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ring Chinese cabbage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2초

고온과 고농도 $CO_2$ 조건에서 배추와 무의 생육 반응 및 탄소 고정량 (Growth Response and $CO_2$ Biomass of Chinese Cabbage and Radish under High Temperature and $CO_2$ Concentration)

  • 이지원;김승유;장윤아;문지혜;이우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64-368
    • /
    • 2006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figure out the $CO_2$ biomass and the growth response of Chinese cabbage and radish grown under the condition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CO_2$ concentration to provide the information for the coming climatic change. Chinese cabbage and radish were cultivated in spring and autumn seasons under 4 treatments, 'ambient temp.+ambient $CO_2$ conc.', 'ambient temp.+elevated $CO_2$ conc.', 'elevated temp.+ ambient $CO_2$ conc.', and 'elevated temp. +elevated $CO_2$ conc.'. The 'elevated temp,' plot was maintained at 5 higher than 'ambient temp. (outside temperature)'and the 'elevated $CO_2$ cone.' plot was done in 650 ppm $CO_2$. The growth of spring-sown Chinese cabbage was worse than autumn-sown one, and was affected more by high temperature than high $CO_2$. concentration. The $CO_2$ biomass of Chinese cabbage was lower as 25.1-39.1 g/plant in spring-sown one than 54.8-63.4 g/plant of autumn-sown one. Daily $CO_2$2 fixation abil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pring- and autumn-sown Chinese cabbage as 1.9-2.9, 2.7-3.1 kg/10a/day, respectively. The $CO_2$ biomass of radish were 87.4-104.6 /plant in spring-sown one and 51.3$\sim$76.4 g/plant in autumn-sown one. Daily $CO_2$ fixation ability of radish were 6.2-10.1 kg/10a/day in spring-sown one and 4.6-6.9 kg/10a/day in autumn-sown one.

마늘의 김치발효 촉진작용에 관한 연구 (Reappraisal of Stimulatory Effect of Garlic on Kimchi Fermentation)

  • 이주영;최미경;경규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79-484
    • /
    • 2008
  • 김치를 제조할 때 마늘이 김치의 발효를 촉진시킬 때도 있지만 영향을 미치지 못할 때도 있었다. 배추 자체만으로도 발효가 충분히 일어나는 가을 배추김치에는 마늘을 첨가하여도 발효촉진 작용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자체만으로는 발효력이 약한 봄 배추김치에는 마늘을 첨가했을 때 발효촉진 현상이 관찰되었다. 봄 배추를 사용하여 만든 김치에 포도당, yeast extract와 peptone, 김치 부재료를 각각 따로 첨가했을 때에도 마늘을 첨가했을 때와 같은 촉진현상이 관찰되었으나, 가을 배추김치에서는 촉진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마늘이 김치의 발효를 촉진하는 현상은 마늘 특유의 고유한 성분에 의한 촉진작용이 아니고 배추의 영양소 구성성분 특성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으로 해석되었다. 즉, 마늘의 첨가를 통해 공급되는 당이나 영양성분이 봄 배추의 부족한 영양을 보충해 줌으로써 나타나는 일반적인 현상으로 판단되었다.

요소+칼리에 대비(對備)한 질산암모늄+칼리가 배추의 수량(數量) 및 무기성분함량(無機成分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Ammonium Nitrate Plus Potash in Comparison with Urea Plus Potash on the Yield and Content of Some Mineral Nutrient Elements of Chinese Cabbage)

  • 오왕근;김성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07-412
    • /
    • 1985
  • 질소의 비종에 따른 배추 ('84 가을 삼미가락, '85 봄, 여름배추)에 대한 칼리비료의 효과를 폿트에서 재배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질산암모늄은 요소보다 배추의 생육량을 늘였는데 그 증수효과는 봄보다 가을에 컸다. 2. 배추의 수량은 1차(5월 17일) 및 2차 솎음 (6월 9일) 배추의 K함량 (건물) 및 1 차 솎음 배추의 $NO_3-N$함량 (건물), 수확한 배추의 외엽의 K/Ca+Mg me 당량비와는 정상관 관계를, 동외엽의 마그네슘 함량과는 부상관관계를 갖었다. 3. 1차 솎음, 2차 솎음, 수확기의 건조배추 (내엽)에 함유되는 K와 $NO_3-N$간에는 각각 $r;0.9998^{**}$, r; 0.4439, $-0.7135^*$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 수확한 배추 속잎의 $NO_3-N$는 K 가 결핍되고, Ca, Mg함량이 낮았던 질안 무칼리구에서 많았다. 4. 배추는 우선 $NO_3-N$가 K의 흡수를 촉진하여 배추의 영양 생장을 늘리고 K가 내엽으로 이동하면서 Ca가 흡수 대치되고, 다음에 Mg가 흡수되어 내엽으로 이동해가는 영양흡수와 생육양상을 갖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마산 지역 배추김치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nese Cabbage Kimchi around Masan Area)

