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ing stocks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18초

새만금 수역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경년(2001-2010) 변화 (Annual Variations(2001-2010) of Phytoplankton Standing Stocks in Saemangeum Water Region)

  • 여환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326-4333
    • /
    • 2012
  • 새만금 방조제 건설기간에 해당하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 10년간 새만금 수역에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을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조사 시기 및 조사 정점에 따라 57 - 85,219 cells/ml의 큰 변화를 보였다. 새만금호 내부 수역은 담수 및 해수의 유입량 변화와 계절변화에 기인하여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이 시공간적으로 변화하였다. 한편, 담수 정점들은 상시적으로 높은 현존량이 기록되어 녹조발생이 잦았으나 방조제 밖 해수역의 현존량은 보편적 범위에 있어왔다. 장기적 관점에서 방조제 물막이 공사 완공(2006년 4월)을 전후하여 비교할 때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고리해역 표영환경내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변화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Pelagic Environment of Kori, Korea)

  • 여환구;허성회
    • 환경생물
    • /
    • 제17권1호
    • /
    • pp.71-77
    • /
    • 1999
  • 고리원전 주변 해역에서 1995년 1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총 13회의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식물플랑크톤은 총 162개 분류군(미동정종 포함)이 출현하였으며 그중 규조류가 총 120종이 출현하여 가장 많은 종수를 보였고 규질편모류 3종, 와편모조류 34종, 유글레나조류 2종, 녹조류 1종, 기타편모류 2종 등이 출현하였다. 규조류 종인 Skeletonema costatum은 연중 우점종으로 기록되었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월 평균값 변화는 최저 94 cells/ml(8월)에서 최고 1059 ce11s/m1(7월)에 이르며 2월과 7월에 현존량의 peak가 나타났다. 고리원전 주변해역에서는 온배수에 의한 영향이 계절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겨울과 가을철에 한하여 1∼3 km의 수역에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증가가 일어 날 수 있음을 나타내었고 여름철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온배수의 영향이 상당히 부정적임을 나타내었다.

  • PDF

북동태평양 Clarion-Clipperton 균열대의 망간단괴 채광을 위한 환경충격시험 예정 지역 심해 해저면에 서식하는 중형저서생물 현존량 및 공간 분포 특성 (Standing Stock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Meiofauna on Deep-sea Sediment in an Environmental Impact Experiment of a Candidate Site for Manganese Nodule Development, NE Pacific)

  • 민원기;노현수;김동성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125-1139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al pattern of meiobenthos associated with future deep-sea mining in the Korea Deep Ocean Study area present in the Clarion-Clipperton Fracture Zone (CCFZ) locate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North Pacific Ocean. Standing stocks of meiobenthos were investigated in benthic impact experiment sites (BIS) and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long-term monitoring (KOMO) sites during the 2008-2014 annual field survey. A total of 14 taxa of meiobenthos were identified. Nematodes were the most abundant taxon (60-86%). Harpacticoid copepods (5-26%) and benthic foraminifera (1-12%) were also dominant at all sites. The total meiobenthic densities varied from 4 to 150 ind./10 cm2. The mean value of total meiobenthic abundance was higher at BIS than at KOMO sit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ites. The mean values of the number of taxa and biomass at BIS and KOMO sites were similar. The mean abundance of nematodes that were the most dominant taxa was also higher at BIS than at KOMO sites. The standing stocks in our study sites were relatively lower than those previously reported at other CCFZ sites. These results seem to reflect a low organic concentration in the study area.

진해만 동부 해역내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수질환경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Water Quality in the East Area of Chinhae Bay)

  • 여환구;박미옥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31-238
    • /
    • 1997
  • The community of phyloplankton and water quality were Investigated 5 times from October, 1994 to October, 1995 In the east area of Chinhae Bay. Seasonal changes of enoronmental parameters were shown general pattern and related to the red tide mechanism of phytoplankton community. Seasonal variations of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s were affected by the photosynthetic activity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the Increase of COD at the bottom water was occurred after the red tide. The standing stocks of phytoplankton In this study area ranged 202 - 1616 Cells . ml-1 and the bloom(red tide) was formed from April to July. The diatom species, Skeletonema costahm was a dominant species all the year round and the dinoflagellate species, Alexandrium tmuense and prorocentrum triestinum were red tide species Increased standing stocks in phytoplankton bloom.

