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phylinidae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9초

Interesting Species of the Laboulbeniales from Upo Swamp

  • Lee, Yong-Bo;Kim, Kyoung-Tag;Lim, Chae-Kyu
    • Mycobiology
    • /
    • 제30권3호
    • /
    • pp.128-132
    • /
    • 2002
  • Eight species belonging to two genera of the Laboulbeniales, parasitic on the family Carabidae and Staphylinidae of the order Coleoptera, were collected from Upo natural swamp in 1996-2001. They are as follows; Laboulbenia anoplogenii parasitic on Platynus daimio, L. cristata on Paederus parallelus, L. egens on Tachys laetifica, L. flagellata on Platynus daimio, L. pedicellata on Bembidion morawitzi, L. philonthi on Philonthus wuesthoffi, L. stenolophi on Acupalpus inornatus and Philonthus longicornis, and Peyritschiella biformis on Philonthus micaticollis. Among these species, the genus Platynus as the host of L. anoplogenii and the genus Acupalpus as the host of L. stenolophi are new to science. Bembidion morawitzi as the host of Laboulbenia pedicellata and Philonthus micanticollis as the host of Peyritschiella biformis are new to Korea.

남한 미기록종 호리바수염반날개와 배구멍바수염반날개 (Blepharhymenus koreanus Paśnik and Tachyusa wei Pace New to South Korea (Coleoptera: Staphylinidae: Aleocharinae))

  • 송정훈;안기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11-314
    • /
    • 2013
  • 남한 미기록종인 Blepharhymenus koreanus Pa$\acute{s}$nik (호리바수염반날개) (신칭)과 Tachyusa wei Pace (배구멍바수염반날개)(신칭)을 처음으로 기록한다. 두 종에 대한 성충의 사진, 재기재 및 주요 형질에 대한 그림을 함께 제시한다.

Eight Newly Recorded Species of the Genus Blacus (Hymenoptera: Braconidae: Blacinae) in Korea

  • Lee, Hye-Rin;Belokobylskij, S.A.;Ku, Deok-Seo;Byun, Bong-Kyu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6권1호
    • /
    • pp.31-34
    • /
    • 2020
  • The genus Blacus Nees is cosmopolitan genus of the subfamily Blacinae. The members of genus Blacus endoparasites of colepterous larvae: Staphylinidae, Nitidulidae, Cryptophagidae, Scolytidae, Anobiidae, Curculionidae and Melyridae. Previously, 13 Korean species of the genus have been investigated by several researchers. In this study, eight species of the genus Blacus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Blacus apaches Achterberg, B. chabarovi Belokobylskij, B. compressus Belokobylskij, B. fischeri Haeselbarth, B. interstitialis Ruthe, B. mamillanus Ruthe, B. robustus Haeselbarth, and B. ussuriensis Belokobylskij. Diagnosis and host records are given for each species.

List of beetles (Coleoptera) associated with the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Fr., in the Onon-Balj National Park of Mongolia

  • Jung, Boo Hee;Park, Sun-Jae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3권2호
    • /
    • pp.123-126
    • /
    • 2014
  • We present a list of the beetle species associated with the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Fr. in the birch forest of Onon-Balj National Park in Mongolia. A total of 21 species in seven families were found in this fungus, including fungivorous species: Litargus japonicus Reitter and Mycetophagus antennatus (Reitter) (Mycetophagidae), Pseudamblyopus similis (Lewis) (Erotylidae), and Lordithon sp. (Staphylinidae) etc. Both adult and larval forms are presented in the checklist along with the type of fungal association, of which approximately 52 percent are obligate mycetobionts. The main trends of the ecological and trophic specialization of the mycetophilic beetles are discussed.

한국산 미기록 곤봉개미사돈 Philoscotus rostralis (딱정벌레목: 반날개과: 개미사돈아과)에 대한 보고 (A Species of Euplectitae (Coleoptera: Staphylinidae: Pselaphinae) New to Korea)

  • 강지원;박선재;김아영;박종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229-231
    • /
    • 2019
  • 개미사돈아과의 미기록종인 Philoscotus rostralis Nomura를 한국에 처음으로 보고한다. 정확한 동정을 위해 외형과 진단형질의 사진과 분포지도를 함께 제공한다.

한국산 멧개미사돈속(딱정벌레목: 반날개과)의 미기록종 보고 (A Species of the Genus Parapyxidicerus Sawada, 1964 (Coleoptera: Staphylinidae) new to Korea)

  • 강지원;박선재;김아영;박종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353-356
    • /
    • 2020
  • 개미사돈아과의 미기록종인 멧개미사돈(Parapyxidicerus carinatus Sawada, 1964)(신칭)을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하며 이들이 속한 한국 미기록족 Bythinoplectini에 대해 함께 보고한다. 털어잡기 방법으로 세 개체의 표본이 경기와 강원도의 물가에서 확보되었다. 정확한 동정을 위해 외형과 진단형질의 사진 그리고 분포지도를 함께 제공한다.

