결실일수가 촉진되어 만파에서 추대두형에 비하여 몇가지 수량구성요소의 감소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대두형은 추대두형에 비하여 만파에서 도장정도가 심함 것으로 관찰되었다. 하대두형인 DN82029-3이이나 추대두형인 단엽콩 및 장엽콩은 개화시 이후에도 경엽신장이 큰 폭으로 증가된 바, 개화시 이후 3품종 모두 경장이 17∼32cm가 신장되었으며, 엽면적지수도 개화시 이후 0.83∼1.53의 증가를 보여 엽의 신장이 큰 폭임을 나타내 주었다. 하대두형인 DN82029-3은 단엽콩이나 장엽콩에 비하여 49일이나 빨리 최고건물중을 나타냈으나, 절대량은 추대두형의 최고건물중의 약 50% 수준이어서 5월 15일 파종시 일장둔감형인 하대두형은 충분한 영양생장을 이루지 못한 가운데 생식생장기 간으로 접어들어 건물축적량이 크게 낮아지게 되고, 이것이 낮은 수량의 원인으로 보인다.

  • PDF

작약(芍藥) 화뇌제거시기에 따른 근수량(根收量)과 Paeoniflorin함량(含量) 변화(變化) (Effects of Removing Time of Flower Buds on Root Yield and Paeoniflorin Content in Paeonia lactiflora Pallas)

  • 김기재;박준홍;유오종;신종희;박소득;최부술;여수갑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93-197
    • /
    • 1998
  • 작약(芍藥)의 화뇌제거시기가 생육(生育), 건근수량(乾根收量) 및 Paeoniflorin함량(含量)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시험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작약 재배시(栽培時) 화뇌제거에 따른 경장은 무제거에 비하여 $7{\sim}9cm$정도 제거된 만큼 짧아졌으며, 경수와 경직경은 차이가 없었다. 2. 화뇌제거에 따른 뿌리수와 생근중은 제거시기가 빠를수록 증가하였으며 , 건근수량은 화뢰크기가 10mm정도 될 때 제거한 것이 1,647/10a으로 무제거에 비하여 27% 증수되어 가장 많았다. 3. 화뇌제거시기별 paeoniflorin 함량은 뿌리굵기 5mm와 10mm에서는 무제거와 일정한 경향이 없었고, 15mm이상부터는 화뢰를 일찍 제거한 것이 화뢰 무제거보다 증가되었다. 4. 잎, 줄기의 paeoniflorin 함량은 잎이 줄기보다 높았으며, 생육초기에 높고 후기로 갈수록 낮아졌는데, 화뢰를 제거한 것이 무제거에 비하여 높았다.

  • PDF

육묘 시 해양심층수의 관수 방법이 유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rrigation Methods of Deep Sea Water on the Growth of Plug Seedlings)

  • 홍성유;윤병성;강원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56-161
    • /
    • 2006
  • 토마토 초장의 경우 심층수처리는 대조구에 비해 두상관수는 50%, 저면관수는 58% 감소하였고, 표층수 처리구에서는 두상관수는 49%, 저면관수는 56% 감소하였으며, NaCl 처리구에서는 두상관수는 47%, 저면관수는 57%감소하여 저면관수 처리방법이 도장억제에 더 효과적이었다. 지상부 생체중의 경우 두상관수보다 저면관수에서 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하부 생체중 대조구에 비하여 두상관수는 38%정도 감소한 반면 저면관수는 49% 정도 감소하여, 저면관수에 의해 생육이 현저히 억제되는 결과를 보였다. 지상부와 지하부의 건물중은 생체중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염에 의한 뿌리생육의 저하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경경은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지만 처리 방법 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T/R률에 비추어 보면 두상관수 처리에서 묘소질이 더 뛰어났으나, 묘의 충실도(compactness)는 처리구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토마토의 경우 초장의 억제정도나 묘의 충실도에 비춰보아 저면관수 방법이 도장억제에 더 효과적이라 사료된다. 오이의 경우 처리 농도의 증가에 따라 초장, 생체중, 건물중, 경경, 엽면적이 감소하였다. 저면관수가 두상관수에 비해 도장억제 효과와, 생육억제가 좀 더 뚜렷이 나타나기는 하였으나 두 처리간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Feed Value of Whole-Crop Silage Rice by Cultivars and Plant Parts at Different Transplanting and Harvest Dates

