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rtup Team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8초

창업교육에 대한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study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bout Entrepreneurship Education)

  • 박지은;고영건;조정원;박정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53-64
    • /
    • 2020
  • 미래를 주도하는 유아교육과 학생들을 위한 창업교육은 교육 현장에 적용될 수 있어야 하며, 유아교육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업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관한 기초 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유아교육과 학생들을 위해 다양한 창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이론적 자료들을 수집하였으며, 창업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이를 위한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요구조사를 위해 온라인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수집한 239개의 설문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첫째, 졸업 직후의 진로와 더불어 졸업 후 기간이 경과한 후의 진로에 대해서도 고려한 다양한 진로교육과 관련된 창업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둘째,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혼합형태의 다양한 교육영역과 내용을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셋째, 학습자요구 분석을 통한 정부기관에서의 맞춤 프로그램 지원이 필요하다.

밸브 입구 압력 변화에 따른 연소기 산화제 개폐밸브 열림 특성 (Opening Characteristics of a Main Oxidizer Shut-off Valve at Different Valve Inlet Pressures)

  • 홍문근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8권10호
    • /
    • pp.801-807
    • /
    • 2020
  • 밸브 입구 압력 변화에 따른 액체로켓엔진용 연소기 산화제 개폐밸브의 개방 특성에 대해 시험을 통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소기 산화제 개폐밸브의 포핏 방식 밸브 특성에 의해 밸브 입구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밸브 개방에 필요한 구동압력은 선형적으로 증가하며, 밸브 행정 시간은 감소하게 된다. 하지만 밸브 입구 압력 상승으로 밸브 개방 구동압력 도달까지의 시간이 길어져 전체적인 밸브 개방 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밸브 입구 압력이 증가할수록 밸브 행정 시간의 감소량은 미미해지며 밸브 개방에 필요한 구동압력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밸브 개방 시간을 좌우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밸브 구동부에 대한 설계를 통해 밸브 개방 시점의 밸브 입구 압력과 연소기로의 순간적인 산화제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다.

플랫폼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vestors' Investment Decision Factors in Platform Startup)

  • 허태환;민경세
    • 벤처창업연구
    • /
    • 제19권2호
    • /
    • pp.109-124
    • /
    • 2024
  • 본 연구는 플랫폼 비즈니스 기반의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자의 투자결정요인을 분석하여 투자를 준비하는 플랫폼 스타트업에게 투자자의 관점을 이해하고 사업을 검토하는 데 참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여 플랫폼 스타트업의 투자유치 성공률을 제고 및 플랫폼 생태계 활성화를 목적으로 한다. 투자자의 투자결정요인과 플랫폼 가치평가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플랫폼 스타트업에 적합한 투자결정요인을 도출한 뒤 AHP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각 요인의 중요도를 비교한 결과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내는 주요 요인은 플랫폼 특성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선정한 플랫폼 특성인 플랫폼 규모, 핵심 참여집단 확보 여부, 가치 고착 용이성, 확보한 데이터 가치가 플랫폼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결정요인으로 적절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플랫폼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경험 유무로 투자자 그룹을 나누어 비교한 결과 가장 큰 중요도 차이를 보인 요인은 확보한 데이터 가치였다. 이는 데이터의 가치에 대한 이해도가 투자의사 결정에 있어 주요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하며 플랫폼 스타트업은 확보한 데이터의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사의 비즈니스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지 검토해 보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기존의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결과를 비교해보면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던 창업자 특성의 중요도가 하위권으로 내려갔으며 플랫폼 스타트업에 적합한 특성들이 높은 중요도를 보였는데 이러한 차이가 나타난 이유는 전체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결정요인의 중요도를 분석하던 기존의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플랫폼 스타트업이라는 특정한 분야에 투자할 경우로 보다 세분화된 질문을 던졌기 때문이다. 덕분에 기존의 연구와 다른 투자자들의 응답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이처럼 기존 선행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플랫폼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결정요인은 비플랫폼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투자결정요인이나 가치평가에 관한 기준이 플랫폼 스타트업을 평가하는데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플랫폼이 비즈니스 생태계에 큰 변화를 일으키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좋은 플랫폼 스타트업을 발견하여 육성하는 것은 국가경쟁력 강화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과업이 될 것이다. 따라서 플랫폼 스타트업에 적합한 투자결정요인을 바탕으로 올바른 가치평가를 실시하여 옥석을 가려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 PDF

공동창업의 단계별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기회형 창업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Co-Founding Start-up by Step: Focusing on the Case of Opportunity-type Start-up)

