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raque-Dawley rat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6초

백서에 식립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골유착에 흡연이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IGARETTE SMOKE INHALATION ON DENTAL IMPLANT OSSEOINTEGRATION IN THE RAT)

  • 김세호;김성민;김지혁;박영욱;박찬진;정기명;이석근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1권4호
    • /
    • pp.291-299
    • /
    • 2005
  • Objectives : It is well known that cigarette smoking is harzardous to the osseointegration of dental implant, due to the impaired wound healing accompanied by reduced alveolar bone densi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cigarette smoke on the implant osseointegration by the time factor consideration.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four male Spraque-Dawley rats (8 weeks, weighting 200 to 250g) were used in this study. In the experimental group, 13 rats were exposed to cigarette smoke, 8 minutes per day during 6 weeks, and 12 rats in the control group were not exposed at any time. RBM (Resorbed blasting media) surfaced implant (diameter 3.3mm, length 5.0mm, AVANA Co., Korea) was placed in the right femur of each rat. Each implant with surrounding bone was prepared with microtome (cutting band 0.2mm$^{(R)}$, EXAKT Co., Germany) after 1 day, 2, 4, 8 and 12 weeks and stained with toluidine blue (1%). Another clinical investigation of each implant was also done at each evaluation time. Results : Clinical investigation around implant fixture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Microscopic observation around implant fixture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at the initial stage after implant fixture installation. Experimental group showed a decreased bone to implant contact within 4 weeks compared to control group, but showed similar characteristics after 4 weeks. Conclusion : Smoking inhalation effect on the dental implant showed the impaired wound healing by vasoconstriction and decreased intramedullary blood flow at initial stage of osseointegration. This experimental results can be clinically useful to the implant surgery of smoking patients.

Hypothermia Effect on Apoptotic Neuronal Death in Traumatic Brain Injury Model

  • Yoo, Do-Sung;Lee, Soon-Kyu;Huh, Pil-Woo;Han, Young-Min;Rha, Hyung-Kyun;Kim, Dal-So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8권3호
    • /
    • pp.215-220
    • /
    • 2005
  • Objective : Many researchers believe that the hypothermia shows neuro-protective effect on brain injury. To understand the molecular mechanism of the hypothermic treatment, this study investigated its effects on the expression of cell death or survival related proteins such as p53, Bcl-2 and Bax in the rat traumatic brain injury[TBI] model. Methods : Twenty rats [Spraque Dawley, $200{\sim}250g$] were subjected to the brain injury of moderate severity [$2.4{\sim}2.6atm$] using the fluid percussion injury device and five rats were received only same surgery as controls. During 30minutes after the brain injury, the hypothermia group was maintained the body temperature around $34^{\circ}C$ while the control group were maintained that of $36^{\circ}C$. Five rats in each group were sacrificed 12h or 24h after brain injury and their brain sections was analyzed for physical damages by H-E stains and the extent of apoptosis by TUNEL assay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s. The tissue damage after TBI was mainly observed in the ipsilateral cortex and partly in the hippocampus. Results : Apoptosis was observed by TUNEL assay and the Bax protein was detected in both sample which harvested 12h and 24h after TBI. In the hypothermia treatment group, tissue damage and apoptosis were reduced in HE stains and TUNEL assay. In hypothermia treatment group rat shows more expression of the Bcl-2 protein and shows less expression of the Bax protein, at both 12h and 24h after TBI.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 that the hypothermia treatment is an effective treatment after TBI, by reducing the apoptotic process. Therefore, it could be suggested that hypothermia has a high therapeutic value for treating tissue damages after TBI.

