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eping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33초

하이브리드 로켓 연료의 국부 후퇴율 측정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Technique for Local Regression rate of Solid fuel in Hybrid rocket)

  • 조정태;김기훈;우경진;김수종;이정표;김학철;성홍계;문희장;김진곤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3-246
    • /
    • 2009
  • 하이브리드 로켓의 고체 연료에서 축방향 국부 후퇴율은 하이브리드 추진 연소기의 설계 변수 및 성능 변수로 활용 된다. 국부 후퇴율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있지만, 침수법은 간단한 방법으로 연료의 형상 및 물리적 특성에 관계 없이 정확하게 축방향 국부 후퇴율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국부 후퇴율 측정장비의 문제점을 개선하였고, 실험을 통해 높은 정확성을 가짐을 확인 하였다.

  • PDF

Annealing 수침처리에 따른 습식제분 쌀가루의 전분 특성 (Properties of Starch Isolated from Wet-milled Rice after Steeping at Elevated Temperatures for Annealing Effect)

  • 이영택;유문식;이보람;박종현;장학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93-397
    • /
    • 2004
  • $40,\;50,\;60^{\circ}C$의 실온 이상의 상승된 온도에서 쌀을 수침처리한 후 습식제분한 쌀가루로부터 분리한 전분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침처리하지 않은 대조구 쌀 전분에 비해 수침처리한 쌀 전분의 명도는 약간 감소하였으며 전분의 평균 입자크기는 다소 감소하였다. 전분의 팽윤력과 용해성은 대조구보다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40^{\circ}C$에서 수침처리한 쌀 전분에서 가장 높았지만 그 이상의 처리온도에서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DSC 호화개시온도, 호화정점온도는 $40^{\circ}C$$50^{\circ}C$ 수침처리한 쌀 전분에서 감소하였고 호화엔탈피는 증가하였으나 $60^{\circ}C$ 수침처리에서는 호화개시온도와 호화정점온도가 증가하였고 호화온도범위가 감소하여 전분의 annealing 현상이 나타남을 제시해 주었다. $40^{\circ}C$에서 수침처리한 쌀 전분은 Rapid Visco-Analyzer(RVA) 최고점도가 증가한 반면, $50^{\circ}C$$60^{\circ}C$에서는 최고점도가 감소하였고 breakdown이 감소하였으며 최종점도는 증가하여 setback이 높게 나타났다.

슈퍼자미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uperjami)

  • 김기쁨;최수근;김동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89-796
    • /
    • 2012
  •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uperjami, which had a high C3G (cyandin-3-glucoside) content by comparing it with common rice (Ilpum) and black rice (Heougjinju, Suwon 415) for their components and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ater content,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ude protein and crude fat in the order of Ilpum < Superjami < Heougjinju. As for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ains, it had been learned that Superjami was heavier and longer than the common rice, moreover Superjami had bigger seeds. As for the hardness of grains, the longer the time of steeping, the more decreased their hardness was at large. In the case of color, th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L, a, and b values of grains and flour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of pigment elution after steeping of the rice flours at $20^{\circ}C$ and $40^{\circ}C$, the longer the time steeping, the more increased the pigment elution became. The values are bigger with Heougjinju and Superjami than with Ilpum. As for the elution pH after rice steeping, the longer the time of steeping, the lower pH all the assays tended to hav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Ilpum, Heougjinju, and Superjami, it had turned out that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Heougjinju and Superjami are 1.2 times as high as Ilpum, a common rice, and that Superjami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Heougjinju.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of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assays in the order of Superjami > Heougjinju > Ilpum. Futher, it has turned out that Superjami has a higher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than Heougjinju. Consequently, it can be stated that Superjami has a strong anti-oxidative ability. Thus, we should more precisely grasp the cooking characteristics of Superjami, which is in the state of brown rice, via comparing it with a common brown rice, and also provide opportunities to apply Superjamii to more foods by studying its starch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its grain and flour properties.

도정도에 따른 쌀의 침지 특성 및 쌀입국의 발효 특성 (Characterstics of Steeping of Rice and Fermentation of Rice Koji Depending on the Milling Degrees)

  • 이석준;공태인;정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384-5393
    • /
    • 2015
  • 본 논문의 목적은 청주의 원료인 쌀의 도정도가 고두밥 및 쌀입국 발효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쌀도정에 따른 수분흡수량 및 입국특성 등을 분석하였고 연구기간은 8개월 소요되었다. 도정을 많이 할수록 도정미의 단백질 성분구성은 지속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지질 및 회분 성분은 20% 도정시까지는 급격히 감소하다 그 이상 도정시는 서서히 감소하였다. 도정미의 침지시 도정도가 높을수록 수분흡수 속도가 빨랐으며 최대 수분흡수율도 높았고, 침지 초기에는 수온이 높을 때 수분흡수가 빨랐으나 일정시간 경과후에는 수온이 낮을 때 수분흡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최대흡수율도 높아졌다. 입국 발효 술덧의 알코올 함량은 도정도10% 입국시료가 16.3-16.9%(v/v)으로 다른 도정도 입국시료의 17.1-17.5%(v/v)인 것에 비해 낮은 알코올함량을 보였고 침지시간은 영향이 없었다. pH는 도정도 10% 입국이 다소 높았으며 그 외엔 유사하였다. 총산함량은 도정도 10%가 0.71-0.76%로 다른 도정도보다 낮은 결과를 보였고 도정도 30%인 시료가 0.93-0.9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쌀의 도정도는 쌀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고두밥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duction of Deoxynivalenol in Barley by Chemical Treatments and Malting