  • 윤성만;성창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1호
    • /
    • pp.141-158
    • /
    • 2023
  • 창업가 관점에서 스타트업의 태생적 한계를 이해하고 실패에 대한 위험부담을 줄이며 성공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인재 즉, 창업팀의 구성이다. 이에 예비창업 단계 또는 창업초기 단계의 창업가들이 경험하는 공통적인 고민은 단독창업과 공동창업에 대한 선택일 것이다. 그럼에도 우리나라는 현재 단독창업 비중이 공동창업 대비 현저히 높은 실정이다. 이에 반해 다수의 성공적인 글로벌 혁신기업은 공동창업의 형태라는 점에 주목하여 공동창업 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해 고찰하였다. 관련 선행연구 대부분 창업의 생존과 성공에 미치는 요인으로 창업가 개인의 역량과 특성을 규명하는 연구들로서 실제 창업생태계 현장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동업 즉, 공동창업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회형 창업에 성공한 국내 스타트업의 공동창업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와 관련 자료의 수집, 맥락 정보의 분석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다중사례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공동창업의 단계별 특성과 핵심 성공요인을 도출하는 모델을 제언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창업 단계의 핵심요소는 '기회', 성공요인은 '창업가의 경험을 통한 기회인식'과 '아이디어 개발'로 나타났다. 창업초기 단계의 핵심요소는 '창업팀', 성공요인은 '창업팀의 신뢰와 상호보완'으로 '창업팀의 다양성과 동질성'이 조화를 이루어 시너지 효과가 발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창업초기 공동창업자 간 발생하는 갈등은 창업생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팀 갈등은 끊임없는 '의사소통을 통한 상호이해와 존중', '명확한 업무구분과 역할분담'으로 극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창업성장 단계의 핵심요소는 '자원', 성공요인으로 '우수인재 확보'와 '외부자금 조달'이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창업학 연구에서 한정된 자원과 경험 부족 및 실패에 대한 위험부담 등 창업기업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성공률 제고를 위한 대안 중 하나로 공동창업의 형태가 주목받는 상황에서 창업을 준비하는 예비 창업가들과 창업생태계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있다.

  • PDF

가스터빈 케이싱의 구조안전성 및 누설 평가 (Evaluation of Structural Integrity and Leakage for a Gas Turbine Casing)

  • 서희원;함동우;김경국;한정삼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4호
    • /
    • pp.347-354
    • /
    • 2016
  • 가스 터빈은 기동 및 정지 횟수가 많기 때문에 열피로나 취화 현상으로 인한 가스터빈 케이싱의 균열 또는 케이싱의 플랜지면에서 고온고압 가스의 누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가스터빈 케이싱의 구조안전성 및 플랜지면에서의 누설평가는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부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한요소해석을 바탕으로 터빈 케이싱의 ASME B&PVC VIII-2 구조안전성 평가 및 접촉압력을 통한 누설 평가 그리고 볼트의 구조안전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또한 가스터빈 케이싱의 유한요소모델링 및 해석/평가 방법을 제안하여 가스터빈 개발에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Modeling of a Dual Stator Induction Generator with and Without Cross Magnetic Saturation

  • Slimene, Marwa Ben;Khlifi, Mohamed Arbi;Fredj, Mouldi Ben;Rehaoulia, Habib
    • Journal of Magnetics
    • /
    • 제20권3호
    • /
    • pp.284-289
    • /
    • 2015
  • This paper discusses general methods of modelling magnetic saturation in steady-state, two-axis (d & q) frame models of dual stator induction generators (DSIG). In particular, the important role of the magnetic coupling between the d-q axes (cross-magnetizing phenomenon) is demonstrated, with and without cross-saturation. For that purpose, two distinct models of DSIGs, with and without cross-saturation, are specified. These two models are verified by an application that is sensitive to the presence of cross-saturation, to prove the validity of these final methods and the equivalence between all developed models. Advantages of some of the models over the existing ones and their applicability are discussed. In addition, an alternative is given to evaluate all saturation factors (static and dynamic) by just calculating the static magnetizing inductance which is simply the magnitude of the ratio of the magnetizing flux to the current. The comparison between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proposed model with experimental results gives a good correspondence, especially at startup.

