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quid-Viscera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6초

오징어 가공 부산물의 해양투기에 따르는 주변해양환경의 영향에 대한 검토 (Examination of the effect on the surrounding marine environment by disposing of a squid by-product)

  • 황보규;신현옥;김민선;강경미;남택정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7권1호
    • /
    • pp.27-36
    • /
    • 2011
  • Squid by-product like viscera has just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serious pollutants on the surrounding marine environment in Ulleung island of Korea. The effect as a marine pollutant, however, has not been examined and evaluated properly. It was carried out the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marine pollution by disposing squid by-products. The sediments and water qualities were investigated in several positions, including the dumping position around Ulleung island. It is also estimated a spreading of by-product in terms of estimating the sinking speed and evaluating the attracting characteristics as a feed. As a result, There were no significant pollutions of the sediment and water quality. The spreading of by-product by the local current was 2-2.5 times of the depth, and it will become longer in spring tide. It was confirmed that the squid by-product has attracting ability for local fish by acoustical survey. Furthermore, it can be useful for the local fish species as feeds.

Effects of Phospholipid Extract from Squid Viscera on Lipid Oxidation of Fish Oil

  • Hong, Jeong-Hwa;Jeong, Yong-Sil;Kim, In-Soo;Byun, Dae-Seok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78-383
    • /
    • 1995
  • Phospholipid(PL), phosphatidylcholine(PC) and phosphatidylcholine free PL(PCF) were extracted from squid viscera and the antioxidant effects of each fraction on the oxidation of refined fish oil were evaluated. Poly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PC(46.7%) followed by PL(44.8%) and PCF(40.9%). The effects of each phospholipid fraction on stabilizing fish oil were compared by incubating at 40$^{\circ}C$ for 10 days. At the initial period(2 days), changes in peroxide valu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 however, as incubation time was extended, PC fraction showed the strongest antioxidant activity. PL and PCF added to fish oils also resulted in increased stability against oxidation. Antioxidative effect of PC at the 5% level was equivalent to 0.05% BHT, 1% catechin and 1% tocopherol.

  • PDF

DHA 함유 지질 추출소재로서 수산부산물의 검색 (Screening of by-products derived from marine food processing for extraction of DHA-contained lipid)

  • 김정균;이응호;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3호
    • /
    • pp.215-219
    • /
    • 1997
  • 수산부산물을 식품소재와 같이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기초 연구로서 DHA 함유 지질 추출소재로서 붕장어, 칼치의 내장 및 두부, 꽁치, 포클랜드산 및 뉴질랜드산 오징어의 내장 등과 같은 부산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수산부산물의 건물당 지질함량은 $40.5{\sim}48.0%$이었고, 지질조성은 중성지질이 $92.1{\sim}99.0%$로 추출 소채에 관계없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중성지질은 트리글리세리드가 $50.0{\sim}69.9%$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유리지방산이 $7.8{\sim}20.3%$, 스테롤류가 $3.5{\sim}13.9%$, 탄화수소가 $4.2{\sim}10.2%$ 및 디글리세리드가 $3.5{\sim}9.3%$를 차지하였으며, 모노글리세리드는 2% 내외 이었다. 수산부산물에서 추출한 총지질의 지방산조성 중 폴리엔산의 조성비는 포클랜드산 및 뉴질랜드산 오징어 내장유가 각각 41.0% 및 38.2%로 어류 부산물유의 $27.7{\sim}33.3%$에 비하여 높았다. DHA조성비는 뉴질랜드산 오징어 내장유가 21.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포클랜드산 오징어 내장유(16.3%), 갈치 부산물유(13.9%), 붕장어 부산물유(11.7%) 및 꽁치 부산물유(10.7%) 등의 순이었다. 총지질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은 지질 추출 소재인 부산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16:0, 18:1n-9, 20:5n-3 및 22:6n-3 등이었다.

