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routing

검색결과 409건 처리시간 0.03초

CIPC 처리한 조·중생종 감자의 반지하 저장고를 이용한 하계 실온저장 중 맹아 억제 효과 비교 (Sprouting Inhibition after CIPC Spraying on Early and Mid-season Potato Varieties during Storage in Semi-underground Warehouse at Room Temperature in Summer)

  • 한규석;김병섭;홍세진;이영훈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72-180
    • /
    • 2023
  • 감자의 저장 한계기간을 결정하는 가장 주요한 요인은 병과 특히 맹아의 발생이다. 본 연구는 조·중생종 봄감자의 하계 저장기간 동안 고랭지 감자 재배단지에서 이용되고 있는 냉장 시스템이 없는 반지하 저장고에서 '대서', '수미', 그리고 '추백' 품종의 맹아 출현 시기를 확인하고, CIPC 처리 시 품종별 감자 괴경의 맹아억제 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농약 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PLS, positive list system)에서 규정한 처리농도보다 낮은 농도인 10mg와 20mg, 그리고 규정에 준하는 농도인 30mg의 CIPC가 감자 괴경 1kg에 도포되도록 처리 시 맹아 억제 효과를 보이는지 구명하였다. 본 실험에 이용된 토굴형 저장고는 내부 온도가 외기 온도보다 5℃ 이상 저하되었고, 특히 주야간 온도를 포함하여 실험기간 동안 최저와 최고 온도의 차이가 5℃ 정도로 외기온도 차이의 1/2 수준으로 줄였다. 품종별 감자의 맹아는 대조구에서 극조생종인 '추백'이 가장 빨라 저장 6주차에 50% 이상 맹아가 출현하였고 신장도 진행되었으며, '수미'는 저장 6주차에, '대서'는 저장 8주차에 각각 맹아가 출현하기 시작하였다. CIPC 처리 시 '대서'와 '수미'는 모든 처리구에서 맹아 출현이 억제되었다. '추백'은 7주차에 모든 처리구에서 맹아는 관찰되었으나 저장 8주차까지 괴경에서 맹아의 신장은 완전히 억제되었다. 휴면이 빨리 타파되는 극조생종인 '추백'을 제외하면 '대서'와 '수미'는 CIPC 처리 시 10mg·kg-1의 저농도 처리로도 맹아억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저장 중 지속적으로 감모가 발생하였으나 저장 8주차까지 0.7-1.6%의 낮은 감모율을 보였으며, 품종 또는 CIPC 처리에 따른 변화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품종별 및 CIPC 처리구별로 저장 중 육안으로 관찰되는 병리장해는 대부분 마른썩음병(건부병)이었으나 발병 개체는 많지 않았다. 감모율과 병 발생이 적었던 이유는 본 실험에 이용된 시료가 18℃와 RH 90%에서 10일간 큐어링 처리한 후 육안 선별한 건전한 괴경이었으며, 저장고에 냉장시스템이 없어 대류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무게감소와 병원균의 확산이 억제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PVC관을 이용한 배수연구 (A Study on the Underdrainage of Wet Paddy Fields by Using P.V.C. Pipes)

  • 주재홍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960-1964
    • /
    • 1970
  • 본시험사업기간(本試驗事業期間)이 $9{\sim}2$월초(月初) 사이기 때문에 시험포장(試驗圃場)을 임대(賃貸)하여 흡수관리설공사(吸水管理設工事)가 끝나자 이어 장려품질(品質)인 맥류(麥類) 2종(種) (밀 : 농림 4호 쌀보리 : 도원)을 파종하고 발아상태(發芽狀態)와 초기생육(初期生育)만 조사(調査)하고 나머지는 내년(來年) $1{\sim}6$월(月) 사이에 조사(調査)를 완료(完了)하고 이어 벼의 시험(試驗)을 하기로 한다.

  • PDF

추작 마령서의 파종기, 파종법 및 최아법이 발아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periods and the methods of seeding and the seed bed locations on the sprouting of seed pieces of fall grown potatoes)

  • 강신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21-127
    • /
    • 1970
  • 1. 추작 마영서 단종 적순는 7月21견경으로 보였다. 2. 배수가 양호한 곳에서는 직파해도 발아에 지장이 없었다. 3. 양지(야외)최아가 음령소 최아보다 싹이 훨신 건실했다.

