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ard Area for Neighborhood Part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3초

대구광역시 초등학교 소공원 조성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Creation of Small Parks in Daegu Elementary Schools)

  • 김후경;이현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78-8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create small parks in elementary schools in order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lso to increase the amount of greenspace in the city. Above all, the main goal is to create space for local residents in which they can enjoy their leisure time. During a basic investigation and document investigation of elementary schools in Daegu, I placed the priority on choosing the schools that showed the most promise. Also, by doing a survey about the present conditions at schools, I verified, compared, and analyzed the validity of creating small parks in elementary schools. The summary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average area available for building small parte in Daegu elementary schools is $7,447m^2$. Even though this area is not as large as a neighborhood parti the difference is not that great. Therefore, I assumed that building small parks in schools would be as effective as building neighborhood parks. The standard size for a children's parks is $1,500m^2$, and if small parks were to be constructed in all school areas with available space larger than a children's park (i.e., larger than $1,500m^2$), the amount of added park greenspace would equal $1,217,953m^2$. The number of schools with areas under $1,500m^2$ is only 3% of all schools in which small parte can be created(5 schools). Schools that have between $1,500m^2$ and $8,000m^2$of greenspace make up 59.7% of all schools in which small parte can be created (98 schools). Schools that have greenspace of more than $8,000m^2$ make up 37% of all school in which small parks can be created (61 schools). The standard area for neighborhood parte is $10,000m^2$ (building-to-land ratio 20%). Schools that have areas that are larger than the standard area for neighborhood parte make up 31% of all elementary schools in Daegu (61 schools). Therefore city greenspace would increase to a total of $694,805m^2$ by making use of these schools, which would represent 7% of the park greenspace in Daegu.

역세권내 역 인접 소공원의 유형별 이용행태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Analysis of User Behavior for the Revitalization of Small Parks near Stations by the Location Types in Influential Subway Area)

  • 이주희;박진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9-20
    • /
    • 2008
  • 2005년 3월 31 일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도시공원 분류체계에서 소공원과 주제공원을 세분화하여 추가하였으나, 기능, 규모, 유치거리가 명확한 개념이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특히, 조성 과정상의 확실한 설계되어 있지 않으며, 최근 법제화된 '도시공원 , 녹지의 유형별 세부기준 등에 관한 지침'(2007.2)에서도 유형을 공원의 설치위치 빛 성격에 따라 근린, 도심소공원으로 구분하였으나, 유형별 공원의 지정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 보고자 하는 역세권내 위치한 소공원은 설치위치 및 지역의 성격에 따라 그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유형에서의 설치위치 및 지역적 특징을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유형별 특성에 따른 공원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유형화를 위한분석기준은 각각의 공원은 인접한 역의 성격과지역의 성격이 다르므로 첫째, 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정의에서의 지역적 특성과 이용자 특성에 따른 유형분류로서 근린소공원과 도심소공원의 분류체계에 따라 공원유형분류 한다. 소공원 주변 용도배분비율과 기존의 소공원 설치 당시 공공에서의 설치목적을 각 구청의 담당자의 문의를 통하여 파악하고, 이용자의 거주특성의 경우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거주지와 거주동에 대한 질의응답을 통하여 각 공원의 주 이용자의 거주특성을 파악하여 최종 대상지 근린소공원 3개소, 도심소공원 3개소를 선정하였다. 둘째, 각 유형 관찰조사를 통하여 이용자들의 이용행태특성을 파악하고, 설문조사를 행하여 유형별 대상지의 이용실태 및 이용특성의 차이점과, 어떤 측면에서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이용실태 및 공원시설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 공원 환경적 측면의 만족도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다. 셋째, 관찰조사와 설문분석에 따른 결과와 관리 공무원과 공원설계자와의 인터뷰 결과를 종합하여 추후 계획시 고려하여야할 점으로 공원이용 활성화를 위한 시설 및 설계적 측면과 이용행태적 측면, 관리 및 운영적 측면에서 시사점을 도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