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te of matter

검색결과 642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남부 연안의 영양상태 평가와 저층 경계면의 중요성 (The Assessment of Trophic State and the Importance of Benthic Boundary Layer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이재성;김기현;김성수;정래홍;박종수;최우정;김귀영;이필용;이영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9권4호
    • /
    • pp.179-195
    • /
    • 2004
  •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수행한 국가해양환경측정망 운영 결과 중 생지화학적 자료를 이용하여 (1997∼2002, 6년간) 한국 남해 연안의 영양상태를 평가하였다. 비행열 다차원 척도법 분석결과로 남해연안은 3개의 영양 상태로 구분되었다. 빈산소 수괴가 형성되며 용존성 무기질소와 인농도가 매우 높은 마산만은 과영양 상태였으며, 강한 점원 오염원이 있는 울산만, 온산만, 부산 연안, 진해만은 부영양 상태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그 외 여수, 통영 , 목포 주변 연안과 제주도 연안은 중영양 상태로 나타났다. 실측 용존무기질소와 Redfield 비로 보정된 이론적 용존무기질소의 차이인 과잉 질소의 6년간 평균은 오염된 하천이 유입되는 울산, 온산, 부산 연안에서 큰 양의 값을 보였고 행암, 광양, 여수 연안이 음의 값을 나타내어 기초생산자의 성장 제한 물질이 서로 다르게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과잉 용존무기질소는 시계열 분석 결과 과-부영양화된 해역에서 점차 감소하였으나 중영양 해역은 점차 증가하고 있어 해역의 영양상태에 따라 질소 대 인의 비가 변화하고 있었다. 과-부영양화의 진행에 따른 저층 퇴적물의 유기물 오염은 질소와 인의 생지화학적 순환을 교란시킬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더욱 정확한 연안 환경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저층 경계면의 연구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홍수터 여과를 이용한 하천수의 질소와 유기물 제거에 미치는 근권의 효과 (Rhizosphere Enhances Removal of Organic Matter and Nitrogen from River Water in Floodplain Filtration)

  • 정병룡;정종배;김승현;이영득;조현종;백남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15
    • /
    • 2003
  • 하천수를 홍수터에 살포하면 퇴적층을 통과하는 동안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유기물과 질소가 동시에 제거될 수 있는데, 이러한 미생물의 작용에 미치는 근권의 효과를 홍수터 모형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홍수터 모형은 길이와 작용에 미치는 근권의 효과를 홍수터 모형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홍수터 모형은 길이와 직경이 각각 135 및 30 cm인 PVC관에 낙동강에서 채취한 홍수터 퇴적물을 채우고 표면에 잡초가 자라는 모형과 자라지 않는 모형으로 구분하여 제작하였다. 하천수는 $68.0L\;m^{-2}\;d^{-1}$ 유속으로 실험기간 동안 표면에 연속적으로 살포하였으며, 모형 내에서 하천수의 흐름과 미생물 반응이 정상상태(Steady state)에 도달한 이후 4주 동안 모형의 여러 깊이에서 물 시료를 채취하여 $NO_3$, $NH_4$, 용존산소, 화학적산소요구량 및 산화환원전위를 측정하였다. 표면에 잡초가 자라는 모형에서는 30 cm 깊이의 표층에서 탈질 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환원상태가 발달하였으며, 30 cm 깊이의 표층에서 탈질 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환원상태가 발달하였으며, 30 cm 깊이에서 측정된 COD와 $NO_3-N$ 농도는 유입수 중의 18.2와 $9.8mg\;L^{-1}$에 비해 각각 5.2와 $0.9mg\;L^{-1}$으로 감소하였다. $NO_3$ 제거효과는 잡초가 자라는 모형에서 현저히 높았으며, 이러한 효과는 잡초에 의한 직접적인 흡수와 근권에서의 유기물 공급과 산소의 신속한 소모에 따른 활발한 탈질작용에 기인하고, 잡초가 없는 모형에서 $NO_3$의 제거가 충분히 일어나지 못한 것은 전자수용체인 유기물의 부족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슬러지 발생과 화학약품의 사용이 필요없는 홍수터 여과 기술은 부영양상태의 하천수를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유치원, 초등, 중등학교 과학 교재의 '물질의 성질' 관련 학습 내용 전개에 대한 특징 분석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Contents Structure related to 'Properties of Matter' of K-12 Science Textbooks)