  • PDF

오징어 내장으로부터 추출한 지질성분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Different Lipid Extracts from Squid Viscera)

  • 정용실;홍정화;변대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96-703
    • /
    • 1994
  • 수산 폐기물의 효과적인 이용을 위하여 오징어 내장의 지질을 추출하여 용매를 달리하여 분리한 후 어유에 첨가하여 산화효과를 검토하였다. 오징어 내장의 주요 지방산은 팔미틴산($C_{16:0}$), 올레산($C_{18:1}$), 아이코산펜타엔산($C_{20:5}$), 그리고 도코사헥사엔산($C_{22:6}$)으로 추출용매의 종류에 따라 $64{\sim}71\%$를 차지하였으며 그 중 오메가-3 고도불포화지방산(n-3 PUFA)의 함량이 $41\%$ 이상이었다. 조지질을 정제어유에 각각 $5\%,\;1\%,\;0.5\%$ 첨가하여 $40^{\circ}C$에서 저장하면서 산화억제정도를 검토한 결과 적정농도 ($5\%$) 이하로 첨가할 경우의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헥산 추출물은 조지질이나 사염화탄소-메탄올추출물 보다 산화억제효과가 낮았으며 사염화탄소-메탄올(1 : 1, 1 : 3, 1 :9 v/v)추출물은 극성이 높을 수록 효과가 큰 것으로 미루어 볼 때 극성지질이 산화억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시판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간장 및 생식소의 일반성분과 지방산 조성 (The Proximate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Liver and Gonads of Commercial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 문수경;박혜진;정보영;김인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656-666
    • /
    • 2018
  • To evaluate the optimal time for extracting lipids from the viscera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the proximate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liver and gonads of commercial squid were analyzed according to sex for 6 months (Jul. to Sept. and Nov. to Jan.). The body and liver weights of the squid were larger in females than in males, and were larger from Nov. to Jan. than from Jul. to Sept. in both sexes. The average lipid contents in the livers of female and male squid were also higher from Nov. to Jan (22.9% and 24.9%, respectively) than from Jul. to Sept. (11.7% and 17.5%, respectively). The average lipid contents of the ovaries and testes were 5.16% and 1.76%, respectively, and changed little over the 6 months. The percentage of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eicosapentaenoic acid + docosahexaenoic acid) was higher in the gonads (44.8-49.1%) than in the liver (36.3-37.6%).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v. to Jan. is the best time to extract lipids from the liver, wherea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fficacy of lipid extraction from the gonads between the two seasons.

시판우유과 육류 . 해산물중 타우린 함량 (Taurine Contents in Commercial Milks, Meats and Seafoods)

  • 김을상;김중섭;문현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6-21
    • /
    • 1999
  • Taurine content was determined by HPLC equipped with RF detector in commercial milks, meats, edible viscera, ham, sausage, fishes and shellfishes, mollusca and crustacea. Taurine contained 1.06~1.57mg/100g in milks, 37.9~169.8mg/100g in lean meats, 11.3~192.4mg/100g in viscera, 45.0~109.1 mg/100g in ham, 11.7~26.0mg/100g in sausage, 31.6~431.9mg/100g in fishes, 125.9~1078.8mg/100g in shellfishes, 340.2~ 1305.6mg/100g in mollusca and 79.3~316.5mg/100g in crustacea. Webfoot octopus had the highest content of 1,306mg/100g, followed by small ark shell(1,079mg/100g), little neck clam (868mg/100g), hard shelled mussel(852mg/100g) and beka squid(734mg/100g).

  • PDF

Iatroscan에 의한 한국산 오징어의 부위별 콜레스테롤 함량 측정 (Quantitative Analysis Cholesterol in Each Parts of Korean Squid by the Chromarod TLC-FID System(Iatroscan))

