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quid-Viscera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49초

발효촉진제로 속성 발효한 까나리 어간장의 화학 및 미생물적 특성 (The Chemical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Northern Sand Lance, Ammodytes personatus, Sauce Manufactured with Fermentation Accelerating Agents)

  • 김우재;김상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47-454
    • /
    • 2003
  • 동해안 특산 어종인 까나리어간장을 속성제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발효촉진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제품의 숙성 중 화학성분 및 생균수 변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총 creatine 량은 오징어내장첨가구는 숙성 2개월째, 나머지 첨가구에서는 3개월째까지 증가하였다가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TBA가는 숙성초기에 급격하게 증가한 다음 일정수준 유지 내지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전 숙성기간에 걸쳐 오징어내장첨가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른 첨가구들 간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모든 시료에 있어 glutamic acid, alanine, valine, leucine, 및 lysine 등의 함량이 높았고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다. 생균수는 모든 실험구에서 숙성 중 증가하였다가 숙성 후기에 감소하였으며 오징어내장 첨가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koji 첨가구가 향기 및 맛에 있어서 가장 우수하였고 그 다음이 오징어내장첨가구이었다. 속성 까나리 어간장을 제조하기 위한 속성 발효제로서 오징어내장 및 koji는 발효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독특한 맛을 형성하므로 까나리 어간장의 속성제조에 발효촉진제로 사용이 가능하다고 보여 진다.

오징어 내장유의 에스테르화 반응물질 분석 및 특성 연구 (Study for Alanalysis and Characteristics of Squid Viscera Oil During Transesterification)

  • 노명균;;전병수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55-159
    • /
    • 2007
  • Ethanolysis of squid viscera oil with immobilized lipase was investigated for reducing the free fatty acid contents and enhancing the function of the oil by stepwise addition method of Shinmada[1]. Tendency of oil variation during Ethanolysis showed increased content of diglyceride, monoglyceride and fatty acid ethyl ester with reduced free fatty acid contents. The oil composition was analyzed using GC-FI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ethanolysis. Structural analysis of the lipid was performed by HPLC-UV spectrophotometer during ethanolysis. The transformed oil was thought to has suitable properties for functional oil production.

  • PDF

에스테르 교환반응과 흡착제를 이용한 오징어 내장유의 품질 개선 (Study for Improving Properties of Squid Viscera Oil Using Transesterification and Adsorption)

  • 노명균;;전병수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257-262
    • /
    • 2007
  • Squid viscera oil was investigated by pretreatment method for enhancing the commercial value. Transeterification was performed to reduce rancidity of the oil, off-flavor was removed by using activated carbon adsorption. Analysis using ATD (Automatic Thermal Desorber) and GC/MG shows the efficacy of off-flavor removement. The rates of Transesterification employing inorganic catalyst and biocatalyst were tested, respectively. With stepwise addition of ethanol, the most efficiency of the reaction was achieved by inorganic catalyst. The efficiency of the reaction was estimated by acid value corresponding to rancidity of reaction product.

  • PDF

원양산 오징어(Illex argentinus) 내장으로부터 Exopeptidase의 분획 (Fractionation of Exopeptidase from Viscera of Argentina Shortfin Squid, Illex argentinus)

  • 김혜숙;김진수;허민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1009-1017
    • /
    • 2008
  • 원양산 오징어 내장 조효소로부터 아세톤법, 황산암모늄법, 음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법 및 겔 여과법을 이용하여 exopeptidase를 분획한 다음, 각 분획방법별 fraction들의 효소 활성(총활성 및 비활성), 정제도 및 회수율 등을 검토하여 최적 분획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아세톤 분획법의 경우 아세톤의 최종농도가 $30{\sim}40%$가 되도록 분획하는 것이, 황산암모늄 분획법의 경우 황산암모늄을 $60{\sim}70%$의 포화농도가 되도록 분획하는 것이, 음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의 경우 0.2 M NaCl을 이용하여 분획하는 것이, 그리고, 겔 여과의 경우 분자량 $30{\sim}50\;kDa$ 범위의 것을 분획하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분획방법별 최적 활성 fraction간의 상호비교에서 LeuPNA 및 ArgPNA에 대한 총활성 및 회수율은 겔 여과가, 비활성 및 정제도는 황산암모늄에 의한 분획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양산 오징어 내장으로부터 탈 이온수로 조효소를 추출한 다음, 겔 여과로 분획한 exopeptidase의 식품가공소재로서 산업적 이용을 위해서는 겔 여과법의 특성을 기초로 하여 추출 조효소로부터 연속 및 대량처리를 위한 공정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을 이용한 오징어 가공 부산물로부터 고도불포화 지방산 회수 (Recovery of High Unsaturated Fatty Acid from Squid Processing Wastes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Method)

