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am Digestion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9초

Influence of methionine supplementation of growing diets enriched with lysine on feedlot performance and characteristics of digestion in Holstein steer calves

  • Torrentera, Noemi;Carrasco, Ramses;Salinas-Chavira, Jaime;Plascencia, Alejandro;Zinn, Richard 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1호
    • /
    • pp.42-50
    • /
    • 2017
  • Objective: Two trials were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level of supplemental methionine on productive performance, dietary energetic, plasma amino acid concentration, and digestive function. Methods: Dietary treatments consisted of a steam-flaked corn-based diet containing urea as the only source of supplemental nitrogen supplemented with no supplemental amino acid (control), or control plus 1.01% lysine and 0.032%, 0.064%, 0.096%, or 0.128% methionine. In Trial 1, 150 Holstein steer calves ($127{\pm}4.9kg$) were utiliz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reatments on growth-performance, dietary energetic, plasma amino acid concentration during the first 112 days of growing period. During the initial 56-d period calves received the 5 experimental diets. During the subsequent 56-d period all calves were fed the control diet. Results: During the initial 56-d period, methionine supplementation increased (linear effect, p<0.01) plasma methionine. In the presence of supplemental lysine, increases on level of methionine in diet did not affect average daily gain. However, increased gain efficiency (quadratic effect, p = 0.03) and estimated dietary net energy (NE; linear effect, p = 0.05). Estimated metabolizable methionine supply was closely associated ($R^2=0.95$) with efficiency NE utilization for maintenance and gain. During the subsequent 56-d period, when all calves received the control diet (no amino acid supplementation), plasma amino acid concentrations and growth performance was not different among groups. However, the effects of methionine supplementation during the initial 56-period carried over, so that following a 56-d withdrawal of supplementation, the overall 112-d effects on gain efficiency (quadratic effect, p = 0.05) dietary NE (linear effect, $p{\leq}0.05$) remained appreciable. In Trial 2, 5 cannulated Holstein steers were used to evaluate treatment effects on characteristics of digestion and amino acid supply to the small intestine. There were no treatment effects on flow of dietary and microbial N to the small intestine. Postruminal N digestion increased (p = 0.04) with increasing level of supplemental methionine. Methionine supplementation linearly increased (p<0.01) duodenal flow of methionine. Likewise, lysine supplementation increased an average of 4.6% (p = 0.04) duodenal flow of lysine. In steers that received non-supplemented diet, observed intestinal amino acid supply were in good agreement with expected. Conclusion: We conclude that addition of rumen-protected methionine and lysine to diets may enhance gain efficiency and dietary energetics of growing Holstein calves. Observed amino acid supply to the small intestine were in good agreement with expected, supportive of NRC (2000, Level 1).

바이오가스 이용 기술지침 마련을 위한 연구(I) - 현장조사 결과 중심으로 (A Study on Establishment of Technical Guideline of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for the Biogas Utilization of Power Generation and Stream - Results of the Field Investigation)

  • 문희성;배지수;박호연;전태완;이영기;이동진
    • 유기물자원화
    • /
    • 제26권1호
    • /
    • pp.55-64
    • /
    • 2018
  • 본 연구는 유기성폐자원(가축분뇨, 음식물류폐기물, 음식물류폐수 등)의 바이오가스 이용에 대한 적정 설계 및 운전 기술지침서 마련하고자 현장조사와 정밀모니터링 등을 실시하였다. 정부의 중장기 바이오가스화 정책에 따라 폐자원의 자원화 시설 확충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생산된 바이오가스를 이용하여 발전 및 스팀으로 활용하는 시설은 효율이 아직은 저조하고 잦은 고장이 발생되고 있다. 현재 운영 중인 바이오가스화 11개소를 대상으로 바이오가스 이용 공정별 특징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혐기소화조 현장 시료의 계절별 정밀모니터링을 실시하여 바이오가스 이용 공정 흐름에 따른 설계 운영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현장조사 수행 결과, 바이오가스 이용 공정에서 바이오가스의 적정 제습, 황화수소 전처리, 발전시설의 적정처리 등이 주요 문제점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유기성폐자원의 바이오가스화 시설의 단점을 보완하고 바이오가스 이용 최적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현장지설에 대한 정밀조사를 실시하여 공정별 문제점들을 정리하였다.

熱氣熏法 및 침, 뜸, 한약 치료가 帶下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의 증상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rapeutic Effect of KMST (Korean Medicine Steam Therapy) -Included Korean Medicine Combination Therapy about Leukorrhea Patients)

