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rout vegetables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7초

새싹채소의 기호도 및 이용 실태 (Studies in the Consumption and Preference for Sprout Vegetables)

  • 이경숙;박금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96-905
    • /
    • 2014
  • 본 연구는 새싹채소와 새싹채소 메뉴의 인지도, 선호도, 이용 실태 및 대중화방안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구 경북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성인남녀 51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새싹채소의 이용 실태 중 구입 동기는 '건강을 위하여'가 가장 많았고, 구입 시 지식 여부는 '신선도만 확인하고 구매 한다'가 46.9%로 높았으며, 연령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구매 시 고려사항은 '신선도', '친환경제품', '가격' 순으로 나타났으며, 30대는 '신선도'를, 50대는 '친환경 제품'을, 60세 이상은 '가격'을 가장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구입용도는 '비빔밥용', '샐러드용'이 높았으며, 구입 장소는 '대형마트 및 백화점'이 81.4%로 가장 많았다. 새싹채소의 구입 빈도는 월 1~2회가 63.8%로 가장 많았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구입 빈도가 증가했다. 새싹채소의 인지도는 무, 순무, 배추, 적무, 보리 순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선호도는 보리, 순무, 무, 배추, 적무 순으로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연령이 높을수록 새싹채소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가 높았다. 새싹채소 메뉴의 선호도는 비빔밥, 샐러드, 비빔국수, 쌈밥 순으로 높았으며, 녹즙이 가장 낮았다. 새싹채소 인식 정도는 '체중조절에 도움이 된다'가 높은 인식수준을 보인 반면 '칼슘을 함유하여 뼈와 치아에 좋다'가 낮은 인식수준을 보였다. 새싹채소의 이용도를 높이고 대중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제품의 위생성, 저장성, 다양한 새싹채소 메뉴개발, 제조회사의 신뢰도, 다양한 유통판매구조 확보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중화 항목을 요인 분석한 결과, 상품품질요인과 판매촉진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이 두 요인 모두 새싹채소 메뉴의 선호도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p<0.001). 이상의 결과 새싹채소의 인지도 및 이용 실태는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새싹채소의 소비 확대를 위해서는 생산, 가공 및 유통 등에서 위생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고, 다양한 새싹채소 메뉴개발 및 품질향상과 판매촉진활동으로 소비자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광 유무에 따른 다양한 새싹 채소의 생육 및 생리활성 화합물의 함량 (Growth and Bioactive Compound Contents of Various Sprouts Cultivated under Dark and Light Conditions)

  • 이진희;오명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8-229
    • /
    • 2021
  • 최근, 소비자들이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과 중요도가 높아짐에 따라 화학적인 농약을 사용하지 않은 유기농 천연 식품을 선호하게 되었다. 새싹 채소는 건강증진과 암, 심혈관질환 등의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어, 고기능성이고 안전한 식품인 새싹 채소의 소비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여러가지 새싹 채소 7종의 생육 그리고 생리활성 물질 함량에 대한 광의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새싹 채소용 케일, 다채, 브로콜리, 적양배추, 알팔파, 홍빛 열무 그리고 무 종자를 파종한 뒤 새싹들을 광조건(20℃, RGB 6:1:3, 130μmol·m-2·s-1, 12시간 광주기), 암조건 아래에서 각각 7일간 재배하였다. 처리 후 4일째부터7일째까지 1일 간격으로 샘플을 채취하였고 생체중과 건물중, 초장, 총페놀 함량, 항산화도를 측정하였다. Brassica 종(케일, 다채, 브로콜리, 적양배추)과 Medicago 종(알팔파)은 암조건에서 생체중 값이 유의적으로 높았지만 생리활성 물질 함량은 광조건에서 유의적으로 증대되었다. 이에 반해 Raphanus 속(홍빛 열무, 무)는 광조건에서 생체중이 유의적으로 증대되었지만 생리활성 물질 함량은 암조건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다양한 새싹 채소의 생육과 생리활성 물질 함량 사이에서 음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새싹 채소의 생육 및 영양학적 가치에 대한 광의 영향을 확인하였고 고품질의 새싹 채소를 생산하는데 있어 수확시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새싹채소의 생리활성 특성 및 그 가공품의 제조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ing of the Processing Products of Sprout Vegetables)

  • 김덕숙;이근보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8-245
    • /
    • 2010
  • 무, 적양배추, 청경채, 메밀 및 브로콜리 씨앗을 이용하여 새싹채소 및 성장이 완료된 일반채소를 재배하였다. 이들에 대한 비타민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각 시료에 따라 큰 편차를 나타내었으며, 비타민 $B_1$은 싹이 트면서 그 함량이 감소하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이는 비타민 $B_1$이 성장에 사용되는 영양소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새싹채소의 무기물 함량은 일반채소 보다 2~10배 높게 나타났다. 새싹의 성장에 다량 이용되는 무기물은 칼륨이었고, 나트륨은 가장 적게 소비되었다. 일반채소에 비하여 새싹채소가 그 $\alpha$-amylase 활성 및 종합당화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이들을 이용하여 가공한 동결건조분말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어 전체적으로 싹 틔움에 따라 효소활성도가 비례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새싹채소의 장점은 각종 영양소가 풍부하고, 가정에서 직접 재배가 가능하여 농약이나 화학처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는 점인 것으로 판단된다.