방사선조사를 받은 흰쥐 소장 점막의 손상과 재생과정 중 금속단백효소 및 억제자의 발현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2 and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2 in Radiation Exposed Small Intestinal Mucosa of the Rat)

  • 곽현주;이경자;이정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1호
    • /
    • pp.66-74
    • /
    • 2003
  • 목적 : 금속단백효소(MMPs)는 세포외 기질의 분해가 주 기능이며 금속단백효소와 억제자(TIMPS)가 상처 치유 과정과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노화에 관여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방사선조사 후 금속단백효소와 억제자의 발현에 관한 연구는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는 흰쥐의 소장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금속단백효소와 억제자의 발현을 시간적으로 관찰하여 방사선에 의한 소장 점막 손상 및 재생과정과 금속단백효소와 억제자의 관계를 밝히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실험동물로 암, 수 구별 없이 생후 4~5개월, 체중 250~300 gm의 흰쥐(Spraque-Dawley) 30마리를 대상으로 하여 실험군으로 전복부에 8 Gy의 방사선을 조사한 후 1일, 2일, 3일, 5일, 7일, 14일에 각각 5마리씩 희생시켜 소장을 적출하여 사용하였고, 정상대조군은 각 시기별로 1마리씩 사용하였다. H&E 염색을 하여 조직병리검사를 하였고, MMP와 TIMP끌의 발현에 대해서는 면역조직화학염색, 면역블로팅, ELISA법으로 확인하였다. 결과 : 조직병리 소견상 방사선조사에 의한 소장 조직손상은 1일부터 관찰되어 2일과 3일에 현저하였고 재생은 3일에 관찰되어 5일에 현저하였다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 MMP는 1일에 발현되어 3일, 5일에 가장 강하게 나타났으며 TIMP를는 1일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5일에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면역블로팅 결과 MMP◎는 3일과 5일에강하게 나타났으며 TIMP끌는 1, 3, 5, 7일에 같은 정도의 양성반응을 보였다. 혈액에서의 MMP와 TIMP의 ELISA 검사법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방사선조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있었고 방사선조사 후 1, 2, 3, 5, 7, 14일 각각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5일에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결론 : 방사선조사 후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 손상의 척도인 염증 반응과 재생의 척도인 유사분열 수의 변화가 면역조직화학염색, 면역블로팅, ELISA검사에 의한 MMP-2, TIMP의 증가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이 방사선 조사 후 조직 손상과 재생 기전에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Streptozotocin유발 당뇨쥐에서 세사민과 세사몰린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Sesamin and Sesamoli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Mellitus Rat)

  • 성하정;강명화;정혜경;송은승;정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9-354
    • /
    • 2001
  • 산화적 스트레스는 당뇨병과 관련된 맥관계병변의 전개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streptozotocin(STZ)투여에 의한 당뇨유발쥐를 사용하여 참께함유 항산화성분인 sesamin과 sesamolin의 혈당과 생체내 항산화 방어효소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당뇨유발쥐에 0.2% sesamin또는 0.2% sesamolin 함유사료를 3주간 급여하여, 혈당농도, 뇨당농도, 혈청 GOT와 GPT활성, 혈청 및 간조직의 지질과산화물,그리고 GSH함량과 GST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TZ투여군의 혈당량은 319.4 $\pm$105.74mg/dL였는데, sesamin급여군은 146.56$\pm$23.99mg/dL, sesamolin급여군은170.74$\pm$105.94mg/dL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당뇨병쥐의 뇨당농도가 21.16$\pm$13.72 mg/dL였는데, 세사민과 세사몰린 급여시에는 19.52 $\pm$ 8.99 mg/day와 10.93 $\pm$ 7.79 mg/day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STZ투여에 의하여 증가된 GOT와 GPT활성도는 세사민과 세사몰린의 급여에 의하여 GPT활성도만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STZ투여에 의해 증가한 간조직 중의 지질과산화물 생성은 세사민과 세사몰린 급여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STZ투여에 의해 감소된 신장의 GSH함량과 GST활성은 세사민과 세사몰린에 의해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 세사민과 세사몰린이 신장조직에서 일차적으로 산화된 산화물을 포집하고 GSH를 이용하여 체내의 독성 물질을 전이 분해시키는 작용을 하여 STZ에 의해 유도된 각종 독성을 무독화시켜 신장의 손상을 보호하여 당뇨억제 작용과 함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멍게와 미더덕 피부의 천연 셀룰로오스 각질을 이용한 골재생 효능을 가진 생활성막의 개발 - 예비 연구 (DEVELOPMENT OF A BIOACTIVE CELLULOSE MEMBRANE FROM SEA SQUIRT SKIN FOR BONE REGENERATION - A PRELIMINARY RESEARCH)