  • 조순영;김옥선;최용석;송진향;야스시엔도;겐시로후지모토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21-224
    • /
    • 2004
  • 일반적으로 오징어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높다고 보고하고있지만, 이는 주요 가식부인 몸통육에 대한 것이고, 여타 스테롤도 함께 정량하는 비색법에 의한 정량 결과인 경우가 많아 신뢰하기 힘들다. 그리고 이런 단점을 개선한 효소법이나 GC법은 모두 다 또 다른 단점인 고가 효소 키트가 필요하다던가 복잡한 전처리가 필요하다던가 하여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오징어 몸통 이외의 새로운 가식부로 이용되고 있는 껍질부, 내장이나 간장부위 등에는 얼마만큼의 콜레스테롤이 함유되어 있는지 정량해 보고 아울러 기존 효소법이나 GC법의 단점을 모두 극복한 Iatroscan법에 의한 콜레스테롤 정량을 시도 확립해 보았다. 또한, 이 방법의 확립을 위해 필요한 오징어 부위별 수분함량과 지방함량 및 지방종 분석도 동시에 행하였다. 한국산 물오징어 중의 부위별 수분 및 지방함량에 있어서 간장부위가 각각 50.4%, 15%로서 다른 부위와 큰 차이를 보였고, 다른 부위는 각각 75.8∼83.6%, 1.9∼4.7% 수준으로서 큰 차이는 없었다. Iatroscan법에 의한 콜레스테롤 정량을 위한 근거가 되는 지방종 조성비에 있어서는 간장부위는 92.1%가 중성지방으로서 주성분을 이루고 있었고, 몸통육과 다리육이나 껍질부위는 인지질이 81.2∼87.9%%로서 주성분이었다. 5$\alpha$-cholestane을 내부표준물질로한 Iatroscan법에 의한 콜레스테롤 정량 결과 기존의 효소법과 GC법에 의한 수치와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아 가장 간단히 콜레스테롤을 정량해 내는 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즉, Iatroscan법으로 오징어 부위별 콜레스테롤을 정량한 결과 오징어 간장 부위에 643.2 mg%, 껍질에 608.8 mg%, 다리육에 321.4 mg%, 눈 부위에 159.5 mg%, 주가식부인 몸통육에 178.9 mg% 수준으로 콜레스테롤이 함유되어 있었다.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제조한 속성 멸치 액젓의 펩티드 특성 2. 멸치 액젓 및 Actomyosin의 가수분해 펩티드의 특성 (Peptide Properties of Rapid Salted and Fermented Anchovy Sauce Using Various Pretenses 2. Characterization of Hydrolytic Peptides from Anchovy Sauce and Actomyosin)

  • 최영준;김인수;조영제;서덕훈;이태기;박영범;박재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88-494
    • /
    • 1999
  • 멸치 액젓의 고유한 풍미를 유지하면서 신속한 발효를 진행시키기 위해 멸치, 오징어간 및 내장에서 추출한 조효소에 의한 멸치 actomyosin의 가수분해 특성과 생성된 펩티드의 분자량 분포를 조사하였다. 아울러 멸치를 마쇄하여 제조한 액젓, 멸치에 오징어간 및 내장에서 추출한 조효소와 상용효소인 Protamex를 첨가하여 제조한 멸치 액젓을 70일 숙성시킨 후 가수분해에 의해 생성된 펩티드의 성상을 gel chromatography 및 아미노산 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멸치, 오징어 간 및 내장에서 추출한 조효소의 최적 활성온도는 각각 $55^{\circ}C$, $40\~45^{\circ}C$$45\~60^{\circ}C$였으며, 오징어 간 및 내장에서 추출한 조효소의 멸치 actomyosin에 대한 비활성은 멸치에서 추출한 조효소에 비하여 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오징어 간 조효소는 멸치 조효소에 비하여 NaCl에 의한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멸치 actomyosin을 멸치 및 오징어간에서 추출한 조효소 용액으로 30분 동안 가수분해했을 때, 분자량 10,800, 5,800 및 2,600 dalton의 펩티드가 다량으로 생성되었으며, 분해 형태는 거 의 비슷하였다 멸치를 마쇄하여 제조한 액젓, 멸치에 오징어 간 및 내장에서 추출한 조효소와 Protamex를 첨가하여 제조한 멸치 액젓을 70일 숙성시킨 경우 분자량 300$\~$l,000 dalton의 저분자 펩티드가 다량 생산되었다. 이들 펩티드의 아미노산 조성은 액젓의 맛 성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glutamic acid, glycine 및 alanine의 함량이 많았으며, 오징어간을 첨가한 액젓이 마쇄한 멸치 액젓과 가장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Protamex의 경우는 glutamic acid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 쓴맛을 나타내는 isoleucine과 leucine의 함량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오징어간의 첨가가 멸치 육의 신속한 가수분해에 보완적인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한국산어패류중의 수은 카드뮴 납 구리의 함량 (THE CONCENTRATIONS OF MERCURY, CADMIUM, LEAD AND COPPER IN FISH AND SHELLFISH OF KOREA)