  • 백성혜;조부경;김효남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27-541
    • /
    • 2000
  • 이 연구에서는 유치원 제 5차 교육과정과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의 제 6차 과학교육과정에 근거한 교재들을 분석하고, 제시된 학습 내용의 전개 유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척으로는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의 과학 교재에 제시된 '물질의 성질'에 관련된 학습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학습 내용 전개 유형을 크게 5가지로 구분하였다. 즉, 개념의 확장 유형, 개념 수준의 심화 유형, 동일한 개념 수준 제시 유형, 다른 과학 개념과 뒤엉킨 유형, 학년간 혹은 학년 내 연계의 단절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 중에서'개념의 확장 유형'과 '개념 수준의 심화 유형'은 학습 내용 전개가 바람직한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지만, 나머지 유형들은 부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유치원부터 초등, 중등 과학 교재에서 공통적으로 다루는 '물질의 성질'에 관련된 7개의 개념을 중심으로 학습 내용 전개 유형을 분석한 결과, 바람직한 유형보다는 부적절한 유형이 더 많이 나타났다. 특히 '동일한 개념 수준 제시 유형'은 유치원과 초등학교 전반에 걸쳐서 광범위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바람직한 유형 중에서는 '개념의 심화 유형'보다는 '개념의 확장 유형'이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물질의 성질'에 관련하여 유치원부터 제시되는 많은 학습 개념이 중학교 1학년 이상에서 거의 다루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개념들은 '개념의 심화 유형'으로 내용이 전개되지 않는 공통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과학 교재의 내용 구성에 대한 재고찰이 필요하다고 본다.

  • PDF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전반적 피질 위축, 내측두엽 위축, 백질 고강도 신호와 인지기능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Global Cortical Atrophy, Medial Temporal Atrophy,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and Cognitive Functions in Korean Alzheimer's Disease Patients)

  • 최린;주수현;이창욱;백인호
    • 생물정신의학
    • /
    • 제22권3호
    • /
    • pp.140-148
    • /
    • 2015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degenerative changes in brain [i.e., global cortical atrophy (GCA), medial temporal atrophy (MTA),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WMH)] and neurocognitive dysfunction in Korea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Methods A total of 62 elderly subjects diagnosed with Alzheimer's diseas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degenerative changes in brain MRI were rated with standardized visual rating scales (GCA or global cortical atrophy, MTA or medial temporal atrophy, and Fazekas scales) an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generation for each scale. Cognitive function was evaluated with Korean version of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CERAD-K) and several clinical features, including apolipoprotein E ${\varepsilon}4$ status, lipid profile and thyroid hormones, were also examined. Chi-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cerebral degeneration and neurocognitive functions. Results Demographic and clinical features, except for the ag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divid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erebral degenerative changes. However, higher degree of GCA was shown to be associated with poorer performance in verbal fluency test, word list recall test, and word list recognition test. Higher degree of MTA was shown to be associated with poorer performance i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in the Korean Version of CERAD Assessment Packet (MMSE-KC), word list recognition test and construction praxis recall test. Higher degree of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was shown to be associated with poorer performance in MMSE-KC.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severe brain degeneration shown in MRI is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poorer performance in neurocognitive tests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Moreover, the degree of GCA, MTA and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represented by scores from different visual rating scales, seems to affect certain neurocognitive domains each, which w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in clinical settings.

Agronomic features and yield components of sago palms grown in the islands in Southeast Asia and Melanesia

  • Ehara, Hiroshi;Naito, Hitoshi;Mishima, Takashi;Toyoda, Yukio;Mizota, Chitoshi;Susanto, Slamet;Bintoro, M.H.;Pasolon, Yulius B.;Abbas, Barahima;Suwignyo, Rujito A.;Munandar, Munandar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60-360
    • /
    • 2017
  •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dicating agronomic features and yield components (trunk length, trunk diameter, thickness of bark, pith density, dry-matter percentage of pith and starch concentration in pith) of sago palms (Metroxylon sagu Rottbøll) were compared between the 27 populations grown in the islands in Southeast Asia (West Sumatra, South Sumatra, West Java, Southeast Sulawesi, Ternate, Halmahera and Seram in Indonesia) and the 20 populations grown in Melanesia (West Papua in Indonesia, East Sepik and New Ireland island in Papua New Guinea). The average starch yield calculated based on the yield components was $310kg\;plant^{-1}$ and $244kg\;plant^{-1}$ in the islands in Southeast and Melanesia, respectively. The variation of starch yield in Melanesia (CV: about 80%) was larger than that in the islands in Southeast Asia (CV: about 60%). The difference in starch yield in the islands in Southeast Asia was mainly attributed to the trunk diameter breast height and the dry-matter percentage of pith. In contrast, the differences in trunk length and dry-matter percentage of pith mainly accounted for the difference in starch yield in Melanesia. The sago palms in the islands in Southeast Asia had a comparatively thick and short trunk and those in Melanesia had a comparatively thinner and longer trunk. However, the average pith dry-matter yield was almost same level as $400kg\;plant^{-1}$ in both the islands in Southeast Asia and Melanesia. The difference in starch yield between the two areas was attributed to the difference in starch concentration in pith, 77% and 58% in the islands in Southeast Asia and Melanesia, respectively.