  • 강성실;김병준;전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17-222
    • /
    • 1999
  • 초임계 $CO_2$를 이용한 오징어 내장유 추출은 8.3$\~$13.8 MPa과 $25\~50^{\circ}C$에서 semi-continuous flow extractor로 수행되었다. 그리고 초임계 $CO_2$에 entrainer로서의 $2\%$ (v/v) ethanol을 첨가한 것과 첨가하지 않은 것으로 수행되었다. 초임계 $CO_2$를 이용한 오징어 내장유 추출에서 지질의 최고 추출 수율은 조건 12.4 MPa과 $40^{\circ}C$에서 이루어 졌다. 초임계 $CO_2$를 이용한 오징어 내장유 추출에서 최고 용해도는 압력 12.4 MPa $40^{\circ}C$에서 entrainer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 1.48g oil/kg $CO_2$를 나타내었고, entrainer를 첨가하였을 때 압력 12.4MPa $40^{\circ}C$에서 4.85g oil/kg $CO_2$를 나타내었다. 초임계 $CO_2$를 이용하여 추출된 오징어 내장유의 주요지방산조성은 myristric acid (14:0), palmitic acid (16:0), palmitoleic acid (16:1), oleic acid (18:1), arachidic acid (20:0), eicosapentaenoic acid (20:5), docosahexaenoic acid(22:6)이다. 초임계 $CO_2$ 추출에 의해 추출된 추출물중 비소와 납은 검출되지 않으나 수은은 아주 미량으로 검출되었다.

  • PDF

살오징어의 내장부위별 지질 Class 및 지방산 조성 (Lipid Clas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Viscera from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 문수경;김경대;강지연;성낙주;정보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376-383
    • /
    • 2006
  • The chemical components, lipid clas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viscera from male and femal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were examined to evaluate the possible utilization of the liver, reproductive organs, and gills. In male and female squid, the viscera comprise 21% and 27% of the body weight, respectively. The protein content of the viscera was slightly higher in females (17.7-19.5%) than in males (15.6-17.2%). This was especially marked in the female reproductive organs, while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gill. The liver contained the largest amounts of lipids (17.2-18.6%) and the levels were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P<0.01). By contrast, the reproductive organs of females contained more lipids than did those of males (4.68% vs. 1.65%, p<0.01). The prominent non-polar lipid (NL) classes were triacylglycerol (51.9-55.4% of the NL content) and sterol ester (16.3-21.8%) in the liver, and free sterol (47.0-68.5%) and free fatty acids (31.5-41.2%) in the reproductive organ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L classes between sexes. The percentage of the most prominent phospholipid (PL) class, phosphatidylcholine (PC), was highest in the liver (78.1-79.6% of the PL conten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exes. By contrast, phosphatidylethanolamine (PE) was highest in the reproductive organs (33.4%), and was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P<0.05). All the visceral organs contained 36.4-48.5% of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such as docosahexaenoic acid (DHA) and eicosapentaenoic acid (EPA). The DHA level was highest in female reproductive organs (32.3%), while EPA was high in male reproductive organ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viscera of male and female common squid are a good source of DHA and EPA.

원양산 오징어(Illex argentinus) 내장의 endoprotease 및 exopeptidases의 분포 및 추출조건 검토 (Distribution and Extraction Condition of Endoprotease and Exopeptidase from Viscera of Illex argentinus)

  • 김혜숙;허민수;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308-315
    • /
    • 2007
  • 오징어 가공 부산물인 오징어 내장을 효소제재와 같이 식품가공소재로 이용하기 위하여 오징어 내장의 endoprotease와 exopeptidase의 분포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오징어 내장은 조효소가 함유되어 있으리라 추정되는 단백질이 17.2%를 차지하였고, 또한, 이물질로 제거하여야 되는 조지방의 경우도 16.9%로 다량 차지하였다. 오징어 내장 조효소의 활성을 천연기질(azocasein)과 합성기질(LeuPNA 및 ArgPNA)로 나누어 살펴 본 결과 추출 용매(탈이온수, 1% NaCl, 1% KCl 및 1% NaCl-KCl 혼합용액)및 추출 시간(1-20시간)에 관계없이 전 조 효소가 동일 pH에서 천연기질의 분해활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합성기질의 분해활성(pH7.5)이 높아, 오징어 내장으로부터 효소를 분리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exopeptidase를 분리하여 이용하는 것이 적절하리라 판단되었다. 오징어 내장으로부터 exopeptidase를 분리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탈이온수를 이용하여 6-8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리라 판단되었다. 오징어 내장 조효소의 최적 pH와 온도는 pH 7.5 및 $50-55^{\circ}C$범위로 판단되었다.