  • Pei, Shi-Chun;Lee, Won-Jong;Kim, Suk-Shi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6호
    • /
    • pp.823-827
    • /
    • 2005
  • Fusarium mycotoxin deoxynivalenol (DON) contents and its critical quality parameters were analyzed using two-rowed, six-rowed, and hulless barleys. DON content in the two-rowed Korean barleys was lower than that in the six-rowed barleys. The average DON contents of six-rowed, two-rowed, and hulless barleys were 1.35 ppm, 0.36 ppm, and 0.49 ppm, respectively. The DON content was reduced by 6.2% by sieving, by 6.0% by washing with water and by 18.1-69.8% by treatment with aqueous chemical solutions. Of the reagents investigated, aqueous sodium bicarbonate gave the greatest reduction in the barley DON level. The DON content was reduced to 62.5% of initial level after 3 days of steeping and to 23.1% after 3 days of germination. DON was not detected after steeping barley for 24 hr in 0.1M $Na_2CO_3$ solution with 0.1 % activated carbon.

사과의 삼투압처리 후 열풍 및 동결건조에 따른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Hot-Air and Freeze Dried Apples Slices after Osmotic Dehydration)

  • 김기창;이선영;김경미;김영;김진숙;김행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848-852
    • /
    • 2011
  • 연구는 삼투압 전처리와 열풍, 동결건조의 방법이 최종제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농도(20, 40, $60^{\circ}Brix$)와 시간별(2, 4, 8시간)로 삼투압처리를 하여 물질이동 특성을 조사하고, 이후 열풍과 동결 건조방법을 거쳐 최종 시료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삼투압 처리 중 시료의 중량감소, 수분손실, 고형분 증가는 삼투압농도와 침지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삼투처리의 농도가 가장 큰 요인으로 고려된다. 최종 건조를 거친 시료의 수분함량은 $40^{\circ}Brix$ 당 용액 침지 후 동결건조에서 가장 낮은 수분함량을 보였으며, 열풍건조에서 삼투건조 처리의 유무, 농도, 시간은 최종 수분함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시료의 변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삼투압처리의 L, a, b값이 처리를 하지 않은 것보다 낮은 값을 보여 삼투압처리가 갈변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였고, 열풍건조에서는 삼투압처리의 농도와 침지시간이 증가할수록 L값이 감소하였다. 경도(hardness)의 경우 열풍 건조와 동결건조 모두 삼투압처리 당 용액의 농도와 침지시간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의 함량에 있어서는 삼투 용액의 농도와 침지시간이 증가할수록 glucose와 fructose 함량은 증가하고 sucrose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당 용액의 농도와 침지시간의 증가가 삼투효과를 높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삼투압처리 후 동결건조의 방법이 열풍 건조보다 더 높은 유리당의 함량을 보여 동결건조의 방법이 최종 제품의 단맛을 증가시켜 기호성을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최소가공 당근의 유통기한 연장 연구 (A study on the Shelf-life Extension of Minimally Processed Carrot)

  • 이경혜;임희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30-337
    • /
    • 2008
  • 베타리치 당근을 HCA 농도별 침지시간별로 각각 세척한 후 PE bag에 포장하여 $8^{\circ}C$에서 12일간 저장하여 미생물분석, 경도, 표면색, 백화지수 및 관능적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총균수는 침지시간을 3분으로 한 처리구 T-II는 $4.37{\pm}0.19\;\log\;CFU/g$, T-III는 $4.27{\pm}0.13\;\log\;CFU/g$로 저장초기의 대조구에서 보다 적게 나타났다. 대장균군의 경우 저장일수 8일차의 처리구 T-II와 T-III는 대조구보다 적게 검출되었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E. coli는 검출되지 않았다. 3분 침지한 처리구가 1분 침지한 처리구보다 저장 12일 차에서 경도의 감소폭이 적었으며, T-I T-II, T-III로 갈수록 감소폭이 줄어들었다. 저장기간 중 모든 처리구의 L값은 감소하였고 a와 b값은 증가하였다. WI는 저장기간 중 증가하였으며, HCA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폭은 적었다. 저장 8일차의 관능적 품질평가 결과, 무처리구와 HCA 처리구의 이취평가는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통기한 연장을 위하여 당근 세척에 HCA을 50 ppm 이상 사용하는 것이 안전성 및 품질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발아조건에 따른 보리의 GABA 함량 및 영양성분 변화 (The Effects of Germination Conditions on GABA and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Barley)