  • 채민수;강나훈;김준호;황덕상;이진무;이창훈;이경섭;장준복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1-29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rapeutic effect of Korean Medicine Steam Therapy (KMST) for leukorrhea patients. Methods From December 1st 2013 to Nov 31st 2014, 16 leukorrhea outpatients treated with KMST filled out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reatment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8 question items such as sleep, appetite & digestion, urination, defecation, emotion, cold hypersensitivity, menstrual pain, leukorrhea and patients were told to evaluate their symptoms as NRS score. We analyzed mean NRS score of each question item before and after KMST by using Wilcoxon's signed rank test of SPSS ver. 19. Results Mean age of participants was 40.8±13.0 years and mean value of treatment numbers per person was 3.8±1.8 times. 43.75% (n=7) of the patients had history of vaginitis caused by gardnella vaginalis, ureaplasma urealyticum or candida albicans.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acupuncture, moxibustion and Korean medicine. In addition, there was no side effect reported by participants. NRS score of quantity, odor of leukorrhea, perineal unpleasant sensation such as itching, dryness, burning sensation remarkably decreased (p<0.01, p<0.05, p<0.01 each). NRS score of symptoms including sleep, urination, cold hypersensitivity, menstrual pain also remarkably decreased (p<0.05). Conclusions Symptoms of leukorrhea patients including sleep, urination, cold hypersensitivity, menstrual pain, leukorrhea showed significant decrease after treated with concurrent KMST.

붕장어 가공잔사를 이용한 효소분해소재의 가공 (Processing of Enzymatic Hydrolysates from Conger eel Scrap)

  • 강수태;공청식;차용준;김종태;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59-264
    • /
    • 2002
  • 수산가공잔사의 효율적 활용, 새로운 수산가공용 중간소재의 개발이라는 관점에서 활용도가 거의 없는 붕장어 머리와 내장과 같은 가공잔사를 원료로 하여 수산가공용 유용 중간소재를 가공하기 위한 최적 추출조건을 구명하였고, 이의 관능적 특성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붕장어 잔사의 수분함량은 $73.1\%$, 조단백질은 $14.6\%$, 지방의 함량은 $4.6\%$였고, pH는 6.98, 휘발성염기질소 함량은 17.2mg/100g으로서 선도는 비교적 양호하였다. 붕장어 잔사의 주요 구성아미노산은 Asp, Glu, Leu, Gly, Ala, His 및 Arg 등이었으며, 총지방질의 구성지방산으로 16:0, 16:1n7, 18: 1n9 및 22:6n3 둥이 주요 성분이었다. 2단 효소분해소재의 제조를 위한 시판 alcalase의 1차 효소분해 시간은 3-4시간 정도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판 neutrase를 첨가해 2차 효소분해를 행한 결과 2차 효소 분해 시간은 4시간이 가장 적합하였다. 이 때의 최종수율은 효소별로 다소의 차이가 있었으나 대체로 80.9-$87.3\%$이었다. 각 추출 소재를 관능검사한 결과, 2단 효소분해소재는 열수나 가압추출 소재와는 달리 비린맛이나 붕장어 특유의 느끼한 누린내와 같은 이미의 생성이 적었으며, 감칠맛 및 종합평가 면에서 월등히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성폐자원에너지 인센티브제도 도입방안 연구(III): 바이오가스화 인센티브제도(안) 마련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organic waste-to-energy incentive system(III): Preparation of an incentive system for biogasification (proposal))

  • 문희성;권준화;이원석;이동진
    • 유기물자원화
    • /
    • 제29권4호
    • /
    • pp.87-97
    • /
    • 2021
  • 본 연구는 폐자원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폐자원에너지 인센티브제도(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선행연구와 경제성 분석을 통해 에너지이용 형태별 가중치를 마련하였고, 폐자원에너지 인센티브(안)은 에너지이용 형태별로 에너지효율을 감안하여 산정되었다. 바이오가스화 시설 11개소의 경제성 분석 결과, B/C 수치가 0.16 ~ 1.69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편익에서는 폐기물처리 반입료 수입이 전체의 68.4 ~ 99.3 %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경영수지가 흑자(+)가 되는 '1' 이상인 시설이 4개소로 나타났다. 에너지 이용량을 판매량 Nm3 단위로 환산하기 위해 '단위환산' 계수로 발전 0.58 Nm3/KW, 스팀 0.17 Nm3/kg, 중질가스 1.00 Nm3/Nm3으로 산정하였고, '가중치'는 이용 형태별 각각 발전 0.249, 스팀 0.656, 중질가스 0.806으로 산정하였다.

Effects of Moisture and a Saponin-based Surfactant during Barley Processing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Quality of Feedlot Steers and on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 Wang, Y.;Gibb, D.;Greer, D.;McAllister, T.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12호
    • /
    • pp.1690-1698
    • /
    • 2011
  • Feedlot and in vitro ruminal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s of saponin-containing surfactant applied during tempering of barley grain on cattle growth performance and on ruminal fermentation. In the feedlot experiment, treatments with three barley grain/barley silage based diets were prepared using barley grain at 7.7% moisture (dry, D), after tempering to 18% moisture (M), or after tempering with a saponin-based surfactant included at 60 ml/t (MS). Each treatment was rolled at settings determined previously to yield optimally processed barley. A total of 180 newly weaned British${\times}$Charolais steers were fed three diets in 18 pens for a 63-d backgrounding period and 91-d finishing period to determine feed intake, growth rate and feed efficiency. Cattle were slaughter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to measure the carcass characteristics. Tempering reduced (p<0.001) volume weight and processing index, but processing characteristics were similar between MS and M. Tempering increased (p<0.05) growth during backgrounding only, compared with D, but did not affect feed intake in either phase. During backgrounding, feed efficiency was improved with tempering, but during finishing and overall this response was only observed with the surfactant. Tempering did not affect carcass weight, fat content or meat yield. Surfactant doubled the proportion of carcasses grading AAA. In the in vitro experiment, barley (500 mg; ground to <1.0 mm or steam-rolled) was incubated in buffered ruminal fluid (40 ml) without or with surfactant up to 20 ${\mu}l/g$ DM substrate for 24 h. Surfactant increased (p<0.05) apparent DM disappearance and starch digestibility but reduced productions of gas and the volatile fatty acid and acetate:propionate ratio, irrespective of barley particle size. Compared with feeding diets prepared with non-tempered barley, tempering with surfactant increased the feed efficiency of feedlot steers. This may have arisen from alteration in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barley grain by surfactant rather than its direct effect on rumen microbial fermentation.

