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prout growth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25초

Gel filtration에 의한 콩나물 제조중(製造中) 단백질(蛋白質)의 변화조사(變化調査) (Changes of Protein During Growth of Soybean Sprout)

  • 양차범;박상기;윤석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72-474
    • /
    • 1984
  • 대두(大豆)와 대두(大豆)의 발아과정별(發芽過程別) 수추출단백질(水抽出蛋白質)을 Sephadex G-200에 의해서 gel fietration 으로 분획(分劃)한 결과 자엽부(子葉部)에서는 5 개의 분획 (A, B, C, D 및 E) 이 얻어졌고 표품(標品)의 gel filtration과 disc gel electrophoresis 로서 그중(中) A분획이 혼탁물질, B가 11S, C가 7 S, D가 2S로 동정(同定)되었으며 E는 전기영동상에 1 peak를 보였다. 발아(發芽)에 따른 이들 분획(分劃) 변화(變化)는 자명부(子蓂部)에서는 7 S가 먼저 감소되고 2 S가 그 다음이며 11S가 맨나중에 감소되었다. A분획(分劃)은 6 일까지 증가되다가 감소를 보이고 E분획(分劃)은 계속 증가추세를 보이었다. 배축(胚軸)에서는 단지 2 개의 분획(分劃)이 나타났고 그 하나는 B+C(11S+ 7S)의 혼합물이었고 다른 하나는 E분획(分劃)이었다. 발아(發芽)에 따라서 11S+ 7 S 분획(分劃)은 큰 변화(變化)가 없었고 E 분획(分劃)은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 PDF

전류자극 및 전기장 처리가 현미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ic Current Stimuli and High-Voltage Electric Field Treatments on Brown Rice Germination)

  • 임기택;김장호;선우훈;홍지향;정종훈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5권2호
    • /
    • pp.100-107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lectric current stimuli and high-voltage electric field treatments on brown rice germination. The brown rice stimulated by electrical current stimuli, functional electrical stimuli of a pulse type, and high-voltage electric field treatments were observed (Type I, II and III). Treatment Type I was a method of semi-soaking brown rice with electric current stimuli of 0.13 V/cm, 0.19 V/cm, and 0.25 V/cm into Petri-dishes for 72 hours. Type II was a method of semi-soaking brown rice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i of a pulse type(DC 1 V, 1 Hz, 5%, and duty cycles of 5%, 20%, and 35%) into Petri-dishes for 72 hours. Type III was a method of water-soaking with high-voltage electric field treatments for 60 hours. High-voltage electric field treatments at 15 kV/cm were also conducted for 2.5 min, 7.5 min, and 10 min, respectively. The germination rate and the sprout growth of brown rice germinated by electric current stimuli with 0.13 V/cm, 0.19 V/cm, and 0.25 V/cm were increased by about 10-15%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germination rate and the sprout growth of brown rice germinated by functional electrical stimuli of pulse type(DC 1 V, 1 Hz, 5% duty cycle) were increased by about 10∼15%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Also, the best effective treatment among high-voltage electric field treatments was the 10 min group at 15 kV/cm. The germination rate and the sprout growth of brown rice germinated by this treatment of 10 min at 15 kV/cm were increased by about 10∼20%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treatments of electric current stimuli and high-voltage electric field accelerated the germination rate and sprout growth of brown rice by about 10∼15%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하우스에서 재배된 새싹인삼의 재배시기별 생육, 유효성분 및 물성의 변화 (Changes in Growth, Active Ingredients,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Greenhouse-cultivated Ginseng Sprout during its Growth Period)

  • 성봉재;김선익;지무근;이희철;권아름;김현호;원준연;이가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6-135
    • /
    • 2019
  • Background: The ginseng ginsenosides, which have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are known to be more abundant in the leaves than in the roots, and the consumers' interest in ginseng sprout as a functional vegetable has been increasing. Methods and Resul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wth period on growth properties, active ingredients and rheology of ginseng sprouts cultivated in a non-heated greenhouse equipped with a shade net for 60 days, starting from the end of May to the middle of July. The chlorophyll content of the leaves decreased, but their length and width increased with increasing cultivation days. In particular, growth increased significantly until 40 days, but only slightly after 50 days. The stem length did not increase greatly from the 20 th to the 30 th day of cultivation, but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the 30 th to the 40 th day, and then further increased gradually. The weight of the leaves, stems, and roots increased slightly, but not change significantly. After 40 days of cultivation, the total ginsenoside content increased by 1.07 times in the leaves and decreased by 0.80 times in the roots with increasing cultivation days. The leaf contents of ginsenosides $Rg_1$, Re, $Rb_1$, Rc, $F_3$ and $F_4$ increased with increasing cultivation days.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ginseng sprout showed the greatest influence on stem hardening with increasing cultivation days. Conclusions: Therefore, based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ctive ingredients and physical properties, 40 days after sowing was considered to be an appropriate harvesting time for ginseng sprouts.

