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rint rac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휴머노이드 로봇의 스프린트 경기 전략 (Strategy for Sprint Race of Humanoid Robot)

  • 길우람;유영재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390-39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스프린트 경기와 휴머노이드 로봇의 스프린트 경기를 비교하고 FIRA가 주관한 휴머노이드 로봇의 대표적인 스포츠 경기인 HuroCup에 대해서 소개한다. 또한 이 대회의 경기 규정을 알아보고 휴머노이드 로봇이 스프린트 경기를 수행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경기 전략을 제시한다. 본 논문을 위해 스프린트 경기 규정에 맞는 휴머노이드 로봇을 설계 및 개발하고, 제작한 휴머노이드 로봇에 스프린트 경기 전략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로봇의 성능을 시험한다. 마지막으로, 실제 경기 사례를 통해 제작된 휴머노이드 로봇이 스프린트 경기에 적합하게 수행함을 검증한다.

카약 1000m 경기 랩타임 분석을 통한 경기력 향상 방안 모색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Athletic Performance by Analyzing Lap Times in Kayak 1000m Sprint)

  • 신광택;손지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01-307
    • /
    • 2019
  • 본 연구는 카약 K-1 1000m 경기에서 우수선수 그룹과 비우수선수 그룹의 랩타임을 비교 분석한 후 경기력 향상을 위한 페이스 조절 전략에 대한 조언을 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1000m 전체 경기구간을 100m 씩 10개 구간으로 나누어 측정한 후, 200m 단위로 랩타임을 분석하였다. 측정은 엘리트 카약 선수 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최종 기록 순위를 기준으로 A그룹(최상위 그룹), B그룹(차상위 그룹), C그룹(차하위 그룹), D그룹(최하위 그룹)으로 나누어 그룹별-구간별 랩타임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해 반복측정분석,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A vs. C, B vs. C 그룹 간 스타트 구간(0~200m)과 스퍼트 구간(800~1000m)은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200~400m, 400~600m 구간에서 랩타임 차이가 유의하게 났다. D그룹은 전 구간에서 전반적으로 경기력이 떨어졌다. 비우수선수의 경우, 중간 구간에서의 랩타임 기록 향상을 위한 페이스 조절 전략 수정이 필요하다.

99회 전국체전 남자 일반부 K-1 1000m 경기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Men's K-1 1000 Meter Sprint at the 99th National Sports Festival)

  • 손지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465-470
    • /
    • 2019
  • 본 연구는 남자 일반부 K-1 1000m 결승 경기의 랩타임을 분석하여 경기력 향상을 위한 구간별 페이스 조절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99회 전국체전 결승 경기의 랩타임을 250m 단위 구간으로 측정하였으며, 이 기록을 2018년도에 개최된 World Championship 남자 일반부 결승 경기의 랩타임 자료와 비교 분석하였다. 국내 최상위 선수들의 최종 기록 평균은 248.651초, 국제무대 최상위 선수들은 210.826초로 38초가량 경기력 차이가 난다. 랩타임별로는 250m 구간마다 8초, 11초, 6초, 13초 뒤처지는 기록을 나타냈다. World Championship 참가 선수들은 Fast-Maintain-Maintain-Spurt 전략을 쓰는 반면, 국내 선수들은 Fast-Slow-Fast-Slow의 페이스 조절 전략을 주로 쓰고 있었다. 국내 선수들은 경기력 향상을 위해, '빠른 스타트에 이은 중반 페이스 유지, 마지막 스퍼트'로의 전반적인 페이스 조절 전략 수정이 필요하다.

2011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100 m 여자 결승전의 운동학적 분석 (Kinematic Analysis of Women's 100-m Final during IAAF World Championships, Daegu 2011)

  • 류지선;류재균;김태삼;박영진;황원섭;윤석훈;박상균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21-52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the finalists in the women's 100 m event to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to coaches and athletes. Three different biomechanics techniques were applied for analyzing sprinter motion: LAVEG, a panning technique, and 12 video cameras for 3 dimensional analysis of the 40 m - 70 m portion of the race. Carmelita Jeter(USA) performed the maximum speed of 10.54 m/s at the distance of 58.2 m. There was a tendency to show a better performance time with a high number of steps (p=.13) and shorter stride length (p=.14) among the 8 sprints. Furthermore, the stride frequency and the performance time were negatively correlated as a higher stride frequency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performance time (p=.02). Based on 3 dimensional analysis, the 4 top ranked sprinters used the different strategies to maintain a high COM (Center of Mass) velocity during the mid portion of the race (40 m - 70 m). Carmelita Jeter(USA) showed more flexed knee and hip motion at heel contact (HC) to maintain a high COM velocity while S.A. Fraser-Pryce (JAM) showed more extended knee and hip motion at HC. On the other hands, Veronica Campbell-Brown (JAM) and Kelly-Ann Baptiste (TRI) showed a tendency to have high knee lifts during the swing phase to maintain the high COM velocity during the race. These biomechanical analyses of the women's 100 m final event in the 2011 WC, Daegu, will provide important scientific information to coaches and athletes for understanding the sprinting mechanism of today's top-class sprin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