  • PDF

한국동해 남부해역의 일차생산계 I. 생물량과 생산력 (Primary Production System in the Southern Waters of the East Sea, Korea I. Biomass and Productivity)

  • 심재형;여환구;박종규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1-100
    • /
    • 1992
  • 한국 동해 남부해역 일차생산계의 구조와 특성을 밝히기 위해 엽록소량, 식물플랑 크톤 현존량, 영양염 및 수리적 성분들을 C-14 방법에 의한 일차생산력 측정과 병행하 여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는 구해역 일차생산력은 기존의 연구들에서 보다 높 은 284 - 4.574 mgC·m/SUP -2/·day/SUP -1/의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평균값은 2,000 mgC·m/SUP -2/·day/SUP -1/로 계산되었다. 진광대 내의 일차생산자 현존량은 비교적 컸으나 해수중 무기 질소태 영양염은 높은 일차생산을 유지시키기는 어려운 낮은 농도 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질소태 영양염은 종속영양 생물과정과 수층의 수직혼합에 의한 상층으로의 유입에 의해 빠른 순환 공급이 예상된다. 표층하 엽록소량 최대 현상은 진 광대의 기저부에서 계속적으로 관찰되었으며 그 깊이는 등밀도 표면대 보다는 영양염 약층과 더 밀접한 관계를 보여 엽록소량 분포와 일차생산이 일차적으로 영양염 공급에 영향받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해역은 낮은 영양염 농도에서 불구하고 식물 플랑크톤 현존량과 생산량은 비교적 크고 자가영양 미소 및 초미소플랑크톤의 생산량 이 중요하였다.

  • PDF

우리나라 입목의 초기 생장 특성에 따른 유령림의 임목축적 산출방안 고찰 (Methodological Consideration for Estimating Growing Stock of Young Forests based on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of Standing Trees in Korea)

  • 문가현;문나현;임종수;강진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3호
    • /
    • pp.300-312
    • /
    • 2020
  • 우리나라의 산림자원 중 유령림에 포함되는 I 영급(10년생 이하)은 입목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임목축적을 '0'으로 가정하여 국가통계를 산출하고 있으며, 온실가스 배출 및 흡수량 산정을 위한 탄소흡수량에서도 누락되고 있다.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의 이행 및 산림부문 탄소저장량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유령림의 산림자원에 대한 정확한 통계정보의 수집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유령림의 초기 생장 특성을 파악하고 국가산림자원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유령림의 임목축적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유령림의 초기 생장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령림의 초기 생장에 관한 문헌조사, 수종별 수간석해 분석 및 현실림 임분수확표에 의한 지위지수별 유령림의 생장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유령림에서 대부분의 입목은 흉고직경 6 cm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흉고직경 6 cm에 도달하는데 평균 12년이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유령림의 임목축적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치수조사구에서 근원경의 경급별 평균묘고가 조사되어야 하며, 교목을 비롯한 다양한 관목이 조사되고 있으므로 교목 수종을 구분할 수 있도록 분석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수준(LOS)을 감안한 고속철도 노선 및 차량관리방안 (A Study on Managing High-Speed Railway Links and Rolling Stocks Based on the Level of Service)

  • 오재경;김시곤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6호
    • /
    • pp.1025-103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고속철도 노선 및 철도차량의 서비스수준을 정의하고 이를 감안한 철도노선 및 철도차량의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고속철도시설의 서비스수준(LOS) 등급은 A부터 F까지 6단계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우선, 고속철도 노선의 서비스수준을 나타내는 효과척도는 열차지연으로 정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총 지연시간과 노선이용률 간 관계를 활용하여 서비스수준을 구분하였다. 추가적으로 노선용량이용율 (V/C)이라는 효과척도도 제시되었다. 한편, 고속철도 차량의 서비스수준을 결정짓는 효과척도는 차량 내 탑승 승객밀도로 정하였다. 좌석정원을 꽉채우는 수준을 LOS "D"로 정의하고 LOS A는 LOS D의 50%, LOS B는 LOS D의 70%, LOS C는 LOS D의 90%, LOS E~F는 최대 좌석수에 입석승차수를 감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정부에서 정한 목표 서비스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철도노선과 철도차량을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서해산 김 엽체상의 미소생물과 김의 병해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1 . 부착규조류와 주변해수의 식물플랑크톤의 종 조성 및 현존량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piphytic microbes and the blight of Porphyra species from the coastal waters of the Yellow Sea, Korea 1 . Species composition and standing stocks of epiphytic diatom and ambient water phytoplankton)