  • PDF

Sources of Carbonaceous Materials in the Airborne Particulate Matter of Dhaka

  • Begum, Bilkis A.;Hossain, Anwar;Saroar, Golam;Biswas, Swapan K.;Nasiruddin, Md.;Nahar, Nurun;Chowdury, Zohir;Hopke, Philip K.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5권4호
    • /
    • pp.237-246
    • /
    • 2011
  • To explore the sources of carbonaceous material in the airborne particulate matter (PM), comprehensive PM sampling was performed (3 to 14 January 2010) at a traffic hot spot site (HS), Farm Gate, Dhaka using several samplers: AirMetrics MiniVol (for $PM_{10}$ and $PM_{2.5}$) and MOUDI (for size fractionated submicron PM). Long-term PM data (April 2000 to March 2006 and April 2000 to March 2010 in two size fractions ($PM_{2.2}$ and $PM_{2.2-10}$) obtained from two air quality-monitoring stations, one at Farm Gate (HS) and another at a semi-residential (SR) area (Atomic Energy Centre, Dhaka Campus, (AECD)), respectively were also analyzed. The long-term PM trend shows that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have decreased over time as a result of government policy interventions even with increasing vehicles on the road. The ratio of $PM_{2.5}/PM_{10}$ showed that the average $PM_{2.5}$ mass was about 78% of the $PM_{10}$ mass. It was also found that about 63% of $PM_{2.5}$ mass is $PM_1$. The total contribution of BC to $PM_{2.5}$ is about 16% and showed a decreasing trend over the years. It was observed that $PM_1$ fractions contained the major amount of carbonaceous materials, which mainly originated from high temperature combustion process in the $PM_{2.5}$. From the IMPROVE TOR protocol carbon fraction analysis, it was observed that emissions from gasoline vehicles contributed to $PM_1$ given the high abundance of EC1 and OC2 and the contribution of diesel to $PM_1$ is minimal as indicated by the low abundance of OC1 and EC2. Source apportionment results also show that vehicular exhaust is the largest contributors to PM in Dhaka. There is also transported $PM_{2.2}$from regional sources. With the increasing economic activities and recent GDP growth, the number of vehicles and brick kiln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nd around Dhaka. Further action will be required to further reduce PM-related air pollution in Dhaka.

암석과 지각, 판구조론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존재론적 범주화 (Ontological Categorizing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Rocks and Crust, Plate Tectonics)

  • 정구송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3권1호
    • /
    • pp.56-68
    • /
    • 2009
  • 이 연구는 암석과 지각, 판구조론에 대한 학생들의 존재론적 범주화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에는 고등학교 1학년 169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연구 영역에 대한 학생들의 존재론적 범주화 경향을 밝히기 위해 질문지를 개발하고 부호화 틀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모든 학생 결과물들은 부호화 틀에 따라 4 단계(물질, 전환, 초기적 과정, 완료적 과정)의 범주로 부호화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연구 영역의 개념들에 대한 학생들의 존재론적 범주화는 암석 영역의 개념들에서 62%로 그리고 지각 영역의 개념들에서 75%로 우세하게 물질과 전환 범주로 분류되었다. 판구조론 영역에 대한 개념들의 존재론적 범주화 경향은 65%가 과정 범주로 부호화됨으로써 비교적 과정 지향적 관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둘째, 학생 개개인의 영역별 개념들에 대한 존재론적 범주 배정 경향은 모든 영역에서 과정 범주와 물질 범주로 부호화된 학생의 비율이 각각 17%, 30%로 확인되었다. 응답 분석 결과에서 물질 범주로 부호화된 대부분의 학생들은 세계를 단순한 물질의 조합으로 보는 경향이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지식 구조를 형성하는 개념들에 대하여 현상이나 사건 자체로만 사고하는 존재론적 신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낙엽송림분의 다층구조 토광에 있어서 수리특성의 공간 변리 (Spatial Variability of Hydraulic Properties in a Multi-Layered Soils of Japanese Larch (Larix leptolepis) Stand)

  • 정동영;진현오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9-35
    • /
    • 1999
  • 본 연구는 경기도 광주지역의 낙엽송 임분에 인공 강우기를 설치하여 수리특성과 관련한 공간 변이와 상관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수분유속과 보유능은 원래 토성, 구조와 유기물을 근거로 지표면에서 인공가우기로 수분을 일정속도로 가하면서 측정하였다. 이 방법은 간단히 유기물을 제거하거나 기존의 상태에서 수평한 지표면에 3가지의 강우 강도에서 실시하였으며 한편 경계면은 안정하며 포화상태의 습윤 토양에서 투수계수와 매트릭 유속기능을 조사하였다. 투수계수는 $_1$( $Z_{c}$) = $_2$( $Z_{c}$) = $_{c}$ 이라는 지속적 유속 조건하에서 $K_{i+}$$_1$ $_{c}$= $K_{i}$( $_{c}$) [1-d /dz]의 공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토양내에서 유속에 영향을 미치는 공극 특성과 유기물 함량이 광범위하게 수분 보유능과 포화투수계수의 공간 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것으로 조사되었다.되었다.

