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am Injection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7초

CREARE Downcomer실험에 대한 최적열수력 분석용 전산코드 CATHARE의 검증 (An Assessment of the Best Estimate Thermal-Hydraulic Analysis Code CATHARE on CREARE Downcomer Experiment)

  • Chang, Won-Pyo;Lee, Jae-Hoon;Kim, Dong-Su;Chae, Sung-Ki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4권3호
    • /
    • pp.274-284
    • /
    • 1992
  • 가압경수로 최적 열수력 분석용 전산코드인 CATHRE의 모델 평가를 위하여 가압경수로의 가상 냉각재 상실사고시 원자로 용기내의 유동현상을 모의한 1/15축소의 CREARE 실험을 모의 계산하였다. 이 실험에서 주요변수들은 비상노심 탱각재 주입량과 아냉정도 그리고 계통압력 및 노심에서 발생되는 증기유량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우선 Downcomer에서 역방향유동의 정성적 분석에 촛점을 맞추었다. 모의 계산 결과와 실험 결과를 비교할 때 정량적인 값 뿐 아니라 변화의 경향에서도 차이가 나타난 것은 주로 적절하지 못한 일부의 수치해석 모델과 상간의 계면마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매개변수적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CATHARE 전산코드의‘VOLUME’에 접한 접합점에서 운동량 보존방정식의 상세연구 혹은 다차원 분석을 통해서 이 경우의 물리적 현상을 보다 현실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고온 고압 조건하의 기포유동층 반응기에서의 입자 마모특성 (Particle Attrition Characteristics in a Bubbling Fluidized Bed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nditions)

  • 문종호;이동호;류호정;박영철;이종섭;민병무;진경태
    • 청정기술
    • /
    • 제20권4호
    • /
    • pp.359-366
    • /
    • 2014
  • 연소전 $CO_2$ 흡수제인 PKM1-SU와 원유의 접촉분해 촉매인 FCC (fluid catalytic cracking)입자의 고온, 고압 조건 마모 실험을 수행하였다. 지름 15.1 cm, 높이 120 cm에 스파저 튜브(sparger tube, 1 mm 오리피스)를 장착한 원통형 기포유동층반응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온도조건($0{\sim}400^{\circ}C$), 압력조건(0~20 bar)에서 입자마모 실험을 수행하였다. BET, 광학현미경, 입도분석기 등을 이용하여 실험 전, 후 입자를 분석 하였다. 또한 기존의 마모도 측정 방법인 ASTM D5757-95방법을 이용하여 층물질의 높이(4.4~10.2 cm) 및 수분 주입이 입자 마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중유 싱글 버너 수관식 보일러에서의 합성가스 혼합연소 특성 연구 (A Study on Syngas Co-Combustion Characteristics in a 0.7 MWth Water-Tube Boiler with Single Heavy Oil Burner)

  • 최신영;양동진;방병열;양원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452-459
    • /
    • 2010
  •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changes of combustion characteristics and heat efficiency when syngas from gasification process using low-rank fuel such as waste and/or biomass is applied partially to an industrial boiler. An experimental study on syngas co-combustion was performed in a 0.7 MW (1 ton steam/hr) water tube boiler using heavy oil as a main fuel. Three kinds of syngas were used as an alternative fuel: mixture gas of pure carbon monoxide and hydrogen, syngas of low calorific value generated from an air-blown gasification process, and syngas of high calorific value produced from an oxygen-blown gasification process. Effects of co-combustion ratio (0~20%) for each syngas on flue gas composit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syngas injection through the nozzles installed in the side wall of the boiler and measuring $O_2$, $CO_2$, CO and NOx concentrations in the flue gas. When syngas co-combustion was applied, injected syngas was observed to be burned completely and NOx concentration was decreased because nitrogen-containing-heavy oil was partially replaced by the syngas. However, heat efficiency of the boiler was observed to be decreased due to inert compounds in the syngas and the more significant decrease was found when syngas of lower calorific value was used. However, the decrease of the efficiency was under 10% of the heat replacement by syngas.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 L. fil.)의 부위별 정유성분 조성 (Essential Oil Composition from Leaves, Flowers, Stems, and Fruits of Vitex rotundifolia L. fil.)