  • 김중래;신윤근;이건형;이원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9-88
    • /
    • 1991
  • 김의 병해를 일으키는 부착규조류와 주변해수의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양상을 조사하고자 개야도, 편포, 목포 등 세곳에서 1989년 2월부터 1990년 3월까지 시료를 채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동정된 부착 규조류는 40종이며 우점종은 Licmophora dalmatica, L. abbreviate, Melosira nummuloides, Paralia sulcata, Achnanthes javanica var. subconstricta, Grammatophora oceanica, Navicula sp., Synedra sp., Pinnularia sp., Fragitaia striatula, Cocconeis scutellum var. parva 등이었는데 그 중 Licmophora dalmatica가 가장 우점하였다. 주변해수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서해 다른 연안에 비해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다. 격포와 개야도의 부착규조류, 주변해수의 식물플랑크톤 상은 유사하였으나 목포의 경우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 PDF

Estimation of Biomass and Carbon Stocks of Trees in Javadhu Hills, Eastern Ghats, India

  • Tamilselvan, Balaraman;Sekar, Thangavel;Anbarashan, Munisamy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7권2호
    • /
    • pp.128-140
    • /
    • 2021
  • Tropical dry forests are one of the most threatened, widely distributed ecosystems in tropics and estimation of forest biomass is a crucial component of global carbon emission estimatio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quantify the biomass and carbon storage in trees on large scale (10, 1 ha plots) in the dry mixed evergreen forest of Javadhu forest of Eastern Ghats. Biomass of adult (≥10 cm DBH) trees was estimated by non-harvest methods. The total biomass of trees in this tropical dry mixed evergreen forest was ranged from 160.02 to 250.8 Mg/ha, with a mean of 202.04±24.64 Mg/ha. Among the 62 tree species enumerated, Memecylon umbellatum accumulated greater biomass and carbon stocks (24.29%) more than the other species in the 10 ha study plots. ANOVA revealed that there existed a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total biomass and carbon stock among the three plant types (Evergreen, brevi-deciduous and deciduous (F (2, 17)=15.343, p<0.001). Basal area and density was significant positively correlated with aboveground biomass (R2 0.980; 0.680) while species richness exhibited negative correlation with above ground biomass (R2 0.167). Finding of present study may be interpreted as most of the trees in this forest are yet to be matured and there is a net addition to standing biomass leading to carbon storage.

Carotenoid Pigments from Suspended and Sinking Particulate Matter in Prydz Bay, Antarctica

  • Noh, Il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357-1371
    • /
    • 2011
  • Suspended and sinking particles were collected during ODP Leg 119 to the Indian Ocean sector of the Antarctic Ocean. Field work was carried out at four sampling sites in Prydz Bay. Two of these sites were located in the Outer Bay, and two in the Inner Bay. At the four locations, a total of ten deployments of a sediment trap array were made. The concentrations of carotenoids both in suspended and sinking particulate matter in Prydz Bay were analyzed using HPLC. Fucoxanthin was the dominant carotenoid pigments both in suspended and sinking particles. The present study also indicates that 19'-hexanoyoxyfucoxanthin-containing prymesiophytes (Phaeocystis spp.) was abundant in the study area. The flux rates of carotenoids were generally highest at 50 m, and approximately double the flux rates at deeper horizons, however, at Inner Bay sites, the mean flux rates of carotenoids were greatest at 200 m, and 3 times greater than that of 50 m. Such anomalous high fluxes at 200 m imply that grazers were locally abundant between 100 m and 200 m at these sites close to land, and this hypothesis is supported by visual evidence of lots of fecal pellets in the 200 m trap. Integrates standing stocks versus sinking pigments data support that particulate material in Prydz Bay was not recycled rapi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