Research on Entrepreneurial Leadership: Focusing on the Research of the Past 10 Year

  • KIM, Seo-Young;KIM, Shang-Soon
    • 융합경영연구
    • /
    • 제8권4호
    • /
    • pp.37-45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oncept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by reviewing the relevant existing studies, and to examine changes in entrepreneurial leadership research through review and statistical analysis on the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and international journal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mong the papers published between 2010 and 2020, 8 Korean studies and 42 international studies (UK and US) that clearly identify entrepreneurial leadership as research topic were analyzed. Results: Examinations on the yearly trends, keywords, and research methods reveal that research on entrepreneurial leadership is increasing recently with the emphasis on the statistical analysis. Keyword analysis shows high frequency of team and innovation for domestic research, while overseas research focuses on entrepreneurship, leadership, and gender associated keywords. Conclusions: This study has confirmed that overseas studies employ various methodologies, focusing on statistical analysis and that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are in progress. For domestic cases, studies on entrepreneurial leadership are limited in number. Research topics and methods are areas that need further improvements. Research on entrepreneurial leadership has recently begun, requiring diversity in the subjects and methods for future development

작동 횟수에 따른 연소기 산화제 개폐밸브 작동 특성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Main Oxidizer Shut-off Valve According to Operating Times)

  • 홍문근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77-83
    • /
    • 2020
  • 본 논문에서 연소기 산화제 개폐밸브의 작동 특성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극저온 및 상온 작동 시험으로 이뤄진 밸브 내구성시험 내용과 함께 시험 결과를 소개하였다. 극저온 및 상온 내구성시험을 통해 밸브 작동 횟수와 상관없이 밸브의 작동 특성이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밸브 작동 특성을 대표하는 주요 압력 측정값과 마찰력 및 스프링 예측값이 밸브 내구성시험 내내 대략 최대 ±3% 이내 수준에서 동일하게 측정되었으며, 연소기 산화제 개폐밸브의 이와 같은 안정적인 밸브 작동 특성은 해당 밸브가 적용되는 엔진의 안정적인 시동 및 종료를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R콘텐츠를 활용한 기후위기그림책 패키지의 개발 사례 (A Cas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Climate Crisis Picture Book Package Using AR Contents )

  • 한유미;박성원;최예정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9권6호
    • /
    • pp.145-157
    • /
    • 2022
  • Climate crisis is one of the most urgent and serious threats to the right to life. As AR picture books are particularly effective for safety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produce an AR picture book featuring animals that are endangered due to the climate crisis. In order to increase the educational effect and enhance the climate sensitivity, this study developed a children's activity workbook (with follow-up activities) and a teacher's guide (with lesson plans) as a package. To this end, market research and surveys were first conducted. Next, through the management and support of the Korea Institute of Startup &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this research team produced a climate crisis themed AR picture book package through expert advice, help from outsourcing companies, and field application. The package was promoted through publicity in various forms of media. The contents of the AR-using picture book package of this case study were introduced and the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were discussed.

비즈니스 모델 혁신 프레임워크 기반의 액셀러레이터 투자결정요인 연구 (A Study of Accelerator Investment Determinants Based on Business Model Innovation Framework)

  • 정문수;김은희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2호
    • /
    • pp.65-80
    • /
    • 2022
  • 스타트업의 불확실성과 위험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이들에게 전문적인 보육과 투자를 실행하는 액셀러레이터의 독특하고 중요한 역할은 창업생태계에서 날로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액셀러레이터의 생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투자결정요인에 대한 학계의 연구는 초기 단계로 소수의 실증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아직 이론적인 토대를 갖추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액셀러레이터의 투자 대상이 되는 스타트업의 본질과 속성을 반영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혁신 이론을 기반으로 비즈니스 모델 혁신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12개의 투자결정요인을 도출한다. 프레임워크는 스타트업의 혁신의 대상과 방향 그리고 동력을 비즈니스 모델과 전략, 동적역량으로 각각 정의하였고, 비즈니스 모델 혁신 프레임워크를 기준으로 기존의 액셀러레이터의 투자결정요인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비즈니스 모델 혁신의 정적관점에서 대부분 항목이 충실히 구성되었으나 활동성을 평가하는 핵심활동과 고객관계와 관련된 요인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략관점에서는 내부전략 요인인 핵심자원의 정의와 내용을 포괄할 수 있는 요인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셋째, 동적관점에서 액셀러레이터의 투자결정요인의 상당수가 기본 수준의 동적역량에 집중 된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적은 자원과 소수의 인원으로 솔루션을 개발해야 하는 스타트업의 특성을 반영한 결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비즈니스 모델 혁신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액셀러레이터의 투자결정요인을 도출함으로써 투자결정요인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 후속 연구의 기초를 놓았다는 점에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비즈니스 모델 혁신 프레임워크는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창업지원기관의 성과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