바이오가스 이용 기술지침 마련을 위한 연구(III) - 기술지침(안) 중심으로 (A Study on Establishment of Technical Guideline of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for the Biogas Utilization of Power generation and Stream - Design and Operation Guideline)

  • 문희성;배지수;박호연;전태완;이영기;이동진
    • 유기물자원화
    • /
    • 제26권2호
    • /
    • pp.95-103
    • /
    • 2018
  • 바이오가스 이용 최적화를 위해 탈황 및 제습 전처리시설 가이드라인으로 $H_2S$ 농도는 철염으로 처리가능한 150 ppm으로 설정하고, 제습은 발전기 운전 적정수분 값이며 EU회원국에서 바이오가스 활용 시 적용하는 상대습도 60 %로 설정하였다. 국내 바이오가스 평균 온도인 $31^{\circ}C$에서 상대습도 60 %으로 적용한다면 노점온도 $22^{\circ}C$, 절대습도 $20.57g/m^3$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전처리 설비가 적절히 가동된다면 가이드라인에 만족하여 바이오가스의 이용이 최적화 될 것으로 사료된다. 바이오가스 이용 최적화를 위해 발전기 설비 가이드라인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바이오가스 적정 이용량으로는 전체 가스 발생량의 90 % 이상을 이용해야하며, 발전기 시설의 용량은 여유율을 10~30 %로 설정해야 한다. 발전기에 유입가스의 압력을 균등화하기 위해서는 가스 균등조(buffer tank)를 설치하며, 발전실 평균온도는 $45^{\circ}C$이하로 유지한다. 소화조에서 일정한 메탄농도로 가스가 생성되지 않아 효율이 저하되므로 메탄농도에 변화에 따른 공기연료비 제어시스템을 설치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기성폐자원의 바이오가스 생산 및 이용을 최적화를 위해 현장시설의 정밀모니터링과 시설별 에너지수지를 분석하고, 현장문제 해결방안에 대해서 조사하여 전처리시설 및 발전기 등의 설계 및 운전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바이오가스 이용 기술지침 마련을 위한 연구(II) - 정밀모니터링 결과 중심으로 (A Study on Establishment of Technical Guideline of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for the Biogas Utilization of Power generation and Stream - Results of the Precision Monitoring)

  • 문희성;배지수;박호연;전태완;이영기;이동진
    • 유기물자원화
    • /
    • 제26권1호
    • /
    • pp.65-78
    • /
    • 2018
  • 본 연구는 유기성폐자원(가축분뇨, 음식물류폐기물, 음식물류폐수 등)의 바이오가스 이용에 대한 적정 설계 및 운전 기술지침서 마련하고자 현장조사와 정밀모니터링 등을 실시하였다. 정부의 중장기 바이오가스화 정책에 따라 폐자원의 자원화 시설 확충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생산된 바이오가스를 이용하여 발전 및 스팀으로 활용하는 시설은 효율이 아직은 저조하고 잦은 고장이 발생되고 있다. 전국 11개소 유기성폐자원 바이오가스화 시설을 대상으로 정밀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사계절 평균으로 정밀모니터링 결과를 정리하였을 때, 유기성폐자원 별 효율성 분석에서 유기성분해율은 VS기준 음식물/음폐수는 68.2 %, 가축분뇨는 66.8 %, 하수슬러지의 경우 46.2 %로 전체 평균 58.8 %로 분석되었다. 전처리 전후 바이오가스 성상을 분석한 결과 철염 및 탈황(건식, 습식)을 이용하여 전체 시설의 $H_2S$ 평균은 560 ppm으로 측정되었으며, 저감효율이 90% 이상인 경우 약 40 ppm 까지 감소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소화조 내에 철염을 투입하면 처리효율 약 93 %이며, 평균 150 ppm까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습의 경우 노점온도를 적용한 절대습도와 가스온도에 따른 상대습도를 분석하였으며, 제습설비가 유지보수가 잘되어 가동 중인 시설의 노점온도는 $14^{\circ}C$, 절대습도는 $12.6g/m^3$이며, 상대습도는 35 %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유기성폐자원의 바이오가스화 시설의 단점을 보완하고 바이오가스 이용 최적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정밀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