  • 장수정;김영회;김명곤;김계환;윤세억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2호
    • /
    • pp.101-107
    • /
    • 2002
  • 순비기나무의 잎, 꽃, 줄기 및 열매로부터 수증기 증류법으로 정유를 분리한 다음 GC-MS 및 GC를 이용한 표준품과 머무름 시간의 비교에 의해 76종의 성분을 동정하였다. 동정된 성분은 monoterpene hydrocarbons 16종, oxygenated monoterpenes 30종, sesquiterpene hydrocarbons 10종, oxygenated sesquiterpenes 8종, diterpenes 3종, 기타 성분 9종으로서, 특히 ${\alpha}-pinene$, ${\beta}-pinene$, sabinene, 1,8-cineole, terpinen-4-ol, ${\alpha}-terpineol$등의 monoterpene류가 주요 구성성분들이었다. 부위별 주요 구성성분으로서 잎에서는 ${\alpha}-pinene$ (30.25%) > 1,8-cineole (19.89%) > sabinene (9.56%) > ${\alpha}-ternineol$ (7.94%) > ${\beta}-pinene$ (5.69%) > terpinen-4-ol (2.37%), 꽃에서는 ${\alpha}-pinene$ (25.47%) > 1,8-cineole (7.69%) > manoyl oxide(6.21%) > ${\beta}-pinene$ (4.20%) > ${\alpha}-terpineol$ (3.76%) >sabinene (2.78%), 줄기에서는 ${\alpha}-pinene$ (13.24%)>${\alpha}-terpineol$ (10.64%)>1,8-cineole (4.40%)>manoyl oxide (4.02%) > ${\beta}-pinene$ (2.39%) > terninen-4-ol (2.21%), 그리고 열매에서는 ${\alpha}-pinene$ (20.24%) > 1,8-cineole (11.47%) > ${\beta}-pinene$ (9.79%) > u-terpineol (7.08%) > sabinene (3.68%) limonene (2.77%)의 순서로 조성비율이 높았다. 전반적으로 순비기나무의 잎과 열매에서 분리한 정유에서는 monoterpene류의 조성비율이 높았으나 꽃과 줄기에서는 잎이나 열매에 비해 sesquitepene류, diterpene류 이외에도 구조를 동정하지 못하였으나 diterpene류 일 것으로 예상되는 분자량이 비교적 큰 성분들의 조성비율이 높았다.

폐타이어로부터 활성탄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paration of activated carbon from waste tire)

  • 김진욱;임기혁;손병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947-95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폐타이어 열분해 잔류물(char)을 이용하여 활성탄을 제조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활성탄 제조는 고정층 석영관 반응기에서 수증기를 이용한 물리적 활성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주요한 실험 변수는 활성화 온도, 활성화 시간, 승온속도 및 활성화제의 주입량 등이다. 활성탄 제조 후 세공분포를 분석한 결과, 활성화 온도 $850^{\circ}C$, 승온속도 $5^{\circ}C$/min, 활성화 시간 3 hr의 조건에서 제조한 활성탄이 미세세공(micropore), 중간세공(mesopore) 및 거대세공(macropore)이 가장 많이 발달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 폐타이어 열분해 잔류물을 이용한 활성탄 제조의 최적 조건은 활성화 온도 $850^{\circ}C$, 활성화 시간 3 hr, 승온속도 $5^{\circ}C$/min, 활성화제 공급량 3 g $H_2O/char-g{\cdot}hr$ 등으로 조사되었다. 이 조건에서 제조한 활성탄의 BET 비표면적은 $517.6m^2/g$, 총 세공부피 $0.648cm^3/g$으로 나타나 활성탄으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형 오리멀젼 보일러의 연소특성 연구 (Study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a Small-Scale Orimulsion Boiler)

  • 김혜숙;신미수;장동순;최영찬;이재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1081-108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중유를 사용하는 상용보일러에서 오리멀젼 연료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소형 보일러에서 오리멀젼 연료의 기본적인 연소특성을 실험과 더불어 수치해석하였다. 오리멀젼의 주요 연소특성은 최고 화염온도가 버너로부터 $20{\sim}30\;cm 뒤쪽에 나타나는 화염지연현상과 비교적 넓게 분포하는 화염의 형태로 이는 오리멀젼 제조과정에서 포함된 높은 수분함량과 미세한 수부액적으로 이한 미소폭발 현상에 기인한다. 오리멀젼 연료의 연소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연료공급량, 무화유체의 종류, 그리고 계산에 사용된 현상학적인 복사모델과 같은 중요한 설계 및 운전인자에 대한 일련의 변수연구를 수행하였다. 연소특성인 최고 화염온도 지연현상은 연료공급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어느 정도 저감시킬 수 있었으며 연소생성물로 CO와 $SO_2$ 그리고 NO가스의 연소로 내 발생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무화용 유체로 증기를 사용하였을 경우 로내 연소상태는 무화용 공기에 비해 안정화 되고 고온영역이 감소되는 결과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본 연구에서 수행한 실험조건에 대한 수치해석 결과는 물리적으로 일관성 있는 결과를 제시하였으나 오염물질 생성농도에 대한 보다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추후 현상학적인 모델개선을 필요로 한다. 결국 본 연구로부터 개발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기존의 상용화 중유 보일러에서 오리멀젼 연료로 대체 사용시 개선사항 및 유용한 운전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