  • PDF

칼슘살포가 양파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lcium Spraying on Storage Quality of Onion(Allium Cepa L))

  • 김희대;김우일;서전규;최종욱;이문중;김찬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9-22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vestigate the storability of onions on calcium spraying, after cutting foliage, 6 different treatemnt , the dilution spraying of calcium nitrate 9 3%, 6%) , calcium carbonate(3%, 6%), dust scattering and the controls were evaluated for rotting, sprouting, healthy bulb and total weight loss ratio during storage. Rotting ratio on the dilution spraying of 6% calcium carbonate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after 4 months storage by 16.7%. Sprouting and total weight loss were decreased in the dilution spraying of 6% calcium carbonate.

  • PDF

저장에 따른 대두의 이화학적 변화와 발아 특성 조사 (Change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prouting Characteristics of Soybean seed for Storage)

  • 김수희;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0-32
    • /
    • 1993
  • '89, '90, '91년산 장엽대두를 냉장보관하면서 저장에 따른 그 품질과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총당함량과 Phytate 함량은 수확시기와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질소용해도 계수(NSI)는 98.42%에서 89.92%로 저장기간이 길수록 감소하였다. 대부분의 amylogram viscosity 특성은 '89년과 '90년산은 거의 유사하였으나 '91년산은 더 높은 최고점도와 break-down을 나타내었다. 콩나물의 수율은 '89년산이 334.8%로 가장 낮았고 발아율도 57.4%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Response of Different Seedlings to Growth and Yield in Yacon

  • Ryu, Jeom-Ho;Doo, Hong-Soo;Lee, Kang-Soo;Choi, Sun-Young;Cheong, Young-Keun;Park, Ki-H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356-360
    • /
    • 2002
  • The seedlings of yacon (Polymnia sonchifolia Poeppig & Endlicher), which were cuttings, plug seedling (PS), crown bud before sprouting (CBBS), crown bud after sprouting (CBAS), and divided seedling after budding (DSAB) were planted at 70$\times$50 cm planting distance on ridge; that was interow spacingintrarow spacing, and about 28,500$\pm$71 plants/ha. CBBS didn't need work and equipment to raise seedlings. PS and DSAB grew taller to 140.5 and 143.3cm, respectively, than others at 150 days after planting. In the changes of plant height, PS and DSAB showed taller than others during growth period, cuttings, CBBS, and CBAS grew rapidly in middle growth stage. Excepting main stem and petiole length, other characters were significant for seedling. Fresh weights were different among seedlings. Even though the yield of plants grown from CBAS and CBBS were lower with 34.7 and 36.4 ton/ha, respectively, than 3.6 ton/ha of DSAB; its yield index were over 95%, hence, those of plants grown from cutting and PS were lower with 73 and 87%, respectively. The ratio of tuberous roots over 200g to total tuberous roots per plant was the highest from DSAB. Most of tuberous roots were under 200g per tuberous root from cuttings. CBBS, CBAS, and DSAB are suitable to use seedlings for high yield of yacono. Yacon plant by DSAB much produced tuberous root of over 200g.

양파 저장 중의 Pyruvic Acid와 당 함량의 변화 (Pyruvic Acid and Sugar Contents during Storage Duration in Onion (Allium cepa L.))

  • 이은주;전재경;서전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77-381
    • /
    • 2010
  • 본 연구는 저장 기간 중 양파 구의 pyruvic acid와 당 함량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저장 중의 pyruvic acid 함량은 저장 3개월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저장 120일경부터 발근이 시작되면서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맹아기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다. 그와 대조적으로 건물함량은 저장 기간 동안 큰 변화가 없었다. Sucrose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다가 맹아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Fructose 함량은 저장 45일째 이후로 서서히 감소하여 맹아기 이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Glucose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저장기간 중 총당(TS) 함량에 대한 pyruvic acid(PA) 함량 비율(PA/TS ratio)은 수확시에 비해 저장 한 달 이후부터 감소하였으며, 이 후 내부맹아가 관찰되는 135일째부터 급격하게 증가하여 저장 150일에는 수확시에 비해 83% 정도 증가하였다. 저장기간 중 감미도는 저장 한 달 까지는 서서히 감소하였으나 그 이후 증가하였고, 저장기간 중 큰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단 양파 선발은 휴면이 타파되기 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