  • 김성민;이종호;조정애;이승철;이석근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1권5호
    • /
    • pp.440-453
    • /
    • 2005
  • Objectives : To develop a bioactive membrane for guided bone regeneration (GBR), the biocompatibility and bone regenerating capacity of the cellulose membrane obtained from the Ascidians squirt skin were evaluated. Materials and methods : After processing the pure cellulose membrane from the squirt skin, the morphological study, amino acid analysis and the immunoreactivity of the cellulose membrane were tested. Total eighteen male Spraque-Dawley rats (12 weeks, weighing 250 to 300g) were divided into two control (n=8) and another two experimental groups (n=10). In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n=5), the cellulose membrane was applicated to the 8.0 mm sized calvarial bone defect and the same sized defect was left without cellulose membrane in the first control group (n=4). In the another experimental group (n=5), the cellulose membrane was applicated to the same sized calvarial bone defect after femoral bone graft and the same sized defect with bone graft was left without cellulose membrane in the another control group (n=4). Each group was sacrificed after 6 weeks, the histological study with H&E and Masson trichrome stain was done,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s of angiogenin and VEGF were also carried out. Results : The squirt skin cellulose showed the bio-inductive effect on the bone and mesenchymal tissues in the periosteum of rat calvarial bone. This phenomenon was found only in the inner surface of the cellulose membrane after 6 weeks contrast to the outer surface. Bone defect covered with the bioactive cellulose membrane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bone formation compared with control groups. Mesenchymal cells beneath the inner surface of the bioactive cellulose membrane were positive to the angiogenin and VEGF antibodies. Conclusion : We suppose that there still remains extremely little amount of peptide fragment derived from the basement membrane matrix proteins of squirt skin, which is a kind of anchoring protein composed of glycocalyx. This composition could prevent the adverse immunological hypersensitivity and also induce bioactive properties of cellulose membrane. These properties induced the effective angiogenesis with rapid osteogenesis beneath the inner surface of cellulose membrane, and so the possibilities of clinical application in dental field as a GBR material will be able to be suggested.

비관형 천연 셀룰로오스막 도관을 이용한 말초신경 재생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BY USING NON-TUBULAR NATURAL CELLULOSE MEMBRANE NERVE CONDUIT)

  • 김성민;이종호;이석근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2권4호
    • /
    • pp.295-307
    • /
    • 2006
  • Styela clava, called non-native tunicate or sea squirt, is habitat which include bays and harbors in Korea and several sites in the sea faced world. We fabricate cellulose membrane nerve conduit (CMNC) from this native sea squirt skin, and evaluate the capacity of promoting 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in the rat sciatic nerve defect model. After processing the pure cellulose membrane from the sea squirt skin as we already published before, CMNC was designed as a non-tubular sheet with 14 mm length and 4 mm width. Total eleven male Spraque-Dawley rats (12 weeks, weighing 250 to 300g) were divided into sham group (n=2), silicone tube grafted control group (n=3) and experimental group (n=6). Each CMNC grafted nerve was evaluated after 4, 8 and 12 week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fter 12 weeks, sciatic function was evaluated with sciatic function index (SFI) and gait analysis, and histomorphology of nerve conduit and the innervated tissues of sciatic nerve were all examined using image analyzer and electromicroscopic methods in the all groups. The regenerated axon and nerve sheath were found only in the inner surface of the CMNC after 4 weeks and became more thicker after 8 and 12 weeks. In the TEM study, CMNC grafted group showed more abundant organized myelinated nerve fibers with thickened extracellular matrix than silicone conduit grafted group after 12 weeks. The sciatic function index (SFI) and ankle stance angle (ASA) in the functional evaluation were $-47.2{\pm}3.9$, $35.5^{\circ}{\pm}4.9^{\circ}$ in CMNC grafted group (n=2) and $-80.4{\pm}7.4$, $29.2^{\circ}{\pm}5.3^{\circ}$ in silicone conduit grafted group (n=3), respectively. And the myelinated axon was 41.59% in CMNC group and 9.51% in silicone conduit group to the sham group. The development of a bioactive CMNC to replace autogenous nerve grafts offers a potential and available approach to improved 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As we already published before, small peptide fragment derived from the basement membrane matrix proteins of squirt skin, which is a kind of anchoring protein composed of glycocalyx, induced the effective axonal regeneration with rapid growth of Schwann cells beneath the inner surface of CMNC. So the possibilities of clinical application as a 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will be able to be suggested.