  • Lee, Jihyun;Ku, Bon-Il;Shim, Kang-Bo;Shin, Myeong-Na;Jeon, Weon-Tai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38-148
    • /
    • 202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changes i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feed value of the three different whole-crop silage rice cultivars of whole-crop silage rice such as Jonong, Yeongwoo and Mogwoo to develop an efficient double cropping system.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iomass and feed values among cultivars but no clear difference among transplanting dates. Dry weight and height were in order of Mogwoo, Yeongwoo, Jonong (p<0.05). Dry weight and feed value of Jonong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21 days after heading (DAH), it was expected to be harvested before DAH 30 days. Yeongwoo showed a lower dry weight than Mogwoo, but heading date was earlier than Mogwoo, so one can expect a higher feed value than Mogwoo. Mogwoo had lower crude protein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than the other two cultivars but relative feed value in stem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cultivars, but had higher dry weight than other cultivars so it was considered to take an advantage as a silage ric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election of whole-crop silage rice on the cropping system be made comprehensively by considering the heading characteristics of the cultivars and the feed value.

개간지에 있어서 마그네슘, 붕소 및 아연 시용이 참깨 제형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gnesium, Boron and Zinc on Several Characteristics of Sesame in Reclaimed Upland)

  • 오병석;김진호;정병관;김용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17-322
    • /
    • 1994
  • 1. 주요 염기영양소인 B, Zn 및 Mg의 복합시용에 의하여 건경중을 증가시켰고 특히 B 및 Mg 시용은 상단부위의 건경중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2. 건경중 및 삭수는 종실중 증가에 크게 기여하였고 특히 건경중은 하·중단부위의 종실중과 주당 삭수에 영향한 바 있고 하단 및 상단부위의 삭수는 종실중과 밀접한 상호관계를 가졌다. 3. B+Mg의 복합시용은 주당삭수증가에 효과적이었다. 4. 염기영양소의 시용효과는 무처리에 비하여 Mg+B가 21%, B+Zn+Mg가 17%, B단용이 12% 순으로 종실중증가를 가져왔다.

  • PDF

광조사 방향 및 광도에 따른 배양식물체의 생장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Tissue Cultured Plantlets by Lighting Direction and tight Intensity)

  • 함인기;김현숙;이미애;조만현;이은모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39-144
    • /
    • 1999
  • 광조사 방향 및 광도에 따른 몇 가지 배양식물체의 생장반응을 조사하였다. 광조사 방향은 배양실내 조명장치를 상방향 또는 측방에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딸기 배양식물체의 초장과 근장은 광조사 방향에 관계없이 차이가 없었으나,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은 광도가 높을 수록 증가하였다. 감자 절간 배양에서도 광도가 높은 측방광 조사구에서 초장이나 근장은 감소하였으나, 줄기 및 뿌리는 굵기가 굵고 생체중과 건물중 그리고 엽면적도 증가하였다. 백합인편배양 역시 측방광 고광도 조사구에서 자구 형성이 많았고 생체중과 건물중 모두 증가하였다. 따라서 관행 하방광 조사보다 배양용기의 측면에서 광을 조사하여 광도를 높이고, 배양용기를 3단으로 적재할 수 있는 측방광 조사방법이 배양식물체의 생장을 촉진시켜 양질 배양묘 생산효율을 증대시켰다.

  • PDF

붉가시나무의 영급에 따른 현존량 확장계수 (Biomass Expansion Factors(BEFs) for Quercus acuta According to Age Classes)

  • 이상태;황재홍;이경재;신현철;김병부;박문섭;전권석;조현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554-558
    • /
    • 2007
  • 산림의 현존량 축적에 대한 연구는 줄기밀도와 임목의 재적과 건중량을 전환하는 현존량 확장계수를 이용하여 추정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남도 완도군 붉가시나무 임분의 줄기밀도와 영급에 따른 현존량 확장계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각 영급별로 수간석해를 실시하여 각 부위별 현존량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임목의 영급에 따른 줄기 밀도의 값은 $0.557{\sim}0.636$으로 나타났으며, 지상부 현존량 확장계수는 $1.168{\sim}1.324$였다. 지상부 현존량 확장계수는 수령이 증가할수록 값이 증가하였으며, 현존량 확장계수와 줄기 밀도는 임목의 영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붉가시나무에 대한 전국 규모의 탄소고정량 산출에 있어서 영급에 따른 확장계수 추정의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