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readability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3초

토마토 분말 첨가 머랭 쿠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eringue Cookies Added with Tomato Powder)

  • 김경희;김영식;홍민서;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66-371
    • /
    • 2016
  • 영양성분이 우수하고 다양한 생리활성이 입증된 토마토의 이용가치를 높이고자 토마토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한 토마토 머랭 쿠키를 제조(0, 5, 10, 15%)하여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머랭 쿠키 반죽의 pH는 토마토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퍼짐성, 손실률, 팽창률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토마토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색도의 L값(명도)은 토마토 분말을 첨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a값(적색도)과 b값(황색도)은 토마토 분말을 첨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머랭 쿠키의 경도는 토마토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토마토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총페놀 함량은 대조구가 1.76 mg GAE/100 g으로 가장 낮았고 첨가구가 3.45~5.86 mg GAE/100 g으로 토마토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호도 평가 결과 5% 첨가군이 색, 향, 맛,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토마토 분말을 함유한 머랭 쿠키 제조 시 5% 첨가군이 개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당 저감화 녹차 쿠키의 이화학적 감각적 품질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ugar-Reduced Green Tea Cookies)

  • 최예진;김혜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18-225
    • /
    • 2021
  •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gar-reduced green tea cookies were tested,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nsity, spreadability, loss rate, and pH in all experimental groups (p<0.05). The sugar content of the sample with 100% sugar replaced was 0.96°Brix,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0.80 °Brix of the control (p<0.05). The sample with 75% sugar substituted was 0.76°Brix,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p>0.05). The calories per 100 g of cookies were reduced from 482 to 433 kcal in the sample groups, where the sugar content was reduced from 0 to 100%. Carbohydrates also decreased with decreasing sugar content. The protein was 5g in the sugar sample group reduced by 0-25%, and 6 g in the sugar sample group reduced by more than 50%. Dietary fiber was three times higher in the sugar sample group reduced by 75% than the control, and four times higher in the sugar sample group reduced by 100% than the control.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weet sensory intensities were observed between the control and the 75% reduced sugar sample group (p>0.05). The brightness, savory, sweet, and aftertastes were similar in all experimental groups (p>0.05). Overall, high value-added green tea cookies with a more than 75% reduction in sugar were successfully developed with added functions of immunity, anti-cancer, antioxidant functions, preventing constipation and obesity, without deteriorating the sensory and physicochemical qualities tested.

Experimental Study on Poultices Applying to Remove Fixative (Paraloid B72) on Earthen Mural Painting

  • Lee, Kyeong Min;Moon, Hye Young;Yu, Yeong Gyeong;Kim, Soon Kwan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69-580
    • /
    • 2018
  • The possibility of applying poulticing was studied for removing Paraloid B72, a resin used for fixing an earthen mural painting. Five types of poultices were selected from clay and gel types, and acetone, ethanol, and methyl ethyl ketone(MEK) were used as mixed solvents. The possibility of mixing between the poultice and solvent was investigated, and then the spreadability, fluidity, acidity, drying properties, and solubility of the poultices were examined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A poultice agent, which is suitable for applying to a mural painting, was selected and applied to a painting layer sample coated with Paraloid B72. As a result, all painting layers were good condition at under 50% of the solvent. The removal efficiency of Paraloid B72 was more effective when most of the solvents were used at 50%, rather than at 25%. However, it is difficult to mix 50% of MEK and ethanol with the gel-type poultices. When used at 25%, the removal performance was poorer than that at 50%, but the mixing with all the poultices was successful. In addition, the adsorption and removal power of the gel-type poultice were better than those of the clay-type, but the latter was expected to be more suitable in short-time cases due to its high drying spe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dissolution performance varies depending on the poultices and solvents. Hence, the poultice and solvent should be selectively applied, considering the fixative of the mural to be removed.

국내산 아피오스 첨가 국수의 항산화 활성 및 품질 특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with Added Apios (Apios americana Medikus) Cultivated in Korea)

  • 나세연;심기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44-857
    • /
    • 2018
  • This study evaluates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ing domestic apiose (Apios americana Medikus) powder at the ratios of 0, 5, 10, 15, and 20%.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d as more apiose was added while the pH decreased as more apiose was added. On the other hand, water absorption ratio and turbidity increased as more apiose was added. The L value decreased while the a value increased as more apiose was added. In texture, the hardness increased while cohesiveness decreased as more apiose was added. As a result, the overall preferences, the appearance, aroma, taste, and texture were the best when 15% apiose was added. In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QDA), it turned out that brown color, bitter taste, delicate flavor, hardness, adhesiveness and chewiness increased as more apiose was added. However, crystallinity, spreadability, flour flavor, springiness decreased as more apiose was added. I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it was found out that when more than 15% apiose was added to the noodles. Antioxidant activity increased all for total phenolic, flavonoid conten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 more apiose was added. Collectively, it was noted that the preference,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are the best when 15% apiose was added to noodles.