이마앞겉질을 제거시킨 흰쥐 앞뇌의 바닥핵무리에서 변성축삭종말의 미세구조연구 (Ultrastructure of Degenerating Axon Terminals in the Basal Forebrain Nuclei of the Rat following Prefrontal Decortication)

  • 안병준;고정식;안의태
    • Applied Microscopy
    • /
    • 제35권3호
    • /
    • pp.135-152
    • /
    • 2005
  • 중추신경계통에서도 최고중추인 이마앞겉질 (prefrontal cortex)은 거의 모든 대뇌겉질과 연결되어 있어서 대뇌겉질 각 부분에 저장된 감각, 운동, 언어... 등 모든 정보를 받을 뿐만 아니라, 앞뇌의 바닥핵들 (basal forebrain nuclei)을 비롯한 많은 신경핵들과도 연결되어 있어서 생체 내부환경과 본능에 관한 정보도 받아드린다. 이들 연결을 통해서 이마앞겉질은 변연계통의 본능, 감정, 기억, 학습기능과 줄무늬체계통의 적절한 표현, 대응, 절차기억, 운동조절기능들을 연계하고 조정한다. 앞뇌의 바닥핵들(꼬리핵 caudate nucleus, 줄무늬체바닥핵 fundus striati nucleus, 중격옆핵 accumbens septi nucleus, 중격핵 septal nucleus)도 역시 변연계통과 줄무늬체계통 사이에서 해부학적으로나 기능적으로도 교차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실험은 흰쥐의 이마앞겉질은 제거한 다음, 앞쪽 앞뇌의 바닥핵들에서 변성종말들이 있는지 여부와 그 미세구조를 관찰하려고 시행했다. $250{\sim}300g$된 흰쥐를 실험동물로 이용하였으며, 흰쥐들을 정상군, 대조군, 수술군으로 구분하였다. 수술군은 마취시킨 다음, 뇌수술장치에 고정시키고, 머리피부를 절개한 다음, 이마뼈에 구멍을 만들고, 이 구멍을 통해 이마앞겉질을 흡인하여 제거했다. 대조군은 이마뼈에 구멍을 만드는 과정까지만 실행하였고, 정상군은 아무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수술 후 2일 경과 후에 전자현미경 관찰을 위해 1% glutaraldehyde-1% paraldehyde 혼합액 (pH 7.4)에 1차 고정하였고, 뇌를 적출하여 고정액에 냉장시켰다가, 다음날 해당 신경핵을 적출하여 2차 고정액 (2% osmium tetroxide액)에 고정하였다. Araldite 혼합액에 포매하여 ultratome-V로 자른 절편은 4% uranyl acetate와 2.7% lead citrate로 염색하여 JEM 100CX-II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관찰결과 네 신경핵에서 모두 변성 축삭종말이 관찰되었는데, 출현비율은 상당한 차이를 보여서 가장 변성이 심한 신경핵은 꼬리핵 이었고, 다음은 줄무늬체바닥핵, 중격옆핵, 중격핵의 순서였다. 변성축삭종말이 각 부위에서 연접하는 모양을 비교한 결과 꼬리핵과 줄무늬체바닥핵에서는 모두 가지돌기가시(dendritic spine)에 연접하였으나, 중격옆핵과 중격핵에서는 가지돌기 (dendrite)에 연접하는 것과 가지돌기가시에 연접하는 것이 혼재하였다. 이들 두 신경핵 무리는 이마앞겉질에서 기원하는 축삭종말의 연접차이로 볼 때 서로 다른 회로계통에 속할 것으로 생각되며, 문헌고찰을 통해서 꼬리핵과 줄무늬체바닥핵은 줄무늬체회로 (striatal circuit)에 속하고 중격옆핵과 중격핵은 변연계통회로(limbic circuit)에 속할 것으로 판정했다. 이마앞겉질은 생리적, 약리적, 신경학적 및 형태학적 근거들로 보아 바닥핵들을 통해 변연계통과 대뇌겉질 전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지는데, 본 실험에서는 네 종류의 바닥핵들, 즉 꼬리핵, 줄무늬체바닥핵, 중격옆핵 및 중격핵과 관련된 신경연접들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문헌 고찰한 결과 변연계통과 줄무늬체계통이 앞뇌의 바닥에 있는 신경핵들에서 형태학적 교차연결을 통해 정서와 마음의 상태를 행동과 대응으로 표현하는 중요한 신경회로가 존재함을 제안하였다.