  • 박우포;김종현;조재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35-538
    • /
    • 1996
  •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around Masan area, home made and commercial kimchi samples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994 to June 1995. The weight of a head of Chinese cabbage was 3.0kg after purchasing and reduced to 2.36kg after salting. Home made kimchi showed a little higher pH and titratable acidity than those of commercial kimchi in winter. Salt concentration of home made kimchi in winter was 3.69%, and higher than that of commercial kimchi. Color of home made kimchi was higher in L, a and b than that of commercial kimchi in winter and spring. The pH of commercial kimchi was lower about 0.3 than that of home made kimchi in spring. Home made kimchi in spring showed about 0.3% higher salt concentration than that of commercial kimchi.

  • PDF

Pallet-unit MAP처리에 따른 봄배추의 선도 연장 효과 (Effect of Pallet-unit MAP Treatment on Freshness Extension of Spring Chinese Cabbage)

  • 이영주;이혜옥;김지영;김병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634-642
    • /
    • 2016
  • Chinese cabbage is produced and consumed as a main material for kimchi and as a staple vegetable in Korea throughout the year. However,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unbalance between supply and demand is repeated annually, requiring development of long-term storage technologies. Chinese cabbages, were harvested, put in plastic boxes, and precooled at $2^{\circ}C$ for 24 hours using forced air precooler. After precooling, Chinese cabbages were MAP-treated with 0.02 mm HDPE film and functional film and stored at low temperature ($1{\pm}0.5^{\circ}C$). The weight-loss rates after 9-weeks of storage were 8.47% in the control group, 4.07% in the HDPE film-treated group, and 3.07% in the functional film-treated group, respectively, suppressing weight loss. Trimming loss rate after 6-weeks of storage was 6.86% in the functional film MAP-treated group and lower than 7.50% in the control group. In the sensory test with 7 points as the limit of commodity, the control group lost it after 6-weeks of storage while the MAP-treated groups retained over 7 points. The functional film MAP-treated group showed over 6 points for processing as kimchi until 9-weeks of storage, proving that Pallet-type MAP storage is effective for extending storage life of spring Chinese cabbage.

주요 품종별 봄배추 김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with Major Spring Chinese Cabbage Cultivars)

  • 김미정;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43-348
    • /
    • 2000
  • 우리나라 주요 봄배추 품종인 노랑봄 (Nor), 고랭지 여름 (Gon), 매력 (Mae) 및 하우스금가락 (Hou) 등 4품종에 대하여 생배추의 특성과 이를 이용하여 만든 김치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배추 개체별 중량은 1.39~2.40kg 범위로 Gon>Mae>Nor>Hou 순이였으며. 엽수는 Gor 45, Nor 56, Mae 59, Hou 56이였다. 생배추맛에 대한 종합적 기호도는 Nou가 가장 양호하였으며 다음으로 Hou 였다. 절임에 의한 점탄성과 씹힘성의 감소율은 Gm이 가장 높았으며 Nor가 가장 낮았다. 김치숙성은 Gon과 Nor가 Mae와 Hou에 비하여 빠르게진행되었다. 발효중 가스발생량은 Mae>Gon>Hou>Nor 순으로 Nor에서 가장 적었으며 AIS (alcohol insoluble substance)의 감소율은 매력>고냉지여름.노랑봄>하우스금가락 순 이었다. 21일간 숙성시킨 김치의 경도와 점탄성은 매력>하우스금가락>고냉지여름>노랑봄 순이었으며 김치의 종합적 기호도는 Nor와 Hou가 양호하다고 평가되었으며, 현재 생산량이 가장 높은 Gon은 보통, 매력은 보통이하를 나타내었다.

  • PDF

봄배추 재배방법 및 품종에 따른 생육 및 절임 특성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Salting of Chinese Cabbage after Spring Culture Analyzed by Cultivar and Cultivation Method)