금속 Powder Bed Fusion(PBF) 공정용 분말의 특성평가 방법 및 관련 연구 동향 (Review on Characterization Method and Recent Research Trend about Metal Powder for Powder Bed Fusion (PBF) Process)

  • 이빈;김대겸;김영일;김도훈;손용;박경태;김택수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509-519
    • /
    • 2020
  • A well-established characterization method is required in powder bed fusion (PBF) metal additive manufacturing, where metal powder is used. The characterization methods from the traditional powder metallurgy process are still being used.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dvanced methods of property evaluation with the advances in 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In this article, the characterization methods of powders for metal PBF are reviewed, and the recent research trends are introduced. Standardization status and specifications for metal powder for the PBF process which published by the ISO, ASTM, and MPIF are also covered. The establishment of powder characterization method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metal powder industry and the advancement of 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through the creation of related databases.

섬유 플라즈마 처리에 따른 복합재료의 수지 함침성 및 기계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Resin Impregn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mposites Based on Fiber Plasma Treatment)

  • 양성백;이동현;이용석;권동준
    • Composites Research
    • /
    • 제36권6호
    • /
    • pp.388-394
    • /
    • 2023
  • 복합재료 제조 시 수지의 함침성을 높이는 것은 제조 공정속도와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핵심 방법이다. 수지 개선은 중요하지만, 간단한 섬유 표면 처리로도 수지의 흐름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 직물에 다양한 플라즈마 처리 시간을 적용함으로써 수지와 섬유 간의 함침성을 향상하게 하였다. 플라즈마 처리에 따라 변화된 섬유 내 수지의 분산을 평가하기 위해 전기저항 측정법을 사용했다. 섬유 표면처리가 수지 함침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수지에 탄소섬유 토우를 삽입할 때 토우에 스며든 수지의 양을 측정하여 수지 함침성을 객관적으로 비교하였다. 5분 동안의 플라즈마 처리로 복합재료의 인장과 압축 강도가 50% 이상 향상되었으며, 보이드 함유율을 감소시키고 소화점 임계열류량을 증가시켰다. 마지막으로 건축용 복합재료 부품으로 사용되는 일부분을 활용하여 동적 굴곡피로시험을 실시했고, 3 kN하중 백만 회에도 복합재료 부품은 파손되지 않았다.

Screening of nanoemulgels for physicochemical stability and antifungal efficacy

  • Andleeb Fatima;Muhammad Naeem Aamir;Shahiq-Uz-Zaman;Masood-Ur-Rehman;Zeeshan Javaid;Keng Wooi Ng;Hina Hussain;Muhammad Asif
    • Advances in nano research
    • /
    • 제16권6호
    • /
    • pp.593-600
    • /
    • 2024
  • The nanoemulgel was prepared to induce a synergistic effect along with higher efficacy. Nine sets of macroemulsion were made in which liquid paraffin was stabilized by the two non-ionic surfactants, Tween® 80 and Span® 80. Comparative stability analysis of the macroemulsions was used to determine the effective surfactant concentrations that gave the most stable systems (NE 2, NE3, NE4, NE5). High-speed homogenization was then applied. The final formulation was evaluated for globule size and polydispersablity index, physical properties (color, homogeneity, consistency, syneresis), pH, viscosity, spreadability with 200 g and 500 g weight, conductivity, drug content, stability, skin irritation, antifungal efficacy. Zeta size analysis confirmed the nanosize of the droplets in NE2 (284.8 nm), NE3 (79.89 nm), NE4 (194 nm) but not NE5 (632.8 nm), which was outside the nanoemulsion range. The antifungal assay exhibited zone of inhibition for NE3 (43±1.0 mm) and NE4 (42±1.7 mm), a marketed cream (33±1 mm), fluconazole alone (35±1 mm) and terbinafine alone (35.0±1.7 mm). The zone of inhibition of nanoemulgels increased compared with the drugs when used individually and when compared a placebo.