방사선조사후 백서소장점막에서 발생하는 신호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The Signal Transduction Mechanisms on the Intestinal Mucosa of Rat Following Irradiation)

  • 유정현;김성숙;이경자;이정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79-95
    • /
    • 1997
  • 목적 : 최근 신호전달체계에서 중요한 효소로 알려진 phosphollpase C(PLC) 동위효소들의 발현이 조직의 종류와 발달과정에 따라 특이한 양상을 보이고 $PLC-{\gamma}1$은 세포의 성장, 분화 및 증식에 중추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방사선 조사 후 세포내 신호전달에 관한 연구도 최근 활발하여 소장 점막의 재생에 $PLC-{\gamma}$ 및 ras 암 유전자단백이 관여하고, 조직 손상에 protein kinase C(PKC)가 관여하는 등 연구들이 보고되었으나 이들의 연구가 단편적이며 아직 확실히 밝혀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백서의 소장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PLC 동위효소,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EGFR), ras 암유전자단백, 및 PKC와 같이 신호전달체계에 관여하는 물질들의 발현을 시간적으로 관찰하여 방사선에 의한 소장 조직의 손상 및 재생 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벌 실험동물로 암.수 구별없이 생후 4-5개월, 체중 250-3009의 백서(Spraque-Dawley) 60마리를 대상으로 하여 실험군으로 전신에 8Gy의 방사선을 조사하고 방사선 조사 후 1일, 3일, 5일, 7일,14일에 각각 10마리씩 희생시켜 소장을 적출하여 사용하였고, 정상대조군은 각 시기별로 2마리씩 사용하였다. 적출된 소장의 반은 즉시 얼려 PLC의 면역블로팅 및 phosphoinositide(PI) 가수분해 활성도 측정에 사용하였고, 나머지 반은 포르말린에 고정한 다음 파라핀에 포매하여 조직병리검색과 면역조직화학염색에 사용하였다. EGFH, ras 암유전자단백, PLC, PKC의 발현은 면역조직화학염색법으로 관찰하였다. 점막세포의 재생여부는 광학현미경상의 유사분열 수와 proliferating ceil nuclear antigen(PCNA) kit를 이용한 증식세포핵 수로 확인하였다. PLC는 $PLC-{\beta},\;-{\gamma},\;-{\delta}$ 발현을 모두 검색하였고, 각각 면역블로팅과 Pl 가수분해 활성도 측정으로 확인하였다. 결과 : 1) 조직병리학 소견상 방사선 조사에 의한 소장의 조직손상은 1일부터 관찰되어 3일까지 심하였고 재생은 3일과 5일에 현저하였다. 2)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 $PLC-{\gamma}1$의 발현은 재생을 보이는 3일과 5일에 발현되었으며 5일째의 점막에서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PLC-{\delta}1$은 방사선 조사 후 손상을 보이는 1일과 3일의 점막에서 강한 발현을 나타내었다. $PLC-{\beta}1$은 모든 실험군에서 발현되지 않았다. 면역블로팅 결과도 면역조직화학염색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3) $PLC-{\gamma}1$의 활성도를 보기 위한 PI 가수분해 활성도 측정결과는 3일과 5일에 현저히 높은 수치를 보여 방사선 조사후 소장점막의 재생과정의 중요한 신호전달과정이 PLC-1이 관여하는 PI 가수분해에 의해 이뤄짐을 알 수 있었다. 4) ras 암유전자단백의 발현온 재생이 시작되는 3일부터 나타나 7일까지 지속되었고, EGFR 도 재생시기인 3일과 5일에 가장 강하게 나타났고 그 후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한편 PKC는 발현이 미약했으나 증식지수가 높은 점막에 3일과 5일에 발현이 관찰되었다. 결론 : 방사선조사에 의한 소장점막조직의 손상 및 재생과정의 신호전달기전에 PLC의 신호전달체계에 관여하는 효소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PLC-{\gamma}1$과 ras암유전자단백, EGFR, PKC는 방사선조사 후 공장점막세포의 재생기전에 주로 발현되어 재생과정과 관련된 신호전달기전에 관여함을 나타내었다. $PLC-{\delta}$은 방사선 조사 후 세포의 손상시기에 강한 발현을 보여 특히 손상과정과 관련된 신호전달기전에 관여함을 추측할 수 있었다. $PLC-{\beta}1$의 발현은 모든 실험군에서 음성인 소견을 보여 방사선조사 후 소장점막의 세포손상 및 재생과정에서 $PLC-{\beta}1$과 관련된 신호전달체계는 관여하지 않음을 알 수 었었다. 그러나, 이러한 신호전달체계의 기전을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해서는 추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자건대멸, 칼슘강화소재를 첨가한 우유 및 칼슘강화우유가 흰쥐의 칼슘흡수율과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lk with Boiled-Dried Large Anchovy, Calcium-Fortifying Materials and Fortified-Calcium Milk on Calcium Absorption Rate and Bone Metabolism in Rats)