채집법에 따른 연엽산 일대 딱정벌레목의 출현상 비교 분석 (Comparison of Occurrences of Coleoptera by Three Sampling Methods in Mt. Yeonyeop Area, Korea)

  • 정종국;이승일;최재석;권오길
    • 환경생물
    • /
    • 제23권3호
    • /
    • pp.228-237
    • /
    • 2005
  • 2004년 4월부터 9월까지 총 6개월 동안, 강원대학교 학술림내 연엽산 일대의 딱정벌레목의 출현상을 채집방법에 따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Sweeping에 총35과 151종 690개체가 나타났고, light trap에 30과 148종 689개체가 출현하였으며, 그리고 pitfall trap에는 총18과 112종 1674개체가 채집되었다. 채집방법별 건중량은 pitfall trap (181.46 g), light trap (39.85 g), 그리고 sweeping (10.89 g)의 순으로 나타났다. Light trap으로는 크기가 작고, 비행성이 강한 Coccinellidae, Nitidulidae, Scarabaeidae 등이 주로 출현하였으며, 7월에 종수가 가장 많았다. 또한 pitfall trap의 경우, 크기가 크고, 육식성 또는 부식성인 Carabidae, Silphidae, Staphylinidae종류가 많이 출현하였다. 특히 가장 많은 개체수가 채집되었지만, 종수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그리고 sweeping의 경우 식식성이거나 미소 곤충을 포식하는 작은 크기의 Chrysomelidae, Curculionidae, Coccinellidae등이 많이 출현하였고,5월에 종수가 가장 많았다. 채집방법간 유사도 분석 결과, Jaccard's index의 값이 light trap-pitfall trap에서 0.07, light trap-sweeping에서 0.10,그리고 pitfall trap-sweeping에서 0.01로 상관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각 채집방법에 따른 효과는 모두 달랐으며, 다양성 연구 시 세 가지 방법 모두를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한국산(韓國産) 충생균류(蟲生菌類)에 대한 연구(硏究) (I) (Studies on the Laboulbeniomycetes in Korea (I))

  • 이용보;이지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77-192
    • /
    • 1981
  • 한국산(韓國産) 충생균류(蟲生菌類)에 관(關)한 연구(硏究)가 저자(著者)들에 의해서 채집(採集)된 많은 곤충(昆蟲)들 중에서 여러 종(種)들이 발견(發見)되었다. 이 논문(論文)에서 Carabidae, Endomychidae, Staphyinidae과(科)들의 곤충(昆蟲)들 중에서 발견(發見)된 이 균류(菌類)의 4속(屬) 7종(種)은 한국에서 처음으로 기록(記錄)된 것이며,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Dichomyces biformis Thax. (host: Philonthus micanticolis), D. furcifer Thax. (host: Philonthus sp.), Enathromyces indicus Thax. (host: Pheropsophus jessoensis), Laboulbenia exigua Thax. (host: Chlaenius varricornis Bates.), L. flagellata Peyr. (host: Anisodactylus punctatipennis Moraw.), L. vularis Peyr. (Host: Bembidion oxyglimma, Bates. B. thermarum Mostchulsky.) Rickia ancylopi Thax. (Ancylopus melanocephalus Oliv.)이다. 연구(硏究)된 모든 표본(漂本)들은 조선대학교사범대학생물학(朝鮮大學校師範大學生物學) 연구실(硏究室)에 보관되어 있다.

  • PDF

송이에 서식(棲息)하는 절지동물상(節肢動物相) (The Arthropod Fauna Inhabited in Pine Mushroom)

  • 김호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2권1호
    • /
    • pp.1-8
    • /
    • 1986
  • 송이에 서식(棲息)하는 절지동물(節肢動物)을 채집 분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송이에 서식(棲息)하는 곤충(昆虫)은 총(總) 7목(目) 19과(科)였다. 또한 곤충(昆虫) 이외(以外)에 거미목(目), 응애목(目), 선충목(目), 병안목(目) 등의 동물(動物)도 함께 서식(棲息)하였다. 2. 송이를 가장 크게 가해(加害)하는 것은 Gyroþhaena niponensis, 방아벌레과(科)(Elateridae)의 일종, 초파리과(科)(Drosophilidae) 일종의 곤충(昆虫)과 만달팽이과(科)(Philomycidae) 일종의 동물(動物)이었다. 3. 우점종은 반날개과(科)의 Gyroþhaena niponensis였다. 4. 천적(天敵)으로 유력시 되는 Oxyρorus germanus, 줄침노린재(Sþhedanolestes impressioollis), 벼룩파리과(Phoridae), 딱정벌레과(科)(Carabidae)의 Pristodactyla crocata, 금좀벌과(科)(Pteromalidae)의 일종, 좀벌과(科)(Eulophidae)의 Terastichus hagenowi 등의 곤충(昆虫)과 거미목(目)(Araneina)의 Achaearanea tepidariorum, Micrommata virescens 등의 동물(動物)이 서식(棲息)하고 있었다.

  • PDF

Influences of Forest Type and Fragmentation by a Road on Beetle Communities in the Gwangneung Forest, South Korea

  • Kwon, Tae-Sung;Jung, Jong-Kook;Park, Young-Seuk
    • 생태와환경
    • /
    • 제54권1호
    • /
    • pp.61-70
    • /
    • 2021
  • The effects of forest type and fragmentation of forests by a road on the beetle community were investigated in the Gwangneung Forest, South Korea. Beetles were collected monthly using pitfall traps and by sweeping at 16 sites (eight in coniferous forests and eight in deciduous forests) for one year from April 1993 to April 1994, excluding winter. A total of 17,616 beetles belonging to 271 species from 39 families were collected. Among them, Synuchus cycloderus was the dominant species, with 14,060 individuals accounting for 80% of the total population. The influence of forest type (coniferous and deciduous) or sampling region (fragmented by a road) on species richness(number of species) was observed. We found that species richness was substantial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ampling method and taxa used. Beetles collected using pitfall traps responded more sensitively to habitat types than those collected by sweeping. Four dominant families differently responded to forest fragmentation and forest types. Carabidae was influenced by forest fragmentation, whereas Staphylinidae and Curculionidae were influenced by forest types. Chrysomelidae was not influenc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