쉘 초콜릿 filling에 사용한 대체 감미료와 커피박이 품질 특성 및 당지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Using Artificial Sweeteners and Coffee Grounds in Chocolate Filling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Glycemic Index)

  • 강선아;이진숙;정아름;김은하;박선민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4호
    • /
    • pp.307-312
    • /
    • 2014
  • 초콜릿에는 항산화 물질인 플라보노이드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열량이 높고 설탕함량이 높은 초콜릿이 많아 비만이나 당뇨병 환자들에게 초콜릿을 제한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탕을 타가토스나 자일로스로 대체하고 커피박을 첨가한 쉘 초콜릿 filling을 제조하여 쉘 초콜릿 filling의 물리적 특성과 대체 감미료가 혈당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쉘 초콜릿 filling 내의 설탕 과다 섭취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로는 초콜릿 filling의 수분 함량은 대조군인 설탕군에 비해 타카토스+커피박 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퍼짐성도 수분 함량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초콜릿 filling의 색도는 타카토스를 함유한 군이 다른 군들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는데 명도는 설탕군과 자일로스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적색도인 a값과 황색도인 b값은 설탕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당도는 모든 군에서 약 34-35%를 나타내었나, 당도는 커피박첨가에 관계없이 설탕군이 자일로스나 타가토스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관능검사에서 타가토스군이 향, 단맛, 이물질감, 전체적인 기호도 4가지 검사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자일로즈군, 타가토스군의 순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마지막으로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60 g의 쉘초콜렛을 섭취한 후 0, 1, 2시간에 혈당변화를 조사하였을 때 타가토스군과 타가토스+커피박군에서 혈당 증가 폭이 가장 낮게 나왔다. 본 연구 결과 타가토스를 감미료로 사용한 쉘 초콜릿 filling이 수분함량, 퍼짐성, 전체적 기호도 및 혈당변화에서 가장 좋은 값을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었다. 타가토스는 섭취하였을 때 열량과 당지수가 낮으므로, 대체 감미료로 타가토스를 사용해 쉘 초콜릿 filling을 제조하여 쉘 초콜릿으로 제품화 한다면, 비만이나 당뇨병 환자들에게 혈당의 큰 상승 없이 쉘 초콜릿을 섭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흑임자죽 재료배합비의 최적화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 ratio of the ingredients in preparation of black sesame gruels)

  • 박정리;김종군;김정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685-693
    • /
    • 2003
  • 본 연구는 보양식으로 이용해 왔던 흑임자죽의 제조 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해 적정한 표준 조리법의 재료배합비에 따른 품질적 특성을 비교하여 최적 recipe를 산출하였다. 이로써 흑임자죽 제조를 위해 주재료인 깨의 첨가량과 쌀의 종류 및 첨가형태에 따른 죽의 물성 특성과 전체적인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깨의 첨가량에 의한 흑임자죽의 품질 특성으로, 색도 변화는 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감소하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점도(p<0.05), 색상(p<0.01), 고소한 맛(p<0.01), 쓴맛(p<0.01), 외관(p <0.01), 전체 선호도(p<0.05)에서 깨의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점도, 색상, 고소한 맛과 외관에 대한 선호도의 평가는 흑임자 함량 33g(40%)일 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흑임자 함량 44g(52%)일 때 쓴맛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전체적인 선호도는 흑임자 함량 40%일 때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쌀의 종류에 따른 흑임자죽의 특성으로, 색도 변화는 찹쌀 50g(60%) 첨가한 것이 명도, 적색도, 황색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쌀의 형태에 의한 변화로는 찹쌀가루 60%를 첨가한 것이 명도가 높게 나타났고 적색도는 멥쌀가루 15g(18%), 황색도는 멥쌀가루 25g(30%)를 첨가하였을 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점도, 색상, 고소한 맛, 쓴맛, 외관, 전체 선호도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점도에 대한 선호도의 평가는 멥쌀만 50g (멥쌀 : 찹쌀=100% : 0%) 첨가했을 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색상과 고소한 맛에 대한 선호도 평가는 멥쌀 50g(60%)일 때 가장 높았으며, 쓴맛에 대한 선호도는 멥쌀 50g, 멥쌀:찹쌀=35g : 15(7:3)g과, 멥쌀 : 찹쌀=15g : 35(3:7)g일 때 가장 높았다. 외관에 대한 선호도는 멥쌀 : 찹쌀=35g:15g, 전체적인 선호도는 멥쌀 50g일 때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쌀의 형태를 달리하여 첨가하였을 때 점도(p<0.05), 색상(p<0.01), 고소한 맛(p<0.01), 쓴맛(p<0.01), 외관(p<0.01), 전체 선호도(p<0.01)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점도, 색상, 고소한 맛, 쓴맛, 외관, 전체적인 선호도에 대한 평가는 모두 결과가 멥쌀가루 50g(60%) 첨가했을 때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소금 첨가량에 의한 흑임자죽의 색도 변화는 소금의 첨가량이 7g(9%)일 때 명도가 높게 나타났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소금함량 5g(6%)일 때 높았다. 또한 점도(p<0.01), 색상(p<0.01), 고소한 맛(p <0.01), 쓴맛(p<0.01), 외관(p<0.01), 전체 선호도(p<0.01)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점도, 색상, 고소한 맛, 쓴맛, 외관, 전체적인 선호도에 대한 평가는 모두 소금 함량 2.5g(3%)일 때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4. 흑임자죽의 점도 특성으로는 재료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전반적으로 증가하였고, 온도 변화에 따라 온도가 높아질수록 낮은 점도를 나타내었고, 온도가 낮아질수 록 점도 값이 높았다. 5. 당도와 퍼짐성의 특성으로는 첨가재료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흑임자죽 제조의 최적화를 위해 첨가재료와 배합비에 따른 흑임자죽의 물성 특성 변화와 선호도 분석 결과를 통하여 흑임자죽의 최적 배합 조건이 산출되었다. 즉 흑임자죽 제조를 위한 최적 재료 배합 비는 주재료에서는 흑임자 첨가량 33g(40%), 쌀의 형태와 종류별 첨가량은 멥쌀(가루) 50g(60%), 소금 2.5g, 물 500$m\ell$ 첨가가 최적 비율로 산출되었다.