오징어 내장에서 분리한 Protease 특성의 모니터링 (Monitoring Characteristics of Protease Isolated from Squid Viscera)

  • 서지형;정용진;이기동;이명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95-199
    • /
    • 1999
  • 오징어 내장에서 분리한 protease를 중심합성 계획법을 이용해서 제한조건을 동일하게 하고 pH와 온도를 변수로 protease활성을 모니터링 하였다. 그 결과 protease활성은 41.75$^{\circ}C$, pH 6.02에서 78.65unit로 최고치를 나타내었으며, 이때 $R^2$는 0.8461로서 10% 이내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또한 오징어 내장 protease는 50mM의 $Na^{+}$ 첨가에서 활성이 저해되었으나 $Mg_2$$^{+}$에 의해서는 상승효과를 보였으며 km 값은 0.12mM이었다.

  • PDF

속성 발효 까나리 어간장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Accelerate-Fermented Northern Sand Lance, Ammodytes personatus, Sauce)

  • 김우재;김상무;이시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09-714
    • /
    • 2002
  • 본 실험은 동해안 특산 어종인 까나리 액젓의 속성제조를 위하여 발효촉진제 (오징어 내장, koji 및 효소)를 첨가한 다음 15$^{\circ}C$에서 숙성 중 여러 가지 성분변화를 분석하였다. 숙성기간 동안 수분은 모든 실험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단백질 함량은 모든 시료에서 숙성 1개월째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의 숙성기간에서는 미세한 증가 현상을 나타내었다. 조지방은 숙성 기간 동안 오징어 내장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탄수화물은 koji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회분은 숙성기간동안 모든 실험구에서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pH는 모든 실험구에서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오징어 내장 첨가구가 가장 낮게 나타내었다. TMA 함량은 모든 실험구에서 숙성 3개월째까지 계속 증가하다가 그 후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아미노태 질소량은 모든 실험구에서 숙성 3개월째까지 완만하게 증가하였으며 숙성 4개월이하부터는 모든 실험구에서 급격한 증가량을 나타내었다. VBN 함량은 모든 실험구에서 숙성 2개월까지 미세하게 증가하였으나 숙성 3개월째에 모든 발효 촉진제 첨가구에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전 숙성 기간에 걸쳐 오징어 내장 첨가군이 가장 높은 VBN 함량을 나타내었다. 숙성 중 오징어 내장 첨가군에서는 본 논문에서는 자료를 제시하지 않았지만 숙성 3개월째 다른 첨가군과는 다른 독특한 고소한 향과 감칠맛을 나타내었다. 속성 까나리 어간장을 제조하기 위한 속성 발효제로서 오징어내장 및 koji는 발효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독특한 맛을 형성하므로 까나리 어간장의 속성제조에 발효촉진제로 사용이 가능하다고 보여진다.

Clinical safety and efficacy of a novel marine source of the long-chain omega-3 fatty acids

  • Park, Joung-Hyun;Musa-Veloso, Kathy;Ji, Ho-Seok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3-50
    • /
    • 2022
  • Squid is a sustainable source of long-chain omega 3 fatty acids.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safety and triglyceride-lowering efficacy of refined oil derived from the squid(Todarodes pacificus) viscera.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with elevated fasting serum lipids (i.e., total cholesterol of ≥5.2 mmol/L or fasting serum triglyceride of ≥1.65 mmol/L)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e control (n = 52) or squid oil group (n = 52), and participants in the latter group were instructed to consume 3 g of squid oil daily for 60 days. None of the subjects reported adverse events associated with the consumption of squid oil. Baseline clinical chemistry and hematological parameter values and those toward the end of the treatment period were similar, and all value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Fasting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in the control and squid oil groups were similar; however, toward the end of the 60 day study period, these level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squid oil group relative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P< 0.01). However, high-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remained unchanged in both groups. Thus, it can be inferred that squid oil is a safe source of long-chain omega-3 fatty acids and has beneficial effects on the blood lipid levels. This is the first clinical study on squid oil usage, and suggests that it could be a sustainable source of omega 3 fatty ac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