조리방법에 따른 상용채소의 무기질 함량 변화 -무청, 콩나물, 취나물을 중심으로- (Changes on Mineral Contents of Vegetables by Various Cooking Methods)

  • 한재숙;김정숙;김명선;최영희;일본명;허성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82-387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mineral contents in radish leaves, soybean sprout and chwi namul by cooking method(boiling, steaming, sauting) and cooking time(1, 3, 5 min.). The residual rate of minerals(such as Calcium, Sodium, Potassium, Iron and Magnesium) in radish leaves, soybean sprout and chwi namul by 1 minute sauting was the range of 83.2 to 99.1%. It was shown that sauting was desirable method for all three vegetables. The residual rate by the cooking method was sauting, steaming, boiling, in that order, but boiling in radish leaves and chwi namul were more desirable method than steaming for Calcium use. At the cooking method and cooking time, Potassium content in soybean sprout was reduced remarkably in 5 minutes boiling. Boiling of radish leaves and soybean sprout showed that Sodium was reduced remarkably after 5 minutes of boiling, 54.4% for radish leaves and 19.9% for soybean sprout, respectively.

  • PDF

식물세포분리효소를 이용한 채소류의 단세포화 (Enzymatic Maceration of Vegetables with Cell Separating Enzymes)

  • 박용곤;강윤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84-188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nzymatic maceration of radish, cabbage, soybean sprout and carrot with cell separating enzymes in order to obtain individual cells. We studied the macerating properties of Macerozyme R-200, Macerozyme R-10 and Sumyzyme MC on vegetables. Degree of enzymatic maceration was decreasing order of radish, carrot, cabbage and soybean sprout. The degree of enzymatic maceration among macerating enzymes was decreasing order of Macerozyme R-200, Macerozyme R-10 and Sumyzyme MC. The degrees of enzymatic maceration of radish, carrot, soybean sprout and cabbage treated with Macerozyme R-200 for 2hr were 91.0, 80.6, 62.5 and 35.1%, respectively. Total pectin, color and viscosity of carrot macerates increased as the maceration rate increased.

  • PDF

변비 환자를 위한 고섬유질 음식 개발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High fiber Food for Constipation)

  • 박혜원;정혜정;최은정;이지정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715-723
    • /
    • 2002
  • In recent yearn, eating habit that is not right causes disease the dietary fiber (DF) intakes of Korean decreases. Occurrence of chronic disease such as constipation increased graduall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of high fiber standard recipes for one day including major source of DF such as vegetables, cereals and grain products, seaweeds, fruits, fungi and mushrooms, and legumes and products for improving constipation through dietary treatment. Nutrient analysis per person marked energy, protein, fat and DF content. The food of high I : S ratio (Insoluble fibers: Soluble fibers) are soybean sprout salad, rice gruel with vegetables, pan fried mushroom with vegetables. The food of low I:S ratio are fermented soybean paste stew, fried rice with kimchi, fruits salad with yogurt dressing and seasoned noodle with vegetables. The representative high fiber diet menu is rice gruel with vegetable, rice with radish and oyster, fermented soybean paste stew, kimchi stew, assorted soybean sprout salad, three kinds of pancake roll, pan fried mushroom with vegetables, fruits salad with yogurt dressing and seasoned noodle with vegetables. The menu developed in this study, contains fiber of at least 8.97 times of RDA and in point view of 1 day intake, that is similar to the scope of RDA, 20-25 g per day. This findings should be appliable to nutritional education and medical food for constipation. And also, the aim of study is constipation patients easily applicate that developed the food of high fiber using Korean common food. And the result of the study will be the basic data about clinical test of food developed in this study and the danger of high fiber diet. The representative high fiber diet menu is rice gruel with vegetable, rice with radish and oyster, fermented soybean paste stew, kimchi stew, assorted soybean sprout salad, three kinds of pancake roll, pan fried mushroom with vegetables, fruits salad with yoghurt dressing and seasoned noodle with vegetables. This findings should be applicable to nutritional education and medical food for constipation.

데치기가 조리 후 저온저장한 채소류를 재가열시 채소류의 조직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lanching on Textural Properties of Refrigerated and Reheated Vegetables)