가래떡의 노화 억제에 관한 변형 전분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Modified Starches on Retrogradation of Korean Rice Cake(Garaeduk))

  • 박현정;송재철;신완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79-287
    • /
    • 2006
  • 본 연구는 변형 전분이 가래떡의 노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우선 변형전분이 가래떡의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Avrami equation으로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 Avrami equation 지수 n값은 실험구 모두 1.03${\sim}$l.31범위로 나타났다. 이것은 변형 전분을 첨가한 가래떡 전분 입자의 결정화 즉시노화가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하며 대조구(control)의Avrami equation 지수 n값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노화속도상수 k는 대조구에 비해서 변형 전분을 첨가한 경우가 낮게 나타났으며 그 중 SHPP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노화 속도의 시간 상수 1/k값에서도 잘 나타나 있다. 시차주사열량기(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이용한 변형 전분의 가래떡에 대한 열적 특성 검토에서는 저장 기간에 따라 변형 전분을 사용한 경우 전분 입자의 호화 개시 온도가 조금씩 높아졌고 그 중 SHPP가 가장 완만하게 상승하였다. 떡의 최대 호화온도에서도 저장기간에 따라 SHPP는 거의 변하지 않고 SSOS, ASA는 약간 증가하였고 대조구는 더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용융 enthalpy(${\Delta}$H)는 대조구(21.2${\rightarrow}$26.1${\rightarrow}$27.1)에 비해서 변형 전분을 첨가한 경우(SSOS: 21.1${\rightarrow}$23.7${\rightarrow}$24.1, ASA: 21.1${\rightarrow}$24.8${\rightarrow}$25.4)가 용융 enthalpy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SHPP의 경우는 가장 적은 폭으로 증가하였다. 가래떡의 열 용융 신전성(열용융신전성(熱熔融伸剪性), Martindiameter)은 대조구, ASA, SSOS, SHPP 순으로 좋게 나타났으며 SHPP를 첨가한 것이 가장 좋은 용융 신전성을 나타내었다. 변형 전분을 첨가한 가래떡의 색깔과 관능적 조직감의 경우에는 L$^*$값은 저장 기간에 따라 SSOS와 SHPP의 경우에는 그 값이 많이 변하지 않고 안정한 편이었다. a$^*$값은 대조구(2.21${\rightarrow}$5.34 : 141.6%), ASA(2.01${\rightarrow}$4.22 : 110.0%), SSOS(2.78${\rightarrow}$4.87 : 75.2%), SHPP(2.12${\rightarrow}$3.40) : 60.4%)의 순이었다. 또 b$^*$값은 대조구(4.32${\rightarrow}$6.35 : 47.0%), ASA(4.66${\rightarrow}$5.73 : 23.0%), SSOS (4.90${\rightarrow}$5.89 : 20.2%), SHPP(4.89${\rightarrow}$5.12 : 4.7%) 순서로 SHPP가 가장 색깔 변화가 없었다. 관능적 조직감은 변형 전분을 사용한 경우 높게 나타나고 특히 SHPP는 가장 좋은 관능적 조직감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