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tic/Dynamic BCG matrix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A Strategic Positioning Analysis for Container Terminals in Northern Vietnam

  • Pham, Thi Yen;Ma, Hye-Min;Yeo, Gi-Tae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311-316
    • /
    • 2016
  • Vietnam is one of Asia's fastest developing economies. A long coastline of nearly 3,500 km provides a comparative advantage for Vietnam in developing a seaport system. Despite accounting for only about 30% of Vietnam's traffic volume, the Northern seaports have rapidly developed over the years. However, the location of the container terminals close to the common hinterland are a cause of fierce competition among container terminals. To outperform rivals and improve competitiveness, it is essential to identify the competitive positions of container terminals. This study analyzes the competitive positioning of container terminals in the northern region of Vietnam between 2005 and 2014 by applying the Boston Consulting Group (BCG) matrix in order to assist terminal operators and policy makers to generate strategic planning as well as to improve priorities for development. Otherwise, the period from 2005-2014 aims to clarify the static and dynamic positioning of container terminal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Hai Phong terminal dominates the market, but the Nam Hai Dinh Vu and Dinh Vu terminals are considered as "star" performers. Quang Ninh, Doan Xa, and Transvina are losing their competitive positions in Northern Vietnam.

해공(Sea&Air)복합운송의 유통경로 및 포트폴리오 분석 (Origin/Destination and Portfolio Analysis of Sea&Air Intermodal Transportation)

  • 김율성;허윤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653-658
    • /
    • 2008
  • 국제물류환경변화에 따라 국제복합운송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해공복합운송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적극적인 시장개발 등의 노력에 의해 추가적인 물량 확보가 충분히 가능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운송의 국제유통경로분석과 포트폴리오분석을 통해 해공복합운송 화물유치를 위한 정책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유통경로분석과 포트폴리오 분석결과, 우리나라 전체 해공복합운송 물동량의 88.1%를 차지하고 있는 Qingdao, Shanghai, Weihai, Yantai지역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화물유치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제외한 지역들은 물동량이 매우 적고,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Vladivostok, Dandong, Tianjinxingang은 지속적으로 물동량이 감소하여 성장률과 시장점유율이 낮아지고 있어, 이들 지역에 대해서는 공격적인 화물유치전략보다는 안정적인 화물유지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항만의 경쟁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서해안권 항만 수출입품목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Port Competition Structure: Focusing on Import and Export Items of Ports in Western Coast Region)

  • 이진규;여기태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75-8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각 항만들이 다루고 있는 31개의 수출입화물품목에 대하여 품목간 항만간 경쟁을 규명하고, 실제 항만간 전이량을 파악한 후, 가장 큰 폭의 물동량 하락을 경험하고 있는 항만의 향후 정책에 대한 제언을 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2005년~2014년 서해안 권역의 물동량 집중도는 점차 분산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09년을 기점으로 급격히 분산화가 진행되었으며 2014년에는 0.448으로 나타나 권역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었다. BCG Matrix를 이용해 인천항, 평택 당진항, 군산항의 정적포지셔닝과 동적포지셔닝을 분석한 결과, 정적포지셔닝분석에서는 인천항은 3사분면(Cash Cows),평택 당진항은 2사분면(Question Marks), 군산항은 (Dogs)군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인천항은 비록 성장률은 낮지만 상대 항만군에 대한 높은 점유율로써 그 위치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동적포지셔닝 분석에서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인천항의 시장점유율과 성장률은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이할당 분석결과, 인천항과 군산항의 물동량은 평택항으로 전이되고 있으며, 인천항과 군산항은 잠재성장치 대비 절대성장치가 평택 당진항보다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LQ지수 분석결과, 타 항만과 중복되지 않는 인천항의 특화품목은 육류, 어패류 갑각류 등, 유연탄, 원유 및 석유, 석유정제품, 플라스틱 고무 및 그 제품, 방직용 섬유 및 그 제품, 비철금속 및 그 제품, 전기기기 및 그 제품, 항공기, 선박 및 그 부품으로 10개 품목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