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ool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2초

실험데이터 기반 마이크로 가스터빈엔진 탈 설계점 성능해석 (Off-design Performance Analysis based on Experimental Data of a Micro Gas Turbine Engine)

  • 김승재;최성만;이동호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4-71
    • /
    • 2018
  • 가스터빈엔진의 탈설계점 운전 성능해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구성품의 성능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스터빈의 성능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가스터빈엔진 성능시험 장치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마이크로 가스터빈 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엔진의 회전수에 따른 유동장내의 온도와 압력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실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압축기 성능선도를 구성하였다. 터빈 출구부에서 배기가스를 포집하여 연소효율을 계산하였다. 구성된 압축기 성능선도와 연소효율을 GasTurb 성능해석 소프트웨어에 적용하여 지상 정지시의 탈설계점 성능해석을 수행하였고, 측정된 엔진성능데이터와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플랩제어시스템 주제어밸브의 모델기반 설계 및 성능해석 (Model-based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Main Control Valve of Flap Control System)

  • 조현준;안만진;주춘식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0-59
    • /
    • 2019
  • 플랩제어시스템의 주요 구성품인 주제어밸브의 설계는 실제 제작 경험을 바탕으로 반복-오차 방법에 의존하여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모델 기반의 부품 설계 방법을 제안하였다. 플랩제어시스템은 주제어 밸브, 고장-안전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LVDT, 구동 모터 등으로 구성된다. 주제어밸브는 주로 스풀과 슬롯으로 구성된다. 주제어밸브의 중요한 설계변수는 슬롯의 폭 (Slot Width), 오버 랩(Overlap) 및 간극(Clearance)이다. AMESim을 활용하여 주 제어 밸브의 유로를 모델링하고 해석하였다. 제안된 설계절차를 적용한 결과 허용된 가공오차 범위 내에서 요구 성능을 충족함을 확인하였다.

선박용 MT30 가스터빈 엔진의 성능 모델링에 관한 연구 (Study on Performance Modeling of a MT30 Gas Turbine Engine for Marine Ship Applications)

  • 백경미;기자영;허환일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2-1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MT30 가스터빈 엔진의 성능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설계점을 결정하고, 상용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스탠다드 맵을 이용한 스케일링 기법으로 구성품 성능 맵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성능 모델로 탈-설계점 성능 해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엔진 성능 덱 데이터와 비교하였다. 한 점 스케일링 기법으로 생성된 성능 모델이 성능 덱 데이터와 다소 오차가 있음을 확인하고, 성능 모델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보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고압 스풀 회전수에 따른 작동점(탈-설계점) 별 스케일링 계수를 구하는 방식으로 보정 성능 모델을 생성하여 탈-설계점 해석을 수행하였다.

Hot Firing Test of a Quadrature NEA SSD9103S1 Configuration

  • Ja-Chun, Koo;Hee-Sung, Park;Max, Guba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제9권2호
    • /
    • pp.1-9
    • /
    • 2022
  • The NEA release mechanism is used to provide restraint and release functions with low shock for critical deployment operations on solar arrays after launch. The GK3 solar array consists of 2 wings and 6 hold down points per panel. The NEA SSD9103S1 is a part of the GK3 solar array hold-down and release mechanism. Each NEA unit is equipped with two Z-diodes which provide power to a NEA unit connected in series after actuation of the fuse wire. This paper presents the hot firing test results of a quadrature NEA SSD9103S1 configuration. One output powers a maximum of 4 NEA SSD9103S1 units simultaneously. The necessary actuation pulse duration has been determined to meet margin requirement for thermal energy of minimum 4. Actuation thermal energy difference is about 6.6% between each half of two fired serial NEAs. Thermal energy margin at worst case is minimum 5.9 in case of an actuation pulse duration of 500 ms. Two series Zener impedance depend on current applied has been characterized by an additional actuation after all fuse wires are open circuit. Total number of actuation commands to the GK3 NEA unit reduce drastically from 24 in case of single NEA configuration down to 8 in case of parallel and quadrature NEA configurations. It can be accommodated by the existing HP2U Pyro design without any impact.

S자형 환형덕트가 원심압축기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 Shaped Annular Duct on the Centrifugal Compressor Performance)

  • 정주현;전승배;김승우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64-73
    • /
    • 1998
  • 항공기용 엔진에는 압축기단들 사이에 스트럿을 포함하는 S자형 환형덕트가 존재하기도 한다. 이러한 엔진에서 S자형 덕트를 통과하는 유동은 볼록면과 오목면을 따라 가면서 가속과 감속이 이루어지고, 벽면에서의 경계층 성장으로 인해 유로폐쇄량이 증가한다. 이처럼 S자형 덕트의 영향으로 후방에 존재하는 압축기는 불균일한 축방향 속도분포에 따른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후방 압축기는 전방에 위치한 S자형 덕트의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S자형 덕트가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설계된 원심압축기의 성능을 검증하고, S자형 덕트가 원심압축기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보기 위해 압축기 입구에 S자형 환형덕트를 장착한 경우와 원통형 덕트를 장착한 경우에 대해 각각 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를 통해 입구에 S자형 덕트가 있는 경우에는 없는 경우보다 압축비 및 효율 등 압축기 성능이 저하되고, 쵸킹유량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성능저하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S자형 덕트를 포함하는 임펠러의 유동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성능저하의 원인은, S자형 덕트와 임펠러의 상호작용으로 설계시 예측했던 것보다 인듀서팁에서 상대마하수가 증가하였고, 영각이 감소하였기 때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13 km 광섬유를 통하여 원격지로 전송된 1.4 GHz RF 신호의 위상잡음 제거 (Cancellation of Phase Noise in 1.4 GHz RF Signal Transferred to a Remote Site through 13 km Fiber)

  • 이원규;박창용;문종철;유대혁
    • 한국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03-110
    • /
    • 2010
  • 13 km 광섬유를 통해 1.4 GHz의 기준 주파수를 전송할 때, 광섬유에서 발생하는 위상잡음을 제거하는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전송된 주파수의 안정도 성능은 실험장치의 온도변화폭에 의존하였다. 실험실의 온도변화폭이 $0.3^{\circ}C$ 이내로 유지되는 동안에는 광섬유의 위상잡음을 제거했을 때, 원격지에 전송된 신호가 0.8초의 평균 시간에서 $4.6{\times}10^{-14}$, 1000초의 평균 시간에서 $2.5{\times}10^{-16}$의 상대주파수 전송 안정도를 보여 만족할 만한 결과이었으나, 실험실의 온도가 $3.5^{\circ}C$ 범위로 변할 때에는, 1.2초의 평균 시간에서 $6.8{\times}10^{-14}$, 1000초의 평균 시간에서 $3.0{\times}10^{-15}$의 전송 안정도를 보였다. 이 결과로부터 1000초의 평균시간에서 $10^{-16}$ 수준의 상대주파수 안정도를 얻기 위해서 요구되는 실험장치의 온도 안정도 조건을 제시할 수 있었다.