  • 조진호;김병기;한찬규;정은봉;조승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59-464
    • /
    • 2008
  • 본 연구는 고칼슘멸치가 흰쥐의 칼슘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처리는 시유와 칼슘강화우유, 칼슘강화소재(탄산칼슘, 젖산칼슘) 및 고칼슘대멸 등 5처리군으로 하였고, 대멸분말의 칼슘함량을 고려하여 최종식이의 칼슘함량은 1%가 되도록 semi-purified diet(AINdiet)에 혼합한 식이를 5주 동안 급여하였다. 대퇴골의 길이는 대조군인 우유군(M)와 칼슘강화우유군(M2)이 실험군 중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길었고(p<0.05), BMD, BMC 및 칼슘함량은 고칼슘멸치군(MA)이 실험군 중 가장 높았다. 체외(in vitro) 칼슘흡수율은 고칼슘대멸군이 7.30%로 가장 높았고, 생체내(in vivo) 칼슘흡수율은 실험군간 차이는 없었지만 고칼슘대멸군이 27.50%로 가장 높았다.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군과 고칼슘대멸군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Creatinine 농도는 대조군, 고칼슘대멸군 및 탄산칼슘군이 칼슘강화우유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았다(p<0.05). 칼슘과 osteocalcin 농도 및 ALP활성은 실험군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고칼슘대멸군이 높았다. SGOT활성은 칼슘강화우유군에 비해 대조군, 고칼슘대멸군 및 탄산칼슘군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고칼슘대멸군은 칼슘강화소재와 칼슘강화우유에 비해 대퇴골의 BMD, BMC 및 칼슘함량을 증가시켰으며, 생체내외(in vivo, in vitro) 칼슘흡수율에서도 다른 처리군보다 높았다. 본 결과는 대멸을 활용한 고칼슘식품 개발에 유용한 평가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