  • 차미나;전현일;송근섭;김영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1-47
    • /
    • 2012
  • 본 연구에서 보리의 GABA 함량을 높일 수 있는 제조조건(수침과 발아)을 확립하여 GABA 고함유 발아보리를 제조하고, 발아에 의한 영양성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수분흡수량과 수침용액의 pH는 수침 초기 6시간까지 급격하게 변화하였고, 보리종류 및 수침온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보리 원맥의 GABA 함량은 쌀보리 4.1 mg/100 g, 겉보리 1.4 mg/100 g 및 찰보리 2.5 mg/100 g이었으며, $25^{\circ}C$에서 24시간 수침 후에 쌀보리 10.4 mg/100 g, 겉보리 14.1 mg/100 g 및 찰보리 10.9 mg/100 g으로 증가되었다. 한편, 발아보리의 GABA 함량은 쌀보리 15.8 mg/100 g (48시간, $25^{\circ}C$), 겉보리 20.9 mg/100 g(36시간, $15^{\circ}C$) 및 찰보리 14.3 mg/100 g(36시간, $5^{\circ}C$)으로 보리 품종에 따라 발아조건은 다르게 나타났다. 수침과 발아 후에 원맥보다 쌀보리는 3.9배, 겉보리는 14.6배 및 찰보리는 5.8배 GABA 함량이 증가하였다. 발아에 의한 보리의 영양성분 변화는 일반성분에서 원백보다 조지방, 조회분, 무기질 및 ${\beta}$-glucan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지방산 조성에서 원백보다 linoleic acid는 증가하고 oleic acid는 감소하였다. 한편, 보리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와 palmitic acid이었고, ${\beta}$-glucan 함량은 발아에 의하여 쌀보리 0.84배, 겉보리 0.94배 및 찰보리 0.94배 감소하였다.

찹쌀 품종별 강정 제조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ngjung Made of Different Varieties of Waxy Rice)

  • 김경미;이지현;김행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75-182
    • /
    • 2010
  • 강정 제조용 최적 찹쌀 품종을 선정을 위해서 찹쌀 10품종의 원료찹쌀과 최적조건 수침찹쌀의 이화학적 특성과 강정의 팽화율, 유지흡수율, 색도, 조직감 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주성분분석하여 강정과 이화학적 특성과의 관계를 해석하였다. 품종별 원료찹쌀의 수분함량은 10.8-12.7% 수준이었으며 단백질 함량은 백운찰벼가 9.2%로 가장 높았고 최고점도, breakdown, setback은 백진주벼와 백진주벼1호가 가장 높았다. 최적조건 수침찹쌀($31.5^{\circ}C$, 9일)의 수분함량은 한강찰벼가 가장 높았고 백운찰벼가 가장 낮았으며 단백질 함량은 시료간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최고점도와 breakdown은 밀양225호가 가장 높았고 백진주벼가 가장 낮았으며 setback은 백진주벼1호가 가장 높았으며 동진 찰벼, 화선찰벼, 신선찰벼가 가장 낮았다. 원료찹쌀을 수침 시 수분은 증가하였고 단백질, 회분, 무기질은 대부분 감소하였으며 최고점도와 breakdown은 백진주벼와 백진주벼1호를 제외하고는 증가한 반면에 setback은 모든 품종이 감소하였다. 찹쌀 품종별 강정 제조 시 팽화율이 크고 부드럽고 아삭한 강정 제조가 가능한 최적 품종은 신선찰벼, 동진찰벼, 한강찰벼, 백운찰벼, 화선찰벼, 밀양210호, 밀양225호, 상남밭벼 순이었다. 반면 팽화가 잘 일어나지 않고 단단한 조직감을 지닌 백진주벼와 백진주벼1호는 강정 제조용으로 부적합한 품종이었다.

Comparison of optimal temperature and time conditions for highest 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from various of Korea mulberry teas

  • Ju, Wan-Taek;Kim, Hyun-Bok;Sung, Gyoo-Byung;Kim, Yong-S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3권1호
    • /
    • pp.31-35
    • /
    • 2016
  • The influence of commonly used steeping times and temperatures about mulberry tea on 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were studied. The effects of product and preparation variables on the in-cup chemical composition of mulberry tea extracts is of interest because the appearance and taste characteristics and the possible health effects of a tea liquor arise from the chemical components extracted from the leaf during mulberry tea preparation. A comprehensive study was therefore undertaken to determine the contributions of product and provide a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high quality mulberry tea products against diabetes. Specific eight mulberry tea were collected from each region of Korea (A-I) and when it was extracted on 85℃ for 2min, a-glucosidase activity was best for 98-102%. According to various temperature and time extraction metho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ptimize teamaking conditions for maximal DNJ extraction from Korean mulberry tea and and it would be of particular interest for people who drink mulberry tea to control blood glucose lev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