  • PDF

Determination and prediction of the digestible and metabolizable energy contents of corn germ meal in growing pigs

  • Shi, Meng;Liu, Zhaoyu;Wang, Hongliang;Shi, Chuanxin;Liu, Ling;Wang, Junjun;Li, Defa;Zhang, Shua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3호
    • /
    • pp.405-412
    • /
    • 2019
  • Objectiv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hemical composition, digestible energy (DE) and metabolizable energy (ME) contents of corn germ meals (CGM) and to develop equations to predict the corresponding energy contents based o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CGM. Methods: Sixty-six barrows (initial body weight = $51.3{\pm}4.6kg$) were allotted to 11 diets including a basal diet and 10 CGM test diet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In the test diets, CGM was included in replacement of 30% of the energy-providing ingredients in the basal diet, resulting in a final inclusion rate of 29.1%. Each diet was fed to 6 barrows housed in individual metabolism crates for a 7-d acclimation period followed by a 5-d total but separate collection of feces and urine. Results: Considerable variation was observed in acid-hydrolyzed ether extract, ether extract, ash, calcium (Ca) and total phosphorus contents among the CGM samples. On dry matter (DM) basis, the DE and ME contents of the CGM ranged from 10.22 to 15.83 MJ/kg and from 9.94 to 15.43 MJ/kg, respectively. The acid detergent fiber (ADF) conten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DE and ME contents of CGM samples. The best-fit prediction equations for the DE and ME values (MJ/kg DM) of the 10 CGM were: DE = 26.85-0.28 insoluble dietary fiber (%)-17.79 Ca (%); ME = 21.05-0.43 ADF (%)-11.40 Ca (%). Conclusion: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CGM vary depending on sources, particularly in ether extract and Ca. The DE and ME values of CGM can be predicted based on their chemical composition in growing pigs.

Effects of Bedding Material Composition in Deep Litter Systems on Bedding Characteristics and Growth Performance of Limousin Calves

  • Meng, J.;Shi, F.H.;Meng, Qingxiang;Ren, L.P.;Zhou, Z.M.;Wu, H.;Zhao, L.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1호
    • /
    • pp.143-150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fferent litter mixture compositions on bedding system temperature, pH and volatile fatty acid and ammonia-N ($NH_3$-N) content, and the serum physico-chemical parameters and growth indices of calves. Thirty-two Limousin calves ($280{\pm}20kg$)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groups (n = 8 for each group) according to the bedding system used: i) control with soil only (CTR); ii) mixture with 50% paddy hulls (PH), 30% saw dusts (SD), 10% peat moss (PM) and 10% corn cobs (CC) (TRT1); iii) mixture with 15% PH, 15% SD, 10% PM, 40% CC, and 20% corn stover (CS) (TRT2); iv) mixture with 30% PH, 10% PM, 40% CC, and 20% CS (TRT3). The litter materi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reatments were based on the cost of bedding system materials in China. The cost of four treatments from low to high: Control$NH_3$-N level (271.83 to 894.72 mg/kg) was lowest for TRT1 (p<0.0001) and highest for TRT2 (p<0.0001). The acetate, propionate and butyrate levels were highest for the control group (p<0.0001). In all the groups, the pH value (6.90 to 9.09) increased at the beginning and later remained stable at below 9.09. The temperature of deep litter increased at the first week and reached the maximum ($42.1^{\circ}C$) on day 38. 3,5,3'-Triiodothyronine ($T_3$) levels in the TRT1 group animals (p<0.0001)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and TRT2 animals. 3,5,3',5'-Tetraiodothyronine ($T_4$) in the TRT1 group (p = 0.006) was lower than that in the other treatment groups. Cortisol (COR) in the control and TRT1 group was lower (p<0.0001) than that in the TRT2 and TRT3 groups. Corticosterone (CORt) in the control group was higher (p<0.0001) than that in the treatment group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deep litter bedding systems provided better conditions for animal health and growth performance compared with the control system. Furthermore, the litter composition of TRT1 was found to be optimal among the three treatment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