  • 이정수;박수형;이윤석;임병선;임상철;전창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3-48
    • /
    • 2008
  • 김치는 절임 발효 식품으로서 염장이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러한 영향에 대해 주재료인 배추의 품종 및 재배 방법의 차이를 구명하고자하였다. 배추의 재배방법(노지, 하우스재배) 및 품종(쌈노랭이, 매력, 춘황, 춘광, 고령지 여름, 옥황씨알)에 따른 수확전 요인(생육 특성)과 수확후에 나타나는 절임특성을 조사하고자 구중, 결구지수(크기), 엽수, 엽두께, 삼투몰 농도, 염함량, 탈염률, 경도를 측정하였다. 수확후 생육면에서는 시설내의 하우스에서 재배한 배추가 구중 및 결구크기, 엽두께, 함수량 등 면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품종에 차이는 보이나 전반적으로 노지에서 재배한 배추의 경도, 삼투몰 농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배추를 절임시 염함량은 재배방법과 그에 따른 품종에 의해서도 차이가 나타났는데, 탐염률이 낮은 것들에서 염함량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삼투몰 농도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본 실험의 결과 동일한 품종이라도 재배 방법의 차이에 따라 배추를 절였을 경우 나타나는 특성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배추는 주년 생산작물이므로 봄철뿐만 아니라 앞으로 다른 생산시기도 확인이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재료의 차이에 따라 김치를 담갔을 때 대한 나타나는 고찰이 보다 필요 할 것이다.

온실재배 봄배추의 소비수량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Water Consumption of the Spring Chinese Cabbage in Greenhouse)

  • 윤용철;이종창;서원명;이근후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the 1999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Agricutural Engineers
    • /
    • pp.411-417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gure out an optimum water environment and to obtain the fundamental data related with saving labor and water consumption for the chinese cabbage being grown in greenhouse . The productivity of cabbage cultivated in boty pots and floor were compared to each other in the aspects of height and weight depending on the soil saturation levels.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 In case of pot cultivation , the height as well as weight of cabbage in 80% soil saturation level(P80) were measured to be larger than those in the other 2 soil saturation leves (P100 and P60). The weight of floor cultivated cabbages were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pot cultivated ones. In accordance with saturation ration, the general trend of water consumption rate was maximum in P80 and was decreased in the order of P80 , P100 and P60. And the average indoor temperature as well as the plant growth rate were found to be closely related with water consumption rate.

  • PDF

봄배추 무사마귀병의 포장 감염시기와 피해 (Yield Loss of Spring Chinese Cabbage as Affected by Infection Time of Clubroot Disease in Fields)

  • 김충회;조원대;김홍모
    • 식물병연구
    • /
    • 제6권1호
    • /
    • pp.23-26
    • /
    • 2000
  • 봄배추 무사마귀병의 감염시기별 피해정도를 포장시험으로 조사하였다. 정식후 감염시기가 빠를수록 수량에 대한 피해가 컸으며 정식후 20일 이전 감염배추는 수확전 완전히 고사하였고 정식후 30일에 감염된 배추는 수확시까지 외관상 건전한 생육을 보였으나 포기무게가 건전주의 59%에 불과하여 상품성이 없었다. 정식 40일 이후 감염배추는 수량에 대한 영향이 없었다. 이병배추는 감염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잔뿌리의 생성이 감소되어 생육후기에는 거의 잔뿌리가 없었으며 뿌리의 신장도 건전주에 비해 1/2∼1/3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뿌리혹은 감염 20일후에 처음으로 관찰되어 이후 급속히 비대하였으며 최초 생성 20일후에 최대치에 달하였고 그후 혹뿌리의 부패로 근중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수확기에는 건전주보다 낮아졌다. 뿌리혹의 발달 및 부패속도는 감염시기와 상관없이 배추생육기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식물체 위조는 뿌리혹이 생성된지 10일후에 처음으로 관찰되었으며 그후 10일경부터 혹이 부패하기 시작하여 열흘동안 완전히 부패 소실되었고 식물체도 고사하였다. 따라서 봄배추의 무사마귀병 포장정식시 감염은 20일간의 잠복기 20일간의 혹비대기를 거쳐 10일동안의 혹부패기, 그후의 토양내 잔존기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 PDF

계절별 배추 절임염수의 특성변화 (Changes of Brine Characteristics during the Salting Process of Winter, Spring, and Summer Chinese Cabbage)

  • 윤혜현;김동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6-29
    • /
    • 2000
  • Major characteristics of brines produced from the salting process were compared among winter, spring, and summer (highland) Chinese cabbages. The soluble-solids contents of final brine were decreased to 87~90% of initial brine during salting process, and showed 16.3, 15.8, and 14.4$^{\circ}$Brix for winter, spring, and highland Chinese cabbages, respectively. The pHs showed similar changes during salting process from pH 8.40~8.63 for initial to pH 6.03~6.24 for final. The high salting(12.4~14%) of final brine needs dilution or reuse treatemnt before discard. The COD of final brine were increased to 39.6 ppm, 52.1 ppm, 37.7 ppm, respectively. During salting total microbial counts of final brine were increased ten times from those of the initial brines for all sampl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