한국산(韓國産)의 죽류(竹類)에 관(關)한 연구(硏究) -죽(竹)의 지하경(地下莖)에 대하여- (Reserch on the bamboo in Korea -Studies on the terrestrial stem of the bamboo)

  • 정현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0-16
    • /
    • 1962
  • The following are what this auther concluded in his recent research of bamboo cultivation. 1. The bamboo logging should be prohibited during the months of July and August, for during that season the growth of the terrestrial stem is most vigorous and active. 2. The growth of terrestrial stem of the phyllotachys pubescens is not likely to be affected the soil texture on which it grows and it is sappling sprout out well enough in any kind of soil, but it was found out that it grows in the best condition on the sand-clay soil and in next best condition on the clay-soil. 3. The bamboo blossoming takes always most of the nutritions needed for the growth of the terrestrial stem and causes to decay 90 percent of the next year buds which await in the terrestrial stem to sprout as the sappling. The remaining 10 percent of the buds is to be the "re-incarnated bamboos" 4. The terrestrial thin roots of blossoming bamboo are negative in their growth, too weak in absorbing the nutrition. The above stated facts show, to be brief, that growth of bamboo depends largely upon that of the terrestrial stem.

  • PDF

Peanut sprout tea extract inhibits lung metastasis of 4T1 murine mammary carcinoma cells by suppressing the crosstalk between cancer cells and macrophages in BALB/c mice

  • Jae In Jung;Hyun Sook Lee;Jaehak Lee;Eun Ji Kim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7권5호
    • /
    • pp.917-933
    • /
    • 2023
  • BACKGROUND/OBJECTIVES: As peanuts germinate, the content of the components beneficial to health, such as resveratrol, increases within the peanut sprou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ethanol extract of peanut sprout tea (PSTE) inhibits breast cancer growth and metastasis. MATERIALS/METHODS: After orthotopically injecting 4T1 cells into BALB/c mice to induce breast cancer, 0, 30, or 60 mg/kg body weight/day of PSTE was administered orally. Angiogenesis-related protein expression in the tumors and the degree of metastasis were analyzed. 4T1 and RAW 264.7 cells were co-cultured, and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crosstalk between breast cancer cells and macrophages. RESULTS: PSTE reduced tumor growth and lung metastasis. In particular, PSTE decreased matrix metalloproteinase-9, platelet endo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1,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A, F4/80, CD11c, macrophage mannose receptor,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and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 1 expression in the tumors. Moreover, PSTE prevented 4T1 cell migration, invasion, and macrophage activity in RAW 264.7 cells. PSTE inhibited the crosstalk between 4T1 cells and RAW 264.7 cells and promoted the macrophage M1 subtype while inhibiting the M2 subtype.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STE blocks breast cancer growth and metastasis to the lungs. This may be because the PSTE treatment inhibits the crosstalk between mammary cancer cells and macrophages and inhibits the differentiation of macrophages into the M2 subtype.

새싹채소의 생리활성 특성 및 그 가공품의 제조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ing of the Processing Products of Sprout Vegetables)

  • 김덕숙;이근보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8-245
    • /
    • 2010
  • 무, 적양배추, 청경채, 메밀 및 브로콜리 씨앗을 이용하여 새싹채소 및 성장이 완료된 일반채소를 재배하였다. 이들에 대한 비타민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각 시료에 따라 큰 편차를 나타내었으며, 비타민 $B_1$은 싹이 트면서 그 함량이 감소하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이는 비타민 $B_1$이 성장에 사용되는 영양소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새싹채소의 무기물 함량은 일반채소 보다 2~10배 높게 나타났다. 새싹의 성장에 다량 이용되는 무기물은 칼륨이었고, 나트륨은 가장 적게 소비되었다. 일반채소에 비하여 새싹채소가 그 $\alpha$-amylase 활성 및 종합당화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이들을 이용하여 가공한 동결건조분말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어 전체적으로 싹 틔움에 따라 효소활성도가 비례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새싹채소의 장점은 각종 영양소가 풍부하고, 가정에서 직접 재배가 가능하여 농약이나 화학처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는 점인 것으로 판단된다.