  • 원종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6권1_2호
    • /
    • pp.1-19
    • /
    • 1973
  • Heavy metal concentrations have been determined in fishes and shellfishes sampled from October 1971 to April 1972 in Korea. In general, fish viscera, shellfish muscle and crustacean exoskeleton contained high concentrations of the metals. With regard to the regional variations of the metals, samples of the west coast of Korea contained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of mercury, copper, cadmium and lead, but those of the south coast contained high levels of cadmium and lead. In particular, the concentrations of copper in the samples of the west coast were almost twice as much those of the other coasts. The concentrations of mercury in the samples, as a whole, ranged from 0.02 to 0.58 ppm with an average of 0.16 ppm. The concentrations of cadmium were higher in the fish viscera and shellfish than the fish muscle, ranging from less than 0.02 to 0.78 ppm with an average of 0.12 ppm in the fish and shellfish muscle samples. The lead concentrations were slightly high in the fish viscera. In the muscle and bone of fish and shellfish, the range was 0.06-4.84 ppm with an average of about 1 ppm. The concentrations of copper were very high in the viscera of fish and shellfish. The shellfish muscle contained almost four times as much copper as in the fish muscle, particularly cephalopods, i. e., squid and octopus, contained very high levels of copper, and oysters collected from Gunsan area on the west coast contained the highest levels of copper. The concentrations of copper ranged from 0.12 to 28.7 ppm with an average of 1.4 ppm in the fish muscle and of 5.9 ppm in the shellfish muscle.

  • PDF

오징어 내장의 지방질조성 (Characteristics of Squid Viscera Oil)

  • 김은미;조진호;오세욱;김영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95-600
    • /
    • 1997
  • 오징어 가공부산물인 오징어내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내장에서의 지방 추출 및 추출지방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원양산과 연안산의 총지방량은 각각 $30.50\%,\;30.25\%$였으며 중성지질은 $96.24\%,\;94.82\%$, 당지질은 $2.63\%,\;2.85\%$, 인지질은 $2.37\%,\;2.34\%$으로 나타났으며 콜레스테롤 함량은 $644mg\%,\;1,224mg\%$를 각각 나타내었다. 2) 원양산 및 연안산 오징어의 주요 지방산은 모두 $C16\;:\;0,\;C18\;:\;1\omega9,\;C20\;:\;4\omega6,\;C20\;:\;5\omega3,\;C22\;:\;6\omega3$으로 나타났으며 중성지방질의 획분조성도 서로 유사하여 품종간의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두군 모두 free fatty acid 함량이 가장 높은 $44.01\%,\;39.63\%$를 각각 나타내었다. 3) 원양산의 분획별 주요지방산은 중성지질획분에서 $C16\;:\;0,\;C18\;:\;1\omega9,\;C20\;:\;4\omega6,\;C20\;:\;5\omega3,\;C22\;:\;5\omega3$, 인지질획분에서 $C16\;:\;0,\;C16\;:\;1\omega7,\;C20\;:\;5\omega3,\;C22\;:\;6\omega3$ 당지질획분에서 $C16\;:\;0,\;C18\;:\;1\omega9,\;C20\;:\;5\omega3,\;C22\;:\;6\omega3$으로 나타났다. 4) 연안산의 분획별 주요지방산은 중성지질획분에서 $C16\;:\;0,\;C18\;:\;1\omega9,\;C20\;:\;4\omega6,\;C20\;:\;5\omega3,\;C22\;:\;6\omega3$로 나타났으며 인지질획분에서는 $C16\;:\;0,\;C18\;:\;1\omega9,\;C22\;:\;6\omega3$로 당질획분에서 $C16\;:\;0,\;C18\;:\;1\omega9,\;C22\;:\;6\omega3$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