  • 김영훈;이동선;김재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911-916
    • /
    • 2004
  • 우리나라 식단에 이용되는 채소 중 비교적 이용 빈도가 높은 양파와 콩나물, 당근의 통상적인 데치기를 통하여, 조리 후 냉장저장(cook/chill)하여 단체급식 현장에서 단순히 가열하여 제공하는 경우, 채소류의 조직감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었다. 양파와 콩나물, 당근 모두 7$0^{\circ}C$에서 각각 20분, 10분, 30분 동안 열처리하였을 때 조직강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실질적으로는 10분 이상으로 일정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데치기 할 때 칼슘이온의 첨가로 조직감의 향상을 얻을 수 있었으며, 그 효과는 당근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콩나물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 칼슘이온의 첨가에 의해 데치기 후 냉장조건에서 5일까지 저장한 후 재 가열하여도 초기의 조직강도 이상으로 유지되었다. 그러므로 데치기를 한 채소를 이용하여 대규모로 조리 한 뒤, 냉장 저장 후 단체급식현장에서 가열하여 제공하면, 고온에서 조리한 뒤, 저장하는 동안 채소의 연화에 의한 품질의 저하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엉 새싹채소의 재배환경 구축 및 항산화 활성 탐색 (Development of Optimal Cultivation Conditions and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Arctium lappa Sprout Vegetables)

  • 이무열;신소림;박선희;김나래;장영득;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04-311
    • /
    • 2009
  • 우엉 종자를 이용하여 항산화 기능성 새싹채소를 개발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엉 종자는 $25^{\circ}C$ 명조건에서 발아가 가장 왕성하였으며, 4일만에 82%가 발아하였다. 발아 종자를 암조건에서 재배한 결과, $20^{\circ}C$에서 길이 생장이 가장 왕성하였다. 녹화처리는 새싹의 길이생장을 억제하였으나, 자엽의 길이 및 부피생장을 촉진하였다. 수확 후 예냉하여 포장한 우엉 새싹채소는 $4^{\circ}C$보다 $10^{\circ}C$에서 저장할 때 저장 기간이 증가되었다. 포장용기의 통기구는 저장 기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0, 1, 2, 3일 녹화처리한 새싹채소의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 우엉 새싹채소의 radical 소거능 및 ferrous ion chelating 효과는 시판중인 브로컬리, 적채, 완두의 새싹채소 및 콩나물보다 우수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또한 우수하였으며, 특히 3일 녹화시킨 우엉 새싹채소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녹화처리가 길어질수록 우수하였다. 우엉 새싹채소는 우엉의 성체 잎줄기 보다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였다. 따라서 우엉 새싹채소는 기능성 채소로써 이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 다소비 십자화과 새싹채소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commonly used Brassica spp. sprout vegetables in Korea)

  • 신기해;이영준;김재환;김영현;김단비;이종석;임정호;이옥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87-59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다소비 되는 십자화과 새싹채소 7종(콜라비, 적무, 브로콜리, 배추, 유채, 무순 및 다채)의 항산화 및 지방세포 내 ROS 생성 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총 페놀 함량은 콜라비 새싹과 무순 추출물이 $23.97{\pm}0.46mg\;TAE/g$$24.40{\pm}1.24mg\;TAE/g$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무순 추출물이 $15.30{\pm}1.35mg\;CE/g$으로 다른 새싹채소 추출물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과 ORAC value를 측정한 결과, 콜라비가 DPPH radical 소거능($IC_{50}=1.95mg/mL$)과 ORAC value($79,032.5{\mu}M\;TE/g$)에서 모두 항산화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다채를 제외한 새싹채소 추출물 6종 모두에서 세포 내 ROS 생성량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십자화과 새싹채소 중 콜라비 새싹과 무순 추출물의 경우 항산화활성 및 지방세포 내 ROS 생성 억제 활성을 가지며, 천연물 유래 항산화 소재로써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MA저장중 몇가지 싹기름 채소의 저장성 비교 (Comparison of Storability of Some Sprout Vegetables in MA Storage)

  • 강호민;김일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15-419
    • /
    • 2007
  • 저장중 5가지 싹채소, (무, 적무, 적양배추, 알팔파, 브로콜리)의 생체중은 $50{\mu}m$ LDPE필름으로 밀폐하여 $2^{\circ}C$$8^{\circ}C$모두 99%이상 유지되었다. 저장중 포장재내 이산화탄소 농도는 $8^{\circ}C$에서 $2^{\circ}C$에서 보다 높았으며 작물별로 무와 적무가 높았다. 산소농도는 이와 정반대로 $2^{\circ}C$에서 높게 유지되었고, 무와 적무가 가장 낮은 농도를 보였는데 특히 $8^{\circ}C$저장 3일째는 3%미만까지 낮아지기도 하였다. 에틸렌 농도도 $2^{\circ}C$에 비해 $8^{\circ}C$에서 다소 높았으며 작물별로는 알팔파가 0.1ppm으로 가장 낮았고 나머지 4 작물은 작물간 농도차이에 유의성 없이 1ppm미만으로 낮았다. 이취는 산소농도가 가장 낮았던 무와 적무에서 오히려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온도별로 큰 차이가 없었다. 외관상 품질은 역시 $2^{\circ}C$$8^{\circ}C$보다 높게 유지되었으며, 두 온도 모두에서 무가 가장 높게 유지되었고, 다음으로 적무, 브로콜리, 적양배추, 알팔파 순서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싹채소의 작물간 저장성에 차이를 알 수 있었는데 무와 알팔파의 경우 $4{\sim}5$일의 저장기한의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싹채소 유통에 있어 작물별 관리가 다르게 실시되어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