방사선(放射線) 조사(照射)가 감자 괴경(塊莖)의 맹아억제(萌芽抑制) 및 영양가(營養價)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on Sprout Inhibition and Nutritive Value of Potato Tubers)

  • 이미순;김홍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9-35
    • /
    • 1972
  • 방사선 조사가 감자 괴경(塊莖)의 맹아억제(萌芽抑制) 및 영양가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서 0 krad로부터 16 krad 사이의 선량(線量)을 Irish Cobbler 품종(品種)에 처리하였다. 싹 생장량은 선량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되었고 16 krad 처리구에서 완전히 억제되었다. 이 최적선량에서 괴경(塊莖)의 중량 손실은 현저히 감소했고 전(全)저장 기간을 통해 경도(硬度)는 양호했다. 방사선 조사는 감자 괴경(塊莖)의 cooking quality에 아무런 악(惡)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저장 후에 괴경(塊莖)내의 수분함량은 싹 생장량과 역비례(逆比例)하였다. 본 실험에서 16 krad 처리구는 탄수화물 함량이 저선량(底線量)처리구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고, ascorbic acid는 8 및 16 krad가 무처리구 및 2 krad 보다 다량 함유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 PDF

대두의 수화속도와 콩나물의 발아특성에 대한 동결처리 효과 (Effect of Freezing on Hydration Rate and Sprouting Characteristics of Soybeans)

  • 임종환;오봉윤;김동환;함경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60-665
    • /
    • 2003
  • 은하콩과 태광콩의 수화속도 및 콩나물 생육 특성에 대한 동결처리의 효과를 수화반응에 대한 속도론적 연구와 콩나물의 재배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수화시간에 대한 동결처리의 영향은 침지온도에 따라 달랐는데, $60^{\circ}C$ 이하의 침지온도에서는 수화시간이 15-50% 정도 감소하였으며, $60^{\circ}C$ 이상의 침지온도에서는 수화시간이 감소하지 않았다. 동결 처리한 은하콩과 태광콩의 수화반응에 대한 활성화 에너지는 각각 39.79 및 39.25 kJ/mol로서 동결처리를 하지 않은 콩에 비해 약 20%정도 감소하였다. 은하콩과 태광콩은 동결처리에 의해 콩나물의 발아율, 길이 및 무게는 증가하였으며, 콩나물의 수율은 약간 감소하였고, 굵기는 콩의 품종에 따라 달랐다.

콩나물콩 품종에 따른 콩나물 및 콩나물 무침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 and Cooked Soybean Sprouts by Cultivars)

  • 김미리;김혜영;이근종;황용수;구자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66-272
    • /
    • 1998
  • 콩나물콩 품종 8가지를 5일간 재배하면서 생장특성 및 성분조성과 조리방법중 무침으로 하였을때의 질감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성장량이 큰 품종은‘이리 3호’와‘준저리’이었고, 수율이 높은 품종은‘눈점박이태’와‘준저리’이었다. Vitamin C함량은‘준저리’에 가장 많았으며, 아미노산 조성중 aspartic acid 와 glutamic acid 함량은‘푸른콩’과‘준저리’에 많았다. 콩나물 무침의 관능적 특성에서 감칠맛, 고소한 냄새와 맛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비린내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내는 품종은‘준저리’이었다. 관능적 질감특성에서 경도가 가장 높은 품종은‘이리 5호’이었고 부서짐성이 큰 품종은‘준저리’이었으며 , 씹힘성이 큰 품종은‘익산 나물콩’이었다. 전체적인 맛과 질감에 대한 수용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품종은‘푸른콩’이었고, 그다음이‘준저리’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콩나물 무침에 가장 적합한 품종은 생장량과 수율, vitamin C함량, 아미노산조성 및 관능적 특성에서 우수함을 나타낸‘준저리’로 사료되었다.

  • PDF

BA 처리 직후의 Aeration 온도와 기간이 콩나물의 생장과 세근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eration Temperature and Period after BA Treatment on Growth and Lateral Root Formation of Soybean Sprouts)

  • 강진호;전병삼;조용준;박철종;윤수영;전승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16-221
    • /
    • 2004
  • 콩나물 재배에서 생장조절제 BA 흡수량은 처리방법에 따라 커다란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BA 처리효과를 극대화하여 처리량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BA 처리 직후 첫 관수까지 경과시간이 콩나물의 생장과 세근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 ppm BA용액에 5시간 침종한 풍산 나물콩, 소원콩 및 준저리의 종자를 재배시 첫 관수까지 20, 30 및 $40^{\circ}$로 aeration 온도를 달리하거나, $25^{\circ}$에서 1, 2, 3, 4시간으로 aeration기간을 달리하여 처리한 후에 6일간 재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침종과 첫 관수간 aeration온도 및 기간에 따라 각공시품종의 발아 및 생장 정도는 다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콩나물의 발아 및 생장, 세근발생 개체비율, 개체당 세근수 및 생체중은 BA 용액에 침종한 후 첫 관수까지의 aeration온도의 영향은 미미한 반면, 공시품종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세근발생 개체비율은 aeration기간을 4시간으로 길게 할수록 감소하였던 반면, 개체당 세근수는 3시간 이상의 aeration 기간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4. 하배축 및 뿌리의 길이는 1시간의 aeration을 가할 경우 가장 길었으나, 3시간 이상 aeration을 가할 경우 차이가 없었다. 5. 자엽, 하배측, 뿌리 및 전체 생체중도 1시간 aeration을 가할 경우 가장 많았으며, 3시간 이상